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iffey
- 조회 수 5547
- 댓글 수 61
- 추천 수 0
새벽시간과 새벽활동
1.새벽시간 : 오전 4시30분~7시 00분
2.새벽활동 :
*한달에 영화 한편씩 외울때까지 보기 (50번씩 보기),
*아침 식사 즐겁게 하기
3.구체적인 타임라인:
*4:20~4:30: 출석체크 및 세수, 수분크림 듬뿍 바르기, 머리 정리하기
*4:30~5:50: 영화 보기 및 표현 익히기
*5:50~6:30: 식사 준비 및 식사, 정리까지 완료
*6:30~7:00: 영화 표현 복습 (금요일은 식단짜기)
*7:00~7:30 출근준비
나의 전체적인 목표 (1~2가지)
1.남이 아닌 ’나에게’ 의미있는 하루를 만들기 위해 내 시간을 내가 조정하고 습관화하여 건강한 삶의 패턴을 몸에 익힌다.
2.고급 영어 실력을 쌓는다.
3.건강한 식생활을 즐겁게 자리잡게 한다.
중간 목표 (3~5가지)
1.영화 통째로 외우기
*5월 : Love actually
*6월 : About time
*7월: Sherlock –Belgravia scandal
*8월 : Billy Elliot
2.식사
*소박하지만 건강한 아침 식사를 즐겁게 차려서 음악과, 남편과 함께 레스토랑처럼 기분 좋고 여유롭게 식사하기 – 매일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난관과 극복 방안 (2~3가지)
1. 동료, 친구들과의 관계 유지를 위한 시간 할애
일찔 출근하니 밀도 있게 일하면 충분히 7시면 퇴근할 수 있는데 사람들 눈치를 보느라, 혹은 서로의 하소연 및 농담을 하느라 7시 반이 넘어야 사무실을 나온다. 혹은 저녁 식사 자리에 참석하는데 일부는 내게 소중한 시간이지만 일부는 내가 내 가족을 돌보는 것보다 의미가 덜함에도 쿨하기 위해서 Yes라고 답하고 참석한다.
100일간은 최대한 내 몸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케줄링을 위해, 내 시간을 내가 의미있게 만들기 위해 약속을 최대한 잡지 않고 7시 반이면 집으로 출발하겠다. 그리고 10시, 늦어도 10시 반에는 잠이 들 수 있도록 할 것이다.
2. 네이버 뉴스, 블로그, SNS에 무의미하게 시간 흘려보내기
네이버 뉴스 탐독, 드라마 줄거리 읽기, 쇼핑몰 탐방, 마크해둔 블로그 글 update하며 읽기, Facebook 순례 및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라인 메세지 답하기에 시간을 정말 많이 할애하고 있다.네이버 라인과 카카오톡의 알림푸쉬를 지우고 아침에는 절대 열어보지 않는다.
누워서 뉴스를 보다가 쓰러져 잠들때도 있다. 끊기로 한다. 블로그 마킹을…다 지우겠다. 핸드폰 Facebook 사이트와 카카오스토리 app도 삭제한다.
3. 잠과 게으름, 귀찮음과의 싸움
핸드폰 자명종을 3~4개 이상 맞춰놓는데 못 들을때도 있고, 어떨때는 끄고 다시 잔다. 무조건 첫번째 알람에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일어나면 바로 세수를 하고 다시금 머리를 물에 적시기로 한다.
그리고 바로 재미있는, 내가 하고 싶은 활동을 한다. 해야 할 일을 생각하면 일어나기 싫다. 안 치우고 잔 집 상황이 머리에 떠오르는 순간, 혹은 냉장고에 먹을 것이 없는 상황이 떠오르는 순간…일어나기 싫다.
따라서 따라서 저녁에 무조건 내일 아침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두고 잔다. 예를 들면 전기밥솥 타이머를 맞추어두고 잔다. 그리고 금요일 아침에는 무조건 식단을 짜서 고민할 일이 없도록!
4. 중요하지 않은 일을 주섬주섬 하는 습관
아마 아침에 식사후 30분을 마저 가져가는 일이 쉽지는 않을 듯 하다. 식사와 정리가 늦어진다던지, 밤새 온 메세지에 답을 한다던지, 뭐 입고 갈까 쓸데없이 여러번 고민한다던지, 괜히 집을 더 치운다던지….
30분간은 하지 않도록 한다. 무조건으로 7시까지는 하지 않는다.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내 삶에서 일어날 긍정적인 변화 묘사 (1~2가지)
1.활기차고 화목한 가정이 된다.
내 시간이 너무나 절실하게 갖고 싶었다. 나는 차분히 앉아서 내 일신을 정리하고 책을 보고 공부를 하고 내가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는게 필요한 인간인데, 아이와 가정, 직장을 병행하는 것은 내게 그런 시간을 쉽게 허하지 않았다. 그 답답함과 화는 남편에게로 돌아갔다. 나만큼 힘들어보이지 않는 남편이 미웠고, 다투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생각해보고 싶지 않았고 오히려 남편이 그런 제안을 할 때는 저항하고 싶었고, 그저 네가 해주지 않는 일에 대한 원망이 커졌다. 이 악순환의 고리를 순순환의 고리로 돌릴 수 있다. 새벽이라는 모티브를 가정의 활력소로 끌어갈 수 있으리라는 걸 나는 예전부터 이미 알고 있었으니 이제는 실천해보겠다.
2.영어 커뮤니케이션에 훨씬 더 자신감을 가진다.
영어가 다가 아닌데 이상하게 영어는 오랫동안 나의 컴플렉스였다. 하지만 다행히 지금은 컴플렉스까지는 아니다. 영국계 회사를 다니면서 알게모르게 많이 좋아졌다. 하지만 여전히 수많은 Native 사이에서 상대적 부족함을 너무 많이 느낀다. 여전히 1:1이 아닌 다수 앞에서 영어로 얘기하는 것은 긴장되고 주눅이 들며, 중요한 자리에서의 문장은 어색할까봐 망설여진다. 매우 생생하게 나의 욕심을 묘사하자면, 나는 ‘외국에서 살고 공부한적도 없는데 영어를 아주 잘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 것이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 내가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자랑스럽게 여기고 싶다. 왜냐하면 현재까지… 나의 희망하는 바에 비해서, 의식적으로 꾸준한 노력을 더해본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번을 계기로 영어가 나의 강점으로 자리잡고 내가 내 스스로에게 뿌듯함을 느끼길 바란다.
3.건강해진다.
최근 내 몸과 식성이 신기하게 변했다는 생각이 든다. 조미된 음식, 인스턴트에 꽤나 길들여져있고 김치나 초록 나물 하나 없이도 잘 살던 나였는데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남편과 산지 6년이 다되어가자 상추쌈이 진심으로 맛있어지기 시작했고 과자를 못 먹게 되기 시작했다. 이 추이를 좀 더 끌어올려보고 싶다. 피부도 좋아질 것이고 속도 더욱 편해지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음식은 우리 부부의 좋은 화제거리이다. 즐겁게 함께 준비하고 먹는 의식을 통해 몸도 마음도 더욱 행복하고 건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잠도 마찬가지이다. 다섯살 먹은 내 아이도 늦게 오는 엄마와 조금 더 놀기 위해 늦게 자고, 또 늦게 일어나고 했는데 최대한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아이로 습관을 길러주고 싶다. 이 아이는 나처럼 힘들게가 아니라…어릴때부터 가족의 습관을 통해 새벽을 잡는 아이가 될 수 있도록.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나에게 줄 보상 (1가지)
-다이아 6프롱 귀걸이 (쥬브의 보석함)
8월 25일 월요일
부끄럽게 딱 50개로 채우는 나의 단군일지. 오늘은 주말 내내 집정리를 해 둔 덕택을 보아 월요일 아침 기상해서 졸지도 않은채 영화보고, 밥먹고 기분좋게 하루를 시작했음. 아래 하나 8월 16일자 하나 더 썼으니 51개. 마지막날 쓰면 52개로 겨우 턱걸이 하겠네.
사실 7월 중순부터 좀 힘들었다. 가장 힘들었던 것은
1) 영어실력이 그다지 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
2) 시간이 너무 이르다보니 7월 중순부터는 많이 졸았다는 것.
3)피곤해서 억지로 하다보니.....!!! 회사에서 요즘 쟤 왜저렇게 팍삭 삭았냐고 어디 아픈거 아니냐고 걱정스런 말을 들었다는 것.
내가 거울을 봐도 아 이게 30대 중반에 한방에 맛이 가는건가 싶을 정도의 아줌마가 서있어서...!!!! 이 짓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고민했다는 것.
결론은, 재정비해서 다시 달려야겠다는 생각. 무조건 호기롭게 간다고 다 되는 것도 아니고, 정신력으로 버틴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딱 세미나때 들었던 단계별 감정상태가 그대로 든다는 것이 신기하다. 새로운 단계를 달릴 수 있기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