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효우
- 조회 수 373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子曰 君子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弗畔矣夫
자왈 군자박학어문 약지이례 역가이불반의부
공자가 말하였다. 군자가 (學文) 학문을 널리 배우고 (禮)예로써 그것을 단속한다면 또한 도에 어긋나지 아니할 것이다.
오늘 내가 내 것이라고 느끼며 쓰고 있는 언어도 사실은 선인에게 빚을 지며 쓰고 있는 것과 같고 또한 알게 모르게 우리가 영향을 받아 온 것들은 누군가 먼저 애써 연구한 자취입니다. 그러므로 깊게 배운 학문을 (禮)예로써 단속한다는 것은 학문을 닦는 일과 같습니다.
공자가 윗글에서 말하는 學文은 과연 무엇을 뜻하는 것이었을까요.
동기와 후배에게도 배울 수 있겠지만 반드시 한 사람의 스승, 멘토를 정해 예를 다하는 것 또한 훌륭한 배움의 과정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그러다 어느날 그 스승을 넘어서 자신의 학문을 펼칠 수 있을때 비로소 스승에게 예를 다한 것이 되겠지요.
따라서 공자의 뜻은 (學者) 학자는 무엇보다도 문과 예를 배우는 사람이요, (學)학과 (禮)예를 생활에 적용하는 사람 인 것이지요. 또 바로 그런 이 만이 예의를 되받을 자격이 있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지난 밤 읽다 접어 둔 책의 다음 구절이 너무도 궁금하여 새벽에 깨어 책을 읽으며, 이토록 설레게 하는 백 년 전의 선인이 써 둔 구절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평생계속 교육시대를 맞아 누구에게 영향을 받았는지 자신의 스승, 계보도 모른 채 배우고 싶은, 학자가 되고픈 건 아닌지 되돌아 보게 되는 삼월입니다.
정예서의 치유와 코칭 백일쓰기
16기 모집 안내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676 | 정예서/ 좌절된 갈망 | 효우 | 2015.10.21 | 2974 |
| 675 |
정예서/ 지방엄마의 유쾌한 가족혁명 | 효우 | 2015.12.09 | 3028 |
| 674 | 정예서/시간의 가치 | 효우 | 2016.02.03 | 3054 |
| 673 | 정예서/ 버럭하는 부모에게 | 효우 | 2016.04.27 | 3059 |
| 672 | 정예서/ 스스로를 믿는 힘 | 효우 | 2016.06.29 | 3100 |
| 671 | 정예서/ 낙타, 사자, 아이, 그리고 초인이 되어 | 효우 | 2016.10.19 | 3114 |
| 670 |
정예서/꽃길을 걸으려면 | 효우 | 2016.08.10 | 3141 |
| 669 |
정예서/절해고도,봄편지 | 효우 | 2016.04.06 | 3149 |
| 668 | 참꿈과 가꿈을 구별하라 | 효우 | 2016.05.18 | 3149 |
| 667 | 정예서/역사란 무엇인가 | 효우 | 2015.04.22 | 3156 |
| 666 |
걱정말아요, 그대 | 뫼르소 | 2015.11.26 | 3169 |
| 665 | 정예서/ 시간의 가치 | 효우 | 2017.08.17 | 3171 |
| 664 | 정예서/증자지체(曾子之) | 효우 | 2015.08.26 | 3173 |
| 663 | 정예서/관계안의 계약 | 효우 | 2015.07.01 | 3176 |
| 662 | 정예서/ 시간의 속도 | 효우 | 2015.07.15 | 3177 |
| 661 | 치열한 것은 오래 남는다(1기 홍승완) [2] | 차칸양 | 2018.03.22 | 3183 |
| 660 | 디톡스 다이어리 5 - 보너스 | 김미영 | 2017.05.03 | 3184 |
| 659 | 정예서/ 남성 상승정지군 | 효우 | 2015.09.30 | 3185 |
| 658 | 정예서/ 상황속의 리더 | 효우 | 2018.02.21 | 3185 |
| 657 | 정예서/ 이기적 행복 | 효우 | 2015.06.03 | 318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