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4년 3월 18일 10시 24분 등록

<중년의 발견>

데이비드 베인브리지 지음/이은주 옮김

 

  1. 저자에 대하여

 

데이비드 베인브리지 David Robert James Bainbridge (1968 1030일 출생)는 과학분야 저술가, 캠브리지대 생식 생물학자이며 수의과 해부학자이다. 주로 임신 모성인지(maternal recognition), 인간과 동물의 임신 면역학, 체외수정을 포함한 임신분야의 관해 연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X 염색체, 뇌와 청소년의 진화, 임신에 관한 다양한 책을 출간했다.

 

저자는 영국의 Essex에서 출생했다. 1976년과 1986년 사이에 브렌우드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캠브리지대에서 수의사 수련 과정을 밟았으며, 리전트 파크REGENT'S PARK에 위치한 동물학 연구소에서 3년간(1993~1996) 박사과정 포함, 왕립 수의대ROYAL VETERINARY COLLEGE, 코넬대, 시드니대, 옥스퍼드대에서 남성과 동물의 임신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2003년 캠브리지대 임상 수의과 해부학자로 임명되었으며,동시에 세인트 캐서린즈 칼리지ST CATHARINE'S COLLEGE 인문학부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 Suffolk에서 부인과 3자녀들과 함께 살고 있다.

 

저서-

 

-  A Visitor Within: The Science of Pregnancy

- The X in Sex: How the X Chromosome Controls Our Lives in 2003

( 미국 의학작가협회상을 수상했다)

-Beyond the Zonules of Zinn: A Fantastic Journey Through Your Brain (2008)

( 인간의 행동의 진화 기초에 관심 영역을 확대했다)

  • Teenagers: A Natural History.

 

<참고>

  • 본서 서평

  • HTTP://en.wikipedia.org/wiki/david-bainbridge

http://www.bbc.co.uk/programmes/b017chqj#

 

  1. 인상 깊은 문구 유첨

 

 

  1. 저자라면

 

중년에 관해 책이 많다. 주로 신체적 노화, 은퇴,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 빈둥지 증후군, 노후 대비, 재취업, 인생 2, 청소년 양육 등의 문제를 다룬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사람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 중년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흔들리는 중년, 또는 중년의 위기라고 하는데 어떤 사람은 흔들림과 위기 없이 중년을 통과하는 사람이 있다. 일탈을 하더라도 다시 정상 궤도에 올라 탄탄한 길을 간다.

 

저자는 이와 다르게 중년을 다룬다. , 중년을 생식 생물학과 동물학으로 접근한다. 인간의 발달의 단계 중 중년이라는 시기는 독특한 현상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진화론에 입각해 동물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인간의 중년을 수백만 년에 걸친 인간 진화의 산물로서, 구체적이고 설명 가능한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인간의 중년은 가장 오래된 생명 현상인 것이다.

그는 중년의 특징을 세가지로 얘기한다. 중년은 청년기와 노년기에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며, 중년에 벌어지는 일이 갑작스럽게 일어나며, 그리고 중년은 인간만이 갖는 고유한 현상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수천 년에 걸친 자연 선택결과 중년의 인간들을 독특한 생명체로 만들어 왔다고 한다. 그것은 신체적 노화로 삶의 무대에서 퇴장하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 정서적, 육체적, 성적, 정신적 세계가 변화하는 새롭고 특별한 삶의 국면으로 들어선 것이다.

 

책은 3 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중년을 겪게 된 과정, 2부에서는 중년의 정신에 관한 것인 것 뇌의 지적 능력, 성격, 심리 감정이 중년에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다룬다. 3 부에서는 중년의 성과 로맨스를 다룬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중년은 긍정적인 것이며 흐름이지 위기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진화론적, 문화적, 개인적으로 중년은 해방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기 위한 중년을 찾자고 얘기하는 것으로 책을 끝맺고 있다.

 

중년기의 인지 능력이 탁월한 시기라는 건 말이 된다. 뇌는 중년이 인간의 가장 생산적인 시기가 되는 걸 허락할 뿐 아니라, 타인에게 문화를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시기가 되게 한다. 우리 조상들이 했던 그 모든 초효율적인 수렵과 채집 및 문화 전파를 머리에 떠올린 다음, 중년들이 지배하는 현대의 경제계 및 정계와 비교해 보라. 시대는 서로 다를지 몰라도 그 우수성은 그대로인데, 이는 중년의 뇌 덕분이다. “ (p -128)

통상적으로 중년이 되면 기억력 감퇴가 찾아온다고 한다. 하지만 저자는 이시기에 무엇을 배우고 받아들이는데 최적의 시기라고 한다. 뇌 세포가 점진적을 소멸한다고 보는 것이 통례이나 저자는 인간의 뇌가 중년기에 이르러 가장 생산적인 시기로 최대의 효율성을 보인다. 청소년들한테 자신의 경험을 전파하고 타인에게 문화를 전파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는 시기이다.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보면 중년인은 나무만이 아니라 숲을 보는 일에 특히 능숙하다. 중년인은 머리에 커다란 정보 덩어리를 넣어두고는 세부 사항에 주의를 뺏기기보다 한 발 뒤로 물러나 이 정보를 전체적인 맥락에서 살필 수 있다.

중년에 관해 새롭게 발견된 또 하나의 장점은 중년인 이 명확한 우선 순위와 목표를 설정하는 것도 수월하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P -202)

 

중년기는 지혜로운 시기이다. 부분보다는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역량이 있다. 무엇을 먼저 처리하고 목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 지를 안내해 준다.

 

40대 초반의 저자가 말한 대로 중년의 부정적인 것이 아닌 긍정적인 것이다. 그 시기는 인생을 살아가는 데 누구나 거치는 흐름이지 위기가 아니며 해방이라는 말에 가슴에 와 닿는다. 삶의 경험과 한 시대의 문화의 전수자로서 숲을 조망하는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시기로서 중년의 독자로 하여금 위안을 주고 새롭게 태어날수 있도록 힘을 심어준다.  

 

 

 

IP *.50.96.15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2 <오십후애사전> file 제이와이 2014.03.09 1895
991 #39.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무라카미 하루키) 땟쑤나무 2014.03.10 4026
990 (No.40-1) <두번읽기>-제임스 스콧 벨 [소설쓰기의 모든것: Part1.플롯과 구조] 다른 - 서은경 [3] 서은경 2014.03.10 9453
989 일의 발견 (조안 B. 시울라) 유형선 2014.03.10 5398
988 No 45 색의 힘 file [1] 미스테리 2014.03.10 3888
987 갈매기의 꿈_리차드 바크 [1] 라비나비 2014.03.10 2460
986 [2-25] 문제는 무기력이다 - 박경숙 타오 한정화 2014.03.11 4447
985 [2-26] 내 몸은 내가 고친다 - 김홍경 file 타오 한정화 2014.03.13 4445
984 피로사회 (한병철/문학과지성사) 유형선 2014.03.16 2529
983 #40.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신영복, 돌베개) 땟쑤나무 2014.03.17 4215
982 #41. 클라우드 혁명과 애플구글마소 / 오카지마 유시 쭌영 2014.03.17 2058
981 (No.41)움베르토 에코 [젊은 소설가의 고백] 레드박스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4.03.18 3344
980 안병욱_인생론 file 라비나비 2014.03.18 5029
» <중년의 발견> 데이비드 베인브리지 지음 file 제이와이 2014.03.18 2659
978 No 46 도형, 그림의 심리학 file 미스테리 2014.03.18 9728
977 #42.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때 / 파커J. 파머 쭌영 2014.03.25 5494
976 #[&] 떠남과 만남(구본형) 땟쑤나무 2014.03.25 1916
975 <나이듦의 기쁨 MY TIME> file 제이와이 2014.03.25 6121
974 우리의노동은왜우울한가_스베냐플라스푈러 유형선 2014.03.25 1987
973 No 47. 즐거움의 가치사전-인간이 욕망하는 모든 것 file 미스테리 2014.03.25 3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