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우
- 조회 수 352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子曰 君子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弗畔矣夫
자왈 군자박학어문 약지이례 역가이불반의부
공자가 말하였다. 군자가 (學文) 학문을 널리 배우고 (禮)예로써 그것을 단속한다면 또한 도에 어긋나지 아니할 것이다.
오늘 내가 내 것이라고 느끼며 쓰고 있는 언어도 사실은 선인에게 빚을 지며 쓰고 있는 것과 같고 또한 알게 모르게 우리가 영향을 받아 온 것들은 누군가 먼저 애써 연구한 자취입니다. 그러므로 깊게 배운 학문을 (禮)예로써 단속한다는 것은 학문을 닦는 일과 같습니다.
공자가 윗글에서 말하는 學文은 과연 무엇을 뜻하는 것이었을까요.
동기와 후배에게도 배울 수 있겠지만 반드시 한 사람의 스승, 멘토를 정해 예를 다하는 것 또한 훌륭한 배움의 과정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그러다 어느날 그 스승을 넘어서 자신의 학문을 펼칠 수 있을때 비로소 스승에게 예를 다한 것이 되겠지요.
따라서 공자의 뜻은 (學者) 학자는 무엇보다도 문과 예를 배우는 사람이요, (學)학과 (禮)예를 생활에 적용하는 사람 인 것이지요. 또 바로 그런 이 만이 예의를 되받을 자격이 있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지난 밤 읽다 접어 둔 책의 다음 구절이 너무도 궁금하여 새벽에 깨어 책을 읽으며, 이토록 설레게 하는 백 년 전의 선인이 써 둔 구절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평생계속 교육시대를 맞아 누구에게 영향을 받았는지 자신의 스승, 계보도 모른 채 배우고 싶은, 학자가 되고픈 건 아닌지 되돌아 보게 되는 삼월입니다.
정예서의 치유와 코칭 백일쓰기
16기 모집 안내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예서/ (學)학과 (禮)예 | 효우 | 2014.03.19 | 3522 |
415 |
[자작시] 예순 여덟 우리 엄마 ![]() | 재키제동 | 2014.03.17 | 3121 |
414 | 예서/쓸쓸한 그대 | 효우 | 2014.03.12 | 3680 |
413 |
토크 No.42 - 별에서 온 그대 ![]() | 재키제동 | 2014.03.09 | 3252 |
412 | 스승을 스승답게 하는 제자 | 효우 | 2014.03.05 | 3405 |
411 |
토크 No.41 - 야근하다 끝나는 인생 ![]() | 재키제동 | 2014.03.03 | 3308 |
410 | 예서/ 살아내어 삶이라 하니 | 효우 | 2014.02.26 | 3190 |
409 |
토크 No.40 – 헤드헌터 사용설명서 ![]() | 재키제동 | 2014.02.24 | 5513 |
408 | 예서/ 백번의 시도 한 번의 금메달 | 효우 | 2014.02.19 | 3201 |
407 |
토크 No.39 - 삶이 우리에게 기대하는 것 ![]() | 재키제동 | 2014.02.17 | 3211 |
406 |
예서/고립 ![]() | 효우 | 2014.02.12 | 3036 |
405 |
토크 No.38 – 마음 속 실타래를 가진 사람들 ![]() | 재키제동 | 2014.02.10 | 3132 |
404 | 예서/달보다 별 같은 사람 | 효우 | 2014.02.05 | 3220 |
403 | 토크 No.37 - 고수는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 재키제동 | 2014.02.03 | 3241 |
402 | 예서/ 행복이 무엇인지 | 효우 | 2014.01.29 | 3117 |
401 |
토크 No.36 - 어쨌거나 역린은 건드리지 말지어다 ![]() | 재키제동 | 2014.01.27 | 3227 |
400 | 예서/ 사유하는 열정 | 효우 | 2014.01.22 | 3050 |
399 |
토크 No.35 -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먹고 살 수 있을... ![]() | 재키제동 | 2014.01.19 | 3603 |
398 | 토크 No.34 - 계란으로 바위치기 | 재키제동 | 2014.01.13 | 3272 |
397 | 예서 / 카르페 디엠 [ carpe diem ] | 효우 | 2014.01.08 | 3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