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97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4년 2월 13일 01시 40분 등록

올 겨울은 서울 나들이가 잦은 편입니다. 어떤 날에는 강의를 들으러 가고 어떤 날에는 강의를 하러 가고 있습니다. 그러던 날 중에 하루 작심하고 서울에서 모처럼 문화생활을 좀 했습니다. 광화문 근처에 있는 서점에 들러 책 구경도 하고, 뒷골목을 누비다가 카페에 들러 도시적 여유와 호사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좋았던 것은 영화 한 편을 본 것이었습니다.

 

경희궁 근처 골목 언저리를 돌다가 해머질을 하는 노동자 조형물이 있는 건물의 예술영화 상영관으로 찾아들었습니다. 순전히 작은 간판에 내걸린 제목에 이끌렸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이 작품은 고레에다 히로카즈라는 감독의 일본 영화였습니다. 줄거리와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고, 그 영화를 다 보고 나와 누군가를 기다리며 나는 혼자 이렇게 중얼거렸습니다. ‘참 좋은 영화구나. 아이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아버지, 나 역시 한 때 그런 아버지였는데... 많은 아버지들이 저 영화를 보면 좋겠구나...’

 

많은 사람들의 감상평이 집중하는 지점과 달리 나는 그 영화를 타인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이 그 소리를 듣게 하는 영화로 보았습니다. 그대는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줄 아는 아버지인지요? 혹은 엄마인지요? 더 나아가 그대가 남편이거나 아내라면 배우자의 소리를 잘 알아듣는지요? 영화 속 아버지처럼 내게도 아이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아버지로 살았던 한 4년 동안의 초보 아비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시절에 나는 아이와 소통하고 있다고 믿었지만 소통하지 못했었습니다. 결정적인 순간에는 늘 내가 세워놓은 어떤 틀로 아이를 대하고 있음을 어떤 충격적인 경험을 통해 자각하게 되었습니다. 아내에 대해서도 그랬습니다. 아내는 아내가 형성해 놓은 틀로 나를 보았고, 나는 나의 기준과 틀로 늘 아내를 보고 있었습니다.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있는 경험이 생기고 나서 아주 한참 뒤에야 나는 비로소 아내의 소리, 여자의 소리를 조금 알아듣는 귀가 생겼습니다. 아내와 여자의 소리를 조금 알아듣는 귀가 생길 즈음에서야 비로소 나는 더 많은 타자, 심지어 인간 아닌 다른 생명의 소리를 조금 알아듣는 귀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제 함께 사는 개의 소리를 듣고, 부엉이의 노래를 알아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떤 풀, 어떤 나무의 몸짓이 무엇을 말하는지 조금씩 알아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는 오랫동안 큰 착각을 품고 살았습니다. 귀가 열려 있으니 말로 전하는 소리는 다 듣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귀가 열려 있다고 다 듣는 것이 아님을 조금씩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어떤 귀를 닫고서야 진정한 귀가 열린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려서부터 배우고 습득하며 세워놓은 기준과 틀을 허물지 못하는 한 우리는 제대로 들을 수 없는 존재임을 하나씩 깨달아왔습니다. 나를 길러내신 아버지나 어머니의 시선과 음성을 창조적으로 해체하여 불사르지 않고는 내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없다는 것을 자각했을 때, 비로소 나는 내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있었습니다. 남자에 덧씌워진 분칠을 지우고서야 아내와 여자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 인간만이 가졌다는 그 특별한 오만의 눈을 찔러 눈멀게 하고서야 다른 생명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더 많은 타자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은 참 충만한 일입니다. 여러 소리를 듣게 되니 마음이 더 소란할 것 같지만, 실은 그 반대입니다. 오히려 그럴 수 있을 때 더 고요해지고 평화로워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그 영화, 개봉관 숫자는 적지만 아직 극장에 걸려 있습니다. 꼭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귀를 닫아 새로운 귀를 열 수 있는 그 자각의 계기로 만나시기를 바랍니다.

IP *.20.202.21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1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8
433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96
4333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97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8
4331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6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9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23
4328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4
4327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25
4326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30
4325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30
4324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33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4
4322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6
4321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8
4320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8
4319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8
4318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741
4317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