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수일
  • 조회 수 1461
  • 댓글 수 9
  • 추천 수 0
2014년 6월 17일 11시 18분 등록

2차 오프 수업 후기_중요한 경험

2014. 6. 17


일정: 2014. 6. 14(토) ~ 15(일) 무박이일

장소: 아산 황토멘션

목적: 데카상스 2차 오프 수업

주제: 인생의 중요한 경험 세가지


#1. 한 발짝 더


아직 쏟아낼 때지 쌓거나 정돈을 말할 단계는 아닌 모양이다. 언감생심이다. 목구멍에 뭐가 잔뜩 걸려있고 아랫배에도 똥 덩어리와 가스 따위가 잔뜩 찼으나 위로도 아래로도 쏟아 내지 못하고 있다. 내가 내게로 한 발 더 다가가야 할 것인데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발을 떼는 것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내게로 한 발’이라고 하는 것의 주체에 관해서 아직 분명하게 선택지를 찾지 못한 모양이다. 울림이 있으나 공허하다. 그 자리에 서 있지만 유령 같다. 발은 여전히 지면에서 한참 떠 있다. 아직 발이 내리지 못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데카상스 모두는 이제 한 기둥에 각자의 가지를 뻗어내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자람의 크기도 색깔도 위치도 모두 다르다. 나는 이 차이가 시작부터 있던 것인지 그간의 차이인지 알지 못하겠다. 그리고 이 차이는 우열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바라건대 둥치는 한가지일 것이다.


2차 오프 모임이 끝나고 창 선배는 이렇게 말했다. 

“앞으로 수업에서 일과 직장에 관련된 이야기는 배제하는 방향으로 하면 어떨까 하는 것입니다. 일과 직장에 관한 이야기가 무익하고 수업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은 아니고 외부에서 주어진 일과 직장보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근원적 고민을 해 보자는 것입니다. 스스로 자기 자신을 더 깊이 보고 자신이 걸어가야 할 길에 대해 더 생각하는 기회를 가졌으면 해서 입니다. 언젠가 떠날 직장보다, 내가 하고 싶고 만들어가고 싶은 것들, 죽을 때까지 끌어안고 가야하는 자기 자신을 제대로 보자는 것입니다.”


이번 오프 모임을 요약하는 전부라고 생각되는 코멘트라고 생각한다. 그 동안의 삶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경험이란 것이 고작 외물에 좌우된 표피적이고 현상적인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을 것인데 그리 정리해서 오고 말았다. 그간 내게는 그런 성취가 중요했던 모양이다. 사람에게 보여지는 것과 내가 나를 인정하게 하는 동기가 고작 그랬던 모양이었다. 이것을 발견이라고 한다면 자위가 될 것인가! 나다운 삶을 찾아 나선 걸음이 그 사이 3개월이나 되었다. 지금쯤은 한 가닥 끄트머리를 찾을 법도 하건만 아직 요원하다. 


아프고 시린 기억도 눈물 젖은 빵을 먹던 기억도 그 사이 희미해 졌었는데 병곤 선배의 한마디로 그때 그 기억들은 다시 일어났다. 그 일들은 해소된 것이고 용서된 것이었다. 그 일들이 아직 내게 어떤 행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숨기고 싶다거나 피하고 싶은 일들은 결코 아니었다. 이젠 그저 ‘그때 그런 일’ 정도라고 생각했다. 말하기 싫어서가 아니라 말할 이유나 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일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자마자 나는 일렁였다. 당신도 나도 서로 힘들어서 그랬던 거였는데…….

이제 그때의 시간들을 삭여서 관조할 수 있게 되었다. 끄집어 낼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때의 나를 다시 만나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잘 우는 사람이 아니었다. 요즘은 툭하면 눈물이 난다. 





#2 낮에 꿈꾸라. 


꿈은 밤에 꾸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말짱한 정신에 온전한 힘으로 백주대낮에 꾸는 꿈이 진짜라고 했다. 친구들과 술잔 붙잡고 나눌 꿈일랑은 꿈이라고 하지 마라. 그것은 하소연이고 푸념이다. 꿈은 불평불만이 아니다.

현실과 이상을 연결해줄 다리를 놓으려면 꿈은 낮에 꾸어야 한다.


박노진 선배는 ‘외식경영전문가’란 프로필을 만들었다. 10년 전 그는 허접한 자기계발서 초안을 스승에게 들이밀었다가 평생 가장 가혹한 꾸중을 들었다고 했다. 밥장사 하는 놈이 자기계발서를 내서 그게 설득력이 있겠냐는 것이 꾸중의 근간이었던 모양이다. 이후에도 줄 곧 그는 추천사를 받기 위해 스승을 찾았으나 일년이 넘도록 추천사를 받지 못했다고 했다. 10여년이 지난 후 그는 그의 스승이 그랬던 것처럼 스스로 딛고 있는 자리에서 프로필을 만들어 냈다.


“낮에 꿈꾸라”는 말을 나는 노진 선배에게서 들었다.


IP *.104.9.210

프로필 이미지
2014.06.17 12:48:47 *.94.41.89

"나는 잘 우는 사람이 아니었다. 요즘은 툭하면 눈물이 난다. "

 

하얀 눈물이 까만 눈동자를 적실 때

붉은 가슴 속 파란 호수를 보게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6.17 13:54:07 *.50.21.20

시간이 좀더 흐르면 피울님 속 어딘가에서 몽당연필로 꾹꾹 눌러쓴듯한 글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6.17 14:31:20 *.219.222.34

이젠 그저 ‘그때 그런 일’ 정도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생각한 것이 아니라, 그렇게 생각하고 싶었을지도 몰라요.

어딘가에 잠들어 있을 그것을 흔들어 깨우는 일...한 번은 제대로 해야 될듯해요.

축하합니다. 시작되신거



프로필 이미지
2014.06.17 17:18:33 *.196.54.42

자리를 잘 잡아야 하겠구먼... 노진 선배의 주옥같은 이야기를 놓쳤으니...ㅜㅜㅜ


"나는 잘 우는 사람이 아니었다. 요즘은 툭하면 눈물이 난다." 정말?

.....요즘 나도 그래^^

프로필 이미지
2014.06.17 17:27:04 *.113.77.122

저도 박선배님의 말씀에 아주 공감을 많이 했습니다.


"낮에 꿈을 꾸라"  꼭 늦게까지 하는 이들에게 주는 한마디 말씀이신것 같았습니다.

피울님의 동기에 대한 사랑을 느낀 오프 수업이었습니다. 속깊고, 많이 주려고 하는 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중심에 계셔서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6.17 20:48:20 *.104.212.108

비슷한 속도로 울보가 되어가는 사람들이군요... 아무 때나 눈물, 좋은 거래요.

프로필 이미지
2014.06.19 14:48:57 *.39.145.123

요즘은 잘 우는 남자가 대세인가요? 하하하. 

헤헤헤. 헤헤. 저도 ... 눈이 너무 눈치가 없어서 .... 아무때나 눈물이 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6.19 15:18:28 *.65.152.36

그 똥덩어리와 가스 바로 제 일이었어요.... ㅋㅋㅋㅋ

그 똥덩이리가 그 똥덩어리였을까요?? ㅋㅋㅋㅋ

보면서 뜨끔!! 했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01:58:13 *.124.78.132

낮에 꿈꾸라는 이야기를 이렇게 글로나마 전달 받으니 다행입니다 ^^*

저도 원래 잘 울기도 우는데..요즘은 이상한 때에 갑자기 눈물이 난다는...ㅠㅠ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2 #10_3 두 번째 오프수업_뒷풀이 file [1] 정수일 2014.06.16 1502
1091 6월 오프 수업 후기 [12] 앨리스 2014.06.17 1505
1090 6월 오프수업 후기_뒹굴어야 그 참맛을 안다 [12] 어니언 2014.06.17 1548
1089 6월 오프수업후기 _ 구달칼럼#10 file [10] 구름에달가듯이 2014.06.17 1801
1088 ‘천공의 성 라퓨타를 찾아 떠난 여행’ 6월오프 수업 후기_찰나#10 [16] 찰나 2014.06.17 1799
1087 경험 or 사건 [17] 에움길~ 2014.06.17 1401
1086 오프수업 후기 [8] 녕이~ 2014.06.17 1382
» #10_0 두 번째 오프모임 후기_정수일 [9] 정수일 2014.06.17 1461
1084 6월 오프 수업 후기 - 이동희 [13] 희동이 2014.06.17 1607
1083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회고한 종종의 오프수업 [16] 종종 2014.06.17 1640
1082 3-10. 10기 수업 참관록 [27] 콩두 2014.06.17 1923
1081 MeStory(11) : 내게 영향을 준 사람들_1 [3] 타오 한정화 2014.06.17 1638
1080 감사하는 마음 [3] 정산...^^ 2014.06.17 1467
1079 오늘을 또 살아보렵니다 [6] 유형선 2014.06.19 1373
1078 #11 매제 보시게_정수일 [7] 정수일 2014.06.21 1312
1077 #11 3월 29일 첫 모임과 낮술 그리고 다시 보기 [17] 희동이 2014.06.21 1589
1076 천둥소리_구달칼럼#11 [14] 구름에달가듯이 2014.06.23 1634
1075 Why so serious? [16] 어니언 2014.06.23 1375
1074 7개월간의 전쟁 [15] 왕참치 2014.06.23 1427
1073 왜 스스로 깊어지지 못하는가?_찰나칼럼#11 [12] 찰나 2014.06.23 1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