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4년 3월 3일 21시 38분 등록

  어린 시절 친구들, 가장 친했던 친구, 우정을 통해 얻은 것, 우정의 변화

 

어린 시절 친구들과 관련하여 특별히 인상적으로 떠오르는 기억은 없다. 그 당시 초등학교 시절 여자아이들의 우정이라는 것에는 우정도 질투심 때문에 한 순간에 퇴색되어 버리는 경우가 허다했던 것 같다. 나보다 더 예쁜 옷, 좋은 장난감을 가졌다는 이유로 시기하고, 또 선생님이 더 예뻐한다는 이유로 시샘하여 따돌리고, 요즘의 교내 왕따와 같이 특정한 한 아이를 놓고 전체가 집중적으로 괴롭히는 형태의 따돌림은 아니었어도, 그 당시에도 아이들 사이에왕초노릇을 하는 아이가 있었고(주로 얼굴도 예쁘고 인기도 많은) 그 아이 주변으로 아이들이 모였으며, 왕초인 아이가 미워한다는 이유로 같은 그룹의 멤버인 나도 어쩔 수 없이 한 아이를 따돌릴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도 왕왕 생겼던 거 같다.

인기 녀의 친구 따돌림은 마치 놀이처럼 그룹 내 아이들을 번갈아 가면서 따돌림의 대상을 바꾸어 갔고, 나도 언제 그 친구에게 밉보여 따돌림의 대상이 되면 어쩌나 하고 걱정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사필귀정이라고 종국에는 그 따돌림을 주도하던 아이의 정체(?)가 밝혀져 그 아이 자신이 따돌림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저학년 때 친구들 간의 끈끈한 우정은 모호했을 지라도 단짝 친구와의 소중한 추억은 있다. 그 친구와 함께 했던 활동이나 재미있는 에피소드보다는 그 친구의 성품이나 분위기가 더 선명히 기억나는 것은 아마도 세월이 너무 많이 흘러서인가 보다.

나와 가장 친했던 친구 윤수는 조용하고 얌전한 아이였다. 상대적으로 표현력이 풍부하여 종일 재잘대던 내 이야기를 한번도 지루한 내색을 하지 않고 열심히 잘 들어주었다. 항상 내 뒤만 졸졸 따라다니던 남동생 때문에 친구네 집에 놀러 갈 때에도 매번 동생을 데리고 가야 했는데, 마침 내 남동생과 동갑내기 남동생을 둔 윤수네 집에 갈 때에는 동생을 편하게 데리고 갈 수 있다는 사실이 나와 윤수를 더욱 가깝게 해준 계기가 되어 준 것 같다. 매일 같이 등Ÿ하교하고, 또 집도 바로 같은 아파트 같은 동이라서 방과 후에는 서로의 집을 오가며 놀았다. 그러다가 내가 같은 동네이지만 다른 아파트로 이사를 가고, 또 학년이 바뀌어 반이 바뀌면서 다른 친구들을 사귀면서 소원해졌는데, 새로운 친구들과 함께 복도를 지나다 혼자 복도를 지나가는 윤수를 만나면 반갑게 아는 척하기 보다는 마치 배신자가 된 것처럼 왠지 머쓱한 느낌이 들었던 것은 왜일까. 그래도 어린 시절을 생각하면 늘 또래보다 의젓하고 어른스럽던 단짝친구 윤수가 제일 먼저 생각이 난다.

어린 시절에는 우정이라고 하면 책에서 읽었던 피더어스와 데이몬처럼 친구를 위해 기꺼이 자신의 목숨도 내어놓을 수 있는 끈끈한 우정을 생각했고, 그런 우정이야 말로 진정한 의미의 우정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언젠가는 그런 진실한 우정의 친구를 만날 수 있기를 바랬고, 그런 바램과 함께 순결은 흰색이라 더러워지기 쉽고, 사랑은 핑크색이라 바래기 쉽지만, 우정은 무색이라 영원하다라는 글귀를 외우며 그런 우정을 항상 꿈꾸며 살았었다. 그런 우정이 정말 쉽지 않다는 걸 어른이 되어 더욱 절실히 느끼지만, 흔하지 않은 것이기에 그토록 바라고 소망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그 시절을 추억해본다.

 

IP *.35.252.8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