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338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나는 기본적으로 사람은 단지 상품을 소비하고 쓰레기를 배출하는 것보다 더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어 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사람이 인생을 돌이켜보며 자신이 한 일 중에서 가장 의미 있다고 여기는 일은 남들을 위해 자신이 사는 곳을 좀 더 좋은 곳으로 만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보면 되는 거예요. 내가 누군가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다면, 그보다 더 큰 동기부여가 세상에 있을까요?”
- 동물 운동가, 헨리 스피라 -
---------------------------------------
2012년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헌혈 인구는 272만명이었습니다. 물론 그 중에는 마지 못해 한 사람들도 있겠지만 상당수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왜 이들은 헌혈을 하는 것일까요? 막말로 돈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누군가 칭찬을 바라는 것도 아니고 헌혈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나중에 수혈을 받을 수 없는 것도 아닌데 말이지요. 1995년에 스웨덴 경제학자 Magnus Johannesson등은 헌혈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약 7달러의 사례비를 주겠다고 제안하였습니다. 어떻게 되었을까요? 오히려 헌혈자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비슷한 예로 미국 퇴직자협회에서 변호사들에게 가난한 퇴직자들을 위해 저렴한 비용으로 법률 서비스를 해주기를 요청했는데 많은 변호사들이 거절했지만 무료로 해줄 수 없느냐고 제안하자 많은 변호사들이 선뜻 응했습니다. 이외에도 왜 많은 사람들은 드러내지 않고 봉사활동을 하고 익명으로 재산을 기부하는 것일까요? 그렇습니다. 사람들에게는 자발적으로 누군가를 돕고 싶은 본연의 욕구가 있으며, 보상과 인정이 주어진다고 느끼면 그 자발적인 욕구와 가치가 훼손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인간에게는 두 가지의 큰 동기부여 축이 있습니다. 첫째는 도파민 축입니다. 욕망의 신경호르몬인 도파민은 보상, 성취, 쾌락이 예상되거나 주어질 때 분비되어 우리에게 즐거움을 줍니다. 이는 오래가지 못하고 자꾸 새로운 자극을 추구하게 됩니다. 두 번째는 옥시토신 축입니다. 관계와 사회적 연대의 신경호르몬인 누군가와 연결되어있거나 돌봄을 주고받거나 신뢰한다고 느껴질 때 방출됩니다. 이 두 가지 축은 모두 동기부여에 중요합니다. 남녀 간의 사랑을 예로 들면 열정적인 연애 초반에는 도파민이 분비되어 가슴 뛰는 사랑을 하지만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지고 친밀함과 신뢰가 쌓이면서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우리는 안정적인 사랑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사람을 움직이는 가장 큰 힘은 무엇일까요? 자신만이 아니라 자신을 넘어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 사회에 기여한다고 느낄 때 우리는 가장 큰 힘을 만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는 이 힘이 필요합니다.
- 2014. 5. 21. 당신의 마음을 깨우는 '문요한 에너지 플러스' 760호-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377 |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 어니언 | 2024.12.26 | 339 |
4376 |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 불씨 | 2025.01.08 | 403 |
4375 | [수요편지] 삶과 죽음, 그 사이 [1] | 불씨 | 2025.02.19 | 407 |
4374 | [수요편지] 발심 [2] | 불씨 | 2024.12.18 | 432 |
4373 | 엄마, 자신, 균형 [1] | 어니언 | 2024.12.05 | 453 |
4372 |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 어니언 | 2024.12.19 | 503 |
4371 |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 어니언 | 2024.10.24 | 568 |
4370 | [수요편지] 언성 히어로 | 불씨 | 2024.10.30 | 664 |
4369 | [목요편지] 두 개의 시선 [1] | 어니언 | 2024.09.05 | 675 |
4368 | [수요편지] 내려놓아야 할 것들 [1] | 불씨 | 2024.10.23 | 692 |
4367 |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 에움길~ | 2024.08.20 | 696 |
4366 | 가족이 된다는 것 | 어니언 | 2024.10.31 | 698 |
4365 | [수요편지] 타르 한 통에 들어간 꿀 한 숟가락 | 불씨 | 2024.09.11 | 706 |
4364 | [수요편지] 다른 의견을 가질 권리 [1] | 불씨 | 2024.08.28 | 709 |
4363 | [수요편지] 레거시의 이유, 뉴페이스의 이유 | 불씨 | 2024.10.02 | 717 |
4362 | 관계라는 불씨 [2] | 어니언 | 2024.12.12 | 717 |
4361 |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 어니언 | 2024.08.22 | 730 |
4360 |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 불씨 | 2024.08.21 | 737 |
4359 | 며느리 개구리도 행복한 명절 | 어니언 | 2024.09.12 | 745 |
4358 | [수요편지] 마음의 뺄셈 | 불씨 | 2024.10.16 | 7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