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4년 6월 23일 05시 16분 등록

천둥소리_구달칼럼#11 (2014. 6. 23)

 

번쩍, 우르르 쾅! 천둥소리 천지에 가득한 날, 왜 이런 날이면 가슴이 뛸까?

 

퇴근 열차를 타고 일산 역에 도착하니 딸 민정이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퇴근 길에 갑자기 시작된 폭우가 더욱 거세어진다.  미리 우산을 준비하지 못한 나는 딸을 역에 세워두고 빗속으로 뛰어 나갔다. 역에서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있는 집이지만 장대비에 순식간에 물에 빠진 생쥐 꼴이 되어 버렸다. 우산을 쓰고 우리가 향한 곳은 집 근처 고기 집이다. 아내와 아들이 도서관에서 함께 저녁을 먹고 공부를 하는 덕분에 딸과 둘만의 데이트를 하게 되었다.

 

버스에서 내려 역으로 뛰어 오는데 천둥소리와 함께 우박이 막 쏟아지는 거예요. 내 참, 별일이 다 있어요. 아빠 일산에 토네이도 발생 한 거 알아요?  경운기가 말려 올라 가서는 논 바닥에 처박히고 비닐하우스와 집들이 다 날아가고 난리도 아니래요.  우리 집 소식통인 딸이 식당에 자리를 잡자마자 기염을 토한다. 창 밖으로는 비가 여전히 주룩주룩 내리고 화로 숯불의 화기가 얼굴에 와 닿자 눅눅하던 기분이 금방 보송보송해 진다.

 

이게 얼마만이냐?  너랑 나랑, 참 좋다. 장대비 오는 날 천둥 소리 들으며 단 둘이서 소주 잔을 기울이니 밤새도록 비가 퍼부어도 좋겠다.

 

아빠 나도 이런 날이 좋아요. 특히 천둥소리를 들으면 무섭기 보다는 가슴이 막 뛰어요 천둥소리에는 알 수 없는 이끌림 같은 게 있어요.

 

그래 맞아, 천둥소리! 그건 천둥소리 때문이었어 어느 여주인공의 독백 이었어. 아마 김주영이 쓴 소설일거야.  오늘처럼 천둥이 몹시 치는 날, 빨치산이 되어 자기를 찾아온 사내와 몸을 섞으면서 내뱉은 말이지. TV문학관에서도 상영되었는데 그 때 미친 듯이 귓전을 때리던 천둥소리만 기억에 남아있어.

 

왜 하필 그 순간에 천둥은 쳤을까요?

 

이제 보내면 앞날을 기약할 수 없는 내 남자와 살을 섞을 때, 그 마음은 천둥소리 외에는 표현할 길이 없었던 게지. 그 장면은 강렬한 인상으로 나의 기억에 남아 지금도 천둥이 치면 되살아나곤 해.

 

오늘은 아빠의 천둥소리 듣는 날이네요. 호호~

 

그때 난 왜 그랬을까? 천둥이 치고 비가 억수로 퍼붓는 여름날이었어. 초등학교 방과 후 뭘 하다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사람 하나 없는 운동장의 빗속으로 뛰어 들었지. 하늘을 향해 두 팔을 벌리고 맞는 비가 그렇게 상쾌할 수가 없었단다. 마치 쇼생크탈출의 주인공 에디가 하수관을 기어 탈출 후 두 팔을 벌리고 쏟아지는 폭우를 음미하는 장면 같았지.

 

아빤 아마 천둥처럼 살고 싶은 가봐요. 야성을 향한 그리움, 그 갈망이 있는 것 같애요, 아빠 속에.

 

그래, 그런 것 같다. 아빠가 천둥이 몹시 치던 날 새벽에 자전거를 타고 부산으로 떠나 던 날 기억하지? 네 엄마가 기겁을 했지. 제발 천둥이라도 멈추면 떠나라고 붙잡았지만 말려도 소용없다는 걸 직감하고는 내 두 손을 부여잡고 간절히 기도하기 시작했어. 난 생 처음으로 네 엄마의 기도를 받았단다. 사랑하는 낭군을 천둥 속으로 떠나 보내는 것이 마치 전쟁터로 보내는 것 같이 절박한 느낌이 들었던 모양이다. 천둥 덕분에 네 엄마 기도도 다 받아보고 대장정의 출발로는 아주 좋았어.

 

여주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다음날 새벽에 마치 먼 북소리 같은 천둥소리에 잠이 깨었지. 아직 사방은 어둡고 비바람은 거세게 몰아치고 있었지. 막상 이 빗속에 출발하려니 으스스한 게 정말 엄두가 나지 않았어. 그때 천둥이 쳤지. 마치 진군 나팔소리 같았어. 그대로 페달을 밟고 달려 나갔지.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 내가 부산까지 완주한 것도 그 천둥소리 덕분이다 싶어.

 

대추 한 알이 익기까지도 천둥 몇 개가 응원했는지 모를 일이라고 읊은 어느 시인처럼, 천둥소리는 내게 아마도 야성의 본능을 일깨우는 거부할 수 없는 계시가 아닌가 모르겠다.

 

지금도 천둥소리가 내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은 내 안의 늑대를 불러내는 신호이기 때문일 것이다. 니체도 천둥처럼 내게 와 닿았다. 내 안의 초인을 부르는 천둥소리, 그것이 니체였다.

IP *.101.168.170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09:25:02 *.223.24.181
저는 무슨 말인지도 모르겠던데요.
형님께서는 잉어한미리 낚으신듯 해요.

111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14:29:30 *.196.54.42

에헤이~ 예술가가 뭔 말인지 모르다니....^^

오늘 청둥 좋우은 날, 사의재 마루에서 천둥소리 잘 감상하이소.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12:53:57 *.253.45.190

"왜 하필 그 순간에 천둥이 쳤을까요?"

 

오늘도 우르릉 쾅쾅 !!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14:30:53 *.196.54.42

테헤란서도 천둥치나 보네 ㅎㅎ

사진 즐감함 감사^^, 사막사진은 없소?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16:39:44 *.113.77.122

천둥칠 때 이 글을 보니 오늘따라 천둥소리가 편안하게 들리는데요 

이제 천둥이 치면 구달님 생각날것 같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17:05:45 *.196.54.42

천둥소리 오늘은 완전 대박입니다 그려 ㅎㅎ

천둥이 치면 떠나고픈 이 마음은 병이겠지요? 찰나님은 어떠셔요?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18:24:26 *.23.235.60

지금도 천둥이 우르릉, 쾅!

요즘 천둥이 많이 치는게, 특히 일산에서 더 그러는 게 구달님 야성을 끌어 내는 신호였군요.

앞으로 그 늑대 보게 되겠죠?

프로필 이미지
2014.06.24 17:57:31 *.196.54.42

그래요, 외로운 푸른 늑대 우~우~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18:51:33 *.252.144.139

와, 딸하고 이런 질펀한 대화를 하다니!!!

딸이 엄청 성숙(?)한 나이인가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4.06.24 17:55:49 *.196.54.42

네~ 시집갈 나이..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4.06.23 21:18:52 *.218.180.133

그 드라마 저도 생각나요. 너무 어려서 이해할 수 없었던 내용들이었는데 왜 천둥소리라 했는지

구달님의 글을 읽으니 알겠네요.

저는 천둥소리는 좀 무섭고 비는 좋아요.

비를 한 번 흠뻑 맞아 보고 싶은데..

이번 하계연수 갔을 때 비 오면 한번 맞아 보는것 어떨까요?


프로필 이미지
2014.06.24 17:58:40 *.196.54.42

비는 잔차 타면서 맞는게 제격인데.... 그대도 잔차 함 타시죠?

프로필 이미지
2014.06.24 08:40:39 *.104.212.108

저도 천둥소리만 들으면 정신이 아득, 확 뛰쳐나가고 싶은 1인이어요~~~~   역시 구달님, 우린 느낌 아니까!

프로필 이미지
2014.06.24 17:59:37 *.196.54.42

역시 종종님은 뭔가 통한다니까~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0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5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