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병곤
- 조회 수 372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참담하고 비통한 마음으로 열흘을 보냈습니다. 안타까움과 분노가 치솟아 오르다가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기력을 반복했습니다. 피지도 못하고 지는 꽃들의 울부짖음을 어른들은 외면하고 책임을 지지 않았습니다. 아니, 공감능력이 전혀 남아있지 않은 사람들처럼 헛발질과 염장지르기를
난사했습니다. 어른들은 이미 영적으로 죽었습니다. 극도의
공포에 떨다가 하늘로 간 청춘들과 남아 있는 가족들에게 도대체 누가 사과와 위로를 해야 합니까? 정말
우리나라가 이 정도 수준 밖에 되지 않는지 답답한 마음뿐입니다. 그저 함께 슬퍼하고 함께 미안해하고
함께 손잡고 함께 부둥켜 안고 함께 목놓아 외치는 수밖에요.
죽음은 삶의 가장 큰 상실이 아닙니다. 이미 삶이 종결되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가장 큰 상실은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 소중하게 여겼던 것이 무너져 내리는 것입니다. 그것은 자식을 먼저 보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과부, 홀아비, 고아라는
호칭은 존재하지만 자식을 먼저 보낸 부모는 그 슬픔을 달리 표현할 수 없어서 호칭을 만들 수 없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한 그것은 당연한 상식과 진실이 받아들여지지 않음에 대한 분노와 좌절일 수 있습니다. 사건을 신속히 해결해야 할 주체가 납득할 수 없는 행동을 하고 가슴이 찢어질 거 같은 부모의 마음에 오히려
구멍을 냈습니다. 이번 사건은 이 두 가지 상실의 극적인 결합입니다.
그래서 온 국민이 집단적으로 슬퍼하고 있습니다.
잊지 맙시다. 4월 16일 꽃다운 청춘의 아득한 아픔을! 제 마음을 담은 노래 하나를
전하며 짧은 편지를 대신할까 합니다. 얘들아~ 부디 못난
어른이 없는 곳에서 행복하기를…
서럽다 뉘 말 하는가 흐르는 강물을
꿈이라 뉘 말하는가 되살아오는 세월에
가슴에 맺힌 한들이 일어나 하늘을 보네
빛나는 그 눈 속에 순결한 눈물 흐르네
가네 가네 서러운 넋들이 가네
가네 가네 한 많은 세월이 가네
마른 잎 다시 살아나 푸르른 하늘을 보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477 | 욕망에서 욕구로 | 문요한 | 2014.04.09 | 3894 |
2476 | ‘삶에 답하는 숲’ 이야기를 시작하며 | 김용규 | 2014.04.10 | 3004 |
2475 | 전화번호를 바꿨습니다. | 박미옥 | 2014.04.11 | 3242 |
2474 | 고양이가 되고 싶었던 쥐 | 書元 | 2014.04.12 | 3199 |
2473 | 사람이 좋으면서 혼자이고 싶다 | 연지원 | 2014.04.14 | 3498 |
2472 |
주의 깊은 눈 ![]() | 승완 | 2014.04.15 | 3562 |
2471 | 안이 아니라 밖을 보라 | 문요한 | 2014.04.16 | 2950 |
2470 | 엔지니어의 가슴을 열어젖힌 숲 | 김용규 | 2014.04.17 | 7299 |
2469 | 타이타닉호 선장은 정말 영웅인가? | 연지원 | 2014.04.21 | 4327 |
2468 |
삶의 주제가 ![]() | 승완 | 2014.04.22 | 3165 |
2467 | 가슴 아픈 봄에 우리는 | 문요한 | 2014.04.23 | 3198 |
2466 | 가슴으로 만나는 숲 | 김용규 | 2014.04.24 | 3382 |
» | 4월, 한 많은 넋들이 가네 | 오병곤 | 2014.04.25 | 3727 |
2464 | 촛불 하나 [1] | 어니언 | 2014.04.26 | 3231 |
2463 | 버릇없음이 아니라 모범없음이다 | 연지원 | 2014.04.28 | 2938 |
2462 | 상대가 이해되지 않을 때 | 문요한 | 2014.04.30 | 3239 |
2461 | 자각하며 살기 | 김용규 | 2014.05.01 | 3138 |
2460 | 내 안의 선장 | -창- | 2014.05.03 | 2906 |
2459 | 좋아하는 시간대가 언제입니까? [1] | 연지원 | 2014.05.05 | 3044 |
2458 |
삶과 마음을 위한 생활습관 ![]() | 승완 | 2014.05.06 | 3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