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4년 2월 17일 09시 39분 등록

<마흔 이후 인생 작동법;Matering the art of self-renewal >

프레데릭 M. 허드슨 지음/김경숙 옮김

 

 

1.     저자에 대하여

 

일과 삶의 균형, 그리고 은퇴 분야의 저명한 작가이며 사상가이다.  성인(adult)시기의 삶을 연구하는 산타바바라 허드슨 연구소 소장이다. 뉴욕소재 컬럼비아 대학에서 의식의 역사를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3년 심리학과 조직 발달 분야 전문 대학원인 필딩연구소 (Fielding Institute) 초대학장으로 임상심리학 전문 지도자들을 교육했다.

 

저자는 지난 30여 년 간 성인 발달(adult development)과 함께 인생의 가장 큰 전환기에 해당하는 중년과 노년의 삶에 지속적으로 연구해 왔다. 마흔 전후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들이 겪고 있는 무력감과 위기감, 불안의 근원을 탐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허드슨 연구소는 미국 전역과 캐나다에 3백 명이 넘는 코치들을 두고 인생 설계와 인생의 전환기 관리, 은퇴 계획, 커리어에 관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3M, 애플, 보잉, 듀퐁, 제너럴 일렉트릭, IBM, 록히드, 모토롤라 등 미국의 주요 기업을 포함 비영리기관, 대학 등 다양한 기관의 전문직 종사자들을 코칭하고 컨설팅 했다.

 

저서로 < the Handbook of Coaching>, <Life Launch>, < A Passionate Guide to the Rest of your life>를 포함, 변화와 전환이란 주제에 대한 많은 책을 저술했다.

 

저자는 끊임없이 자기쇄신(self-renewal)을 하는 성인들은 다음과 같은 성향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가치에 중심을 둔다. 자신의 신념에 따라 사는 것에 영감을 받는다.

-자기를 둘러싼 지역과 타인들과 연계한다

-조용함과 고독을 즐긴다.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고 보고, 듣고, 명상한다. 자신을 함양한다.

-자연과 교분 한다. 하늘, 태양, 바다, 바람, , 산과 함께한다.

-창조적이면 유머를 즐긴다

-변화에 순응한다

-삶의 난관에 처할 때나, 밑바닥에 처하는 시기에도 의미를 찾고 배운다.

-끊임없이 배운다

 

참고)

-       Amazon.com

-       Wikipedia 

 

2.     마음을 무찌를 문구 유첨

 

3.     저자라면

 

마흔 이후, 우리의 인생은 어떻게 작동될 것인가? 저자의 화두이다.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마흔 이후 긴 인생에 대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모르고 있다.

저자는 개인의 삶이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의식적으로 신중하게 자신이 추구하는 인생을 작동시키는 기술을 터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막연하게 열심히 노력하며 최선을 다해 살겠다는 말로는 부족하다.  저자는 마흔 이후의 인생 작동법에 대한 지침과 지혜를 제공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인생의 항로를 확립하고 인생과 직업의 전환과 변화를 관리하고 평생 배우고 훈련하며 자기 쇄신의 기술을 익히고 나아가 세상의 쇄신에 기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신의 인생을 쇄신하는 법을 강조한다.  책의 주제는 현대를 사는 사람들은 마흔 이후 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 쇄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또한 이 책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는 인생의 주기에도 우리에게 힘을 부여하는 기술과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책의 구성과 내용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된 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장은 성인기의 인생을 이해하는 데 저자는 <직선형 인생>보다 <순환형 인생>으로 삶을 이해할 것을 주장한다. 순환형 인생은 인생의 오르내림이 있고 삶의 절정과 나락이 반복 순환되는 것이며 이러한 순환과정 속에서 의미와 가치를 찾고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7장부터 11장 까지는 20세부터 100세까지 10년 단위로 성인기 인생을 살펴보고 있으며 12장은 마흔 이후 남은 인생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자기쇄신을 이루어야 하는 지를 설명하고 있다.

 

순환형 시각이 우리에게 던지는 숙제는 성공과 실패의 오르내림 속에서도 인간의 능력을 발달시켜야 한다는 것, 그래서 인생의 여정이 우리를 어디로 이끌고 가든 간에 그 과정을 제어하고 거기에 통달할 수 있어야 한다. ( 74 ) “

 

인생의 주기는 순환된다. 내리막길에 들어서고 실패를 하더라도 그 속에서 삶의 의미를 배우고 자기 쇄신을 지속해야 한다.

 

“<중년차별>은 나이가 들어도 뭔가를 이룰 능력이 있는 수천 수만 사람들의 엄청난 잠재력을 빼앗는다. 이런 시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자부심이 낮고 의욕이 없으며 미래에 대한 전망도 보잘 것이 없다. “ ( 75)

 

마흔 이후의 중년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성장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습이나 차별에 좌절하고 만다. 그 차별을 그대로 수용하는 사람은 자신의 잠재력을 시도하지 못하고 그대로 주저 않게 된다.

 

대부분 50대에게 에너지는 육체적 문제보다는 동기부여에 훨씬 더 크게 좌우된다. 당신은 권태롭거나 냉소적이거나 혹은 미래에 대해 아무 희망이 없는가? 아니면 미래를 당신 인생에서 최고의 시기로 만들겠다는 의지로 충만한가? 당신의 인생을 계속 되는 도전과 성장으로 볼 것이냐, 아니면 지속적인 쇠퇴로 볼 것이냐 하는 것이 이 시기의 중요한 선택이다. 이에 대한 대답이 당신의 운명을 결정한다. 현명한 대답은 인생을 계속적인 도전과 성장으로 보도 동시에 육체의 불가피한 쇠퇴를 잘 관리하는 것이다. ( 259 )

 

직장이나 가정에서 서서히 역할이 줄어들고 존재가치가 없어지는 오십 대에게 곧 실직 또는 퇴직이라는 혹독한 시련이 예상된다. 그 시기에 그들을 지탱해 주는 것은 동기부여다. 다시 일어서야겠다는, 다시 새로운 것을 해보겠다는 의지와 도전이 없다면 바로 쇠퇴의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

 

출간 된지 2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오십 이 후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는 책으로 손색이 없다. 중년의 위기, 인생의 전환이 되는 이 시기에 인생을 어떻게 작동시켜야 할 지 그 기술을 알려주고 있지만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 순전히 자기의 몫이다.

 

아쉬운 점이 있다. 인생의 전환기에 중년이 감당해야 할 구체적인 문제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그것을 세부적으로 어떻게 극복해 자기쇄신을 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누구에게나 삶의 흥망성쇠가 있다는 것은 아는 사실이다. 실직과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은 어떻게 충당을 할 것인가, 등등 구체적 기술이 없다.

 

 

 

 

IP *.50.96.15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2 #36. 자기만의 방(버지니아 울프) 땟쑤나무 2014.02.17 9717
» <마흔 이후 인생 작동법> file 제이와이 2014.02.17 2370
1010 북리뷰_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 _구본형 유형선 2014.02.17 2238
1009 (No.38) 헤르만 헤세 [수레바퀴 아래서] 더클래식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4.02.17 3826
1008 인생으로의 두번째 여행_알랜 B. 치넨 file 라비나비 2014.02.17 1788
1007 #38. 기계의 아름다움 / 데이비드 켈런터 쭌영 2014.02.23 2602
1006 #37. 끌림(이병률) 땟쑤나무 2014.02.24 3759
1005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_릴케 라비나비 2014.02.25 7736
1004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1) 유형선 2014.02.25 2684
1003 (No.39) 도러시아 브랜드 [작가수업] 공존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4.02.25 2353
1002 No43 나는 내일을 기다리지 않는다 file 미스테리 2014.02.25 3136
1001 <융, 중년을 말하다> file 제이와이 2014.02.25 3857
1000 #39. 기계와의 경쟁 / 에릭 브린욜프슨, 앤드로 매카피 쭌영 2014.03.01 4950
999 #38. 보통의 존재(이석원,달) 땟쑤나무 2014.03.02 4890
998 <무엇이 내 인생을 만드는가> file 제이와이 2014.03.03 2653
997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2) 유형선 2014.03.03 2940
996 (No.40)제임스 스콧 벨 [소설쓰기의 모든것: Part1.플롯과 구조] 다른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4.03.03 4435
995 No 44. 예술가로 산다는 것 - 박영택 미스테리 2014.03.03 1925
994 일상의 황홀_구본형 file 라비나비 2014.03.04 1933
993 #40. 이제는 빅데이터 시대 / 윤형중 쭌영 2014.03.09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