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4년 6월 27일 18시 18분 등록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_ 구달리뷰#12

John Bradshow 지음

오제은 역

 

1. 저자에 대하여

John Bradshaw (1933~ )

저자 존 브래드쇼는 가족치료사이며 내면아이 치료 전문가이다. 그는 원래 신부가 되기 위해 캐나다에서 사제 수업을 받았던 적도 있었으며, 토론토 대학교에서 신학과 심리학, 영성 분야에서 3개의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의 PBS(교육방송) 텔레비전 〈인간성장의 8단계〉의 진행자와 대중강연가로서 그리고 가족치료와 내면아이 치료 워크숍의 인도자로서 수많은 사람들의 상처받은 내면을 치료하고 가족관계를 회복시키는 일을 20년 넘게 해 왔으며, 그가 저술한 『가족』, 『수치심의 치유』, 그리고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가 뉴욕 타임스 연속 베스트셀러를 기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책에서 브래드쇼는 자신이 "지금까지 실시되어온 상담과 심리치료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프로그램"이라고 고백한 그의 내면아이 치료 워크숍(Inner Child Workshop)의 진수를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 쓴 그대로의 삶을 직접 살았던 ‘살아있는 인간문서’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1970s, John Bradshaw served as director of human resources and served on the board of directors of Texas General Oil Company. Bradshaw is the developer and presenter of workshops for forty Fortune 500 companies and thousands of evolved non-profits and for-profit institutions.

He has presented lectures and workshops for educational, professional and social organizations since 1964. He has served as: member, board of directors and as president of the Palmer Drug Abuse Program (1981-88); national director of Life-Plus Co-Dependency Treatment Center (1987-1990); founder and national director of the John Bradshaw Center at Ingleside Hospital in Los Angeles (1991-1997); and member, national board of directors of The International Montessori Society (1990-present). He is an honorary lifetime board member of the Council on Alcohol and Drugs in Houston.

Since 1999, Bradshaw has also been a senior fellow at The Meadows Institute. The Meadows is a multi-disorder inpatient facility in Arizona specializing in the treatment of a range of addictions. The facility's intensive treatment focuses on drug and alcohol addiction, sexual addictions, depression, eating disorders, psychological conditions, affective disorders and compulsive behaviors. It takes a holistic approach to addiction recovery and includes a wide variety of therapeutic approaches, including the Twelve-step program of Alcoholics Anonymous.

In 1991, Bradshaw was nominated for an Emmy for Outstanding Talk Show Host for his series Bradshaw On: Homecoming and his newest book Reclaiming Virtue, published by Bantam, a division of Random House, is Pulitzer nominated for this body of work

저자의 이력은 화려하다. 수없이 강연을 하고 책을 쓰고, TV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명성을 떨친 중에서도 나는 저자 본인이 알코올 중독을 극복하고 오히려 중독자들을 실질적으로 돕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수만은 알코홀릭들을 구제해 낸 그의 이력에 방점을 찍고 싶다.

자신만 치료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까지 도움이 되는 길을 찾아 봉사한 그가 참으로 위대해 보인다. 나도 내 길을 찾아 실천해 간 로드맵을 그려서 비슷한 길을 가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되어야 하겠다.

2. 내가 저자라면

 

이 책은 우리 내면을 치유하여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훈련서이다. 우리들의 뒤틀린 삶의 속에는 어릴 때의 상처 입은 내면아이가 울부짖고 있어, 어른아이로 삶을 망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상처 입은 내면아이를 치료하여 본래의 놀라운 아이로 회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방법론이 절반 정도된다. 그만큼 '실용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무슨 그림책처럼 판형이 크고 여백도 많아 읽으면서 떠오른 생각을 바로 메모하기도 좋았다. 1부와 2부는 원래 타고난 놀라운 아이가 어떻게 해서 상처 받은 내면아이로 타락해 갔는지 성장 단계별로 조목조목 그 원인을 짚어주고, 수많은 임상 사례를 곁들여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게 만든다. 나머지 3,4부는 실제적인 구체적 치유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도 이 책이 제시하는 대로 실습을 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는 책이다. 신선한 느낌이었고 번역도, 글도 마음에 든다.

 

이 책이 살짝 아쉬운 점은 중간 중간 타인이나 그룹형 액션을 취하는 것이 많다는 것인데, 이것은 읽기 위해서 만든 책이라기 보다는 따라 하기 워커샵용으로 더 적절할 것 같다.

 

우리는 나이를 먹어가면서 ‘감정’을 통제할 것을 요구 받는다. 물론 감정은 스스로가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 ‘통제’의 의미 속에는, 그것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감정을 감정으로 다스리는’ 것의 의미가 아닌 ‘억제’의 뜻이 너무나 강하다. 울어서는 ‘안되고’ 화내서는 ‘안되고’ 미워해서는 ‘안되고’. 맥락과 이유와는 상관없이 감정을 억누른다. 처음에는 그것이 외부의 강제에 의한 것이었지만 점차 그 강제는 내면화되어 간다. 이제 남은 것은 ‘감정표출’에 대한 ‘부끄러움’뿐이다. 우리는 ‘냄새 맡듯이’ 느낄 필요가 있다. ‘내가 나의 비밀들을 나눌 때,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공감한다’는 브래드쇼의 말을 믿어보자.

 

나의 상처 입은 내면아이가 손에 잡힐 듯 느껴져 "네가 어떤 모습이라도 괜찮아. 나는 너를 떠나지 않을 거야. 항상 곁에 있어 줄게" 이 날을 주문처럼 외면서 이 책을 읽었다. 먼저 나의 내면아이를 느끼고 밝은 햇빛 속으로 노출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물론 고통스럽겠지만. 이 과정에 사용하는 선언문 낭독이나 시각화 작업 같은 내력 바꾸기가 인상적이다.

 

여러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자기에게 잘 맞는 방법을 찾아 꾸준히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본래의 자기자신인 놀라운 아이가 나타날 때까지.

 

3. 감동의 구절

 

역자서문 -3

 

5
상처 입은 내면 아이를 품은 채로 겉만 성장하여 어른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치유되지 않은 상처들은 아직도 우리 안에 남아 있으며 불행하게도 가장 가까운 사람들에게 그 상처를 전달하며 살아가게 된다.

 

그래서 자신의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발견하고 부둥켜 안는 내면아이 치유의 경험이 필수적인 것이다.

 

저자서문 -7

 

12
내면아이에 관한 연구는 크게 3가지 매력이 있다 그것은 사람들이 치료를 통해 변화는 속도와 그 변화의 깊이와 정도, 그리고 과거의 상처가 치료 될 때 생기는 놀라운 힘과 창조성이다.

 

13
자신이 어렸을 때 그토록 듣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말을 듣게 되면 처음에는 흐느끼다가 결국에는 통곡을 터뜨리곤 했다. 그러고 나면 그 동안 속에 쌓여 있던 오래되고 얼어붙은 슬픔이 조금이나마 녹는 것을 느낀다.

 

14
나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이야기해 주었다. 하나는 그들이 안고 있는 내면 아이를 위한 명상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명상을 하다 보면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감정을 숨김 없이 다 토해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또 하나는 규칙적으로 하루 중 얼마간의 시간을 내면아이와 대화해 보도록 노력하여 명상을 해 보는 것이다.

 

15
우리가 선천적인 아이, 또는 놀라운 아이를 느낄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예를 들면 옛 친구를 만날 때나 배꼽이 빠질 것처럼 허리를 쥐고 웃어 재칠 때, 자연스러우며 창조적일 때, 놀라운 광경을 보며 탄성에 젖어 있을 때와 같이 자연히 우러나오는 감정을 느낄 때다.

 

17
어쨌든 우리의 경험을 처음으로 정리하는 것은 우리의 내면아이이기 때문에 인간의 핵심 요소를 즉시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내면의 아이와의 접촉을 시도하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노이로제와 성격 장애가 우리의 일생 동안 반복되는 풀리지 않는 어린 시절 부조화의 결과라는 것을 처음으로 밝힌 사람이다. 그래서 그는 환자가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드러낼 수 있고, 그의 충족되지 못했던 욕구를 치료사에게 전이시킬 수 있을 만큼 안전한 환경을 치료사가 제공함으로써 상처받은 아이를 치료하는 방법을 시도했던 것이다.

 

18
내면아이로 하여금 미처 끝내지 못했던 일을 끝낼 수 있도록 새로운 부모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 했다.

 

진짜 양육은 아마도 그녀 스스로가 성인으로서의 힘으로 내면아이를 발견하고 잘 돌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일 것이다. 이 책에서 나는 당신 스스로가 내면의 아이를 돌보고 변화시키고 또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18-19
1부에서는 당신의 놀라운 아이가 어떻게 해서 그 경이로움을 잃어버리게 되었으며 어린 시절의 상처가 지금도 계속해서 당신의 인생을 파멸시키는지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2부에서는 어린 시절의 각 성장단계 별로 돌아가서 당신이 건강하게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했는지를 알려줄 것이다.

 

3부에서는 당신의 아이가 성장하고 피어날 수 있도록 돕는 특정한 교정 연습을 제시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당신의 내면아이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른 성인들을 만나는 올바른 방법을 배우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생성할 때 당신의 내면 아이를 보호할 경계를 만들어 놓는 것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4부에선 당신의 내면아이가 치유됨에 따라서 어떻게 당신의 놀라운 아이가 자리잡게 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이 놀라운 아이가 당신이 지키고 있는 가장 창조적이고 변혁적인 힘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당신의 놀라운 아이는 창조주를 가장 닮은 당신 안의 부분이고 그리고 하나님을 이해 할 수 있게 하고 하나님과 당신 자신이 직접 적으로 개인적인 관계를 맺도록 인도해 줄 것이다. 이것이 가장 깊은 의미의 치유이며 위대한 선생님들에 의해 확인 된 것이다.

 

그것은 내 생각의 변화와 행동이나 자신의 내면아이로부터 나온 결과라는 것이었다. 나 자신이 발견해 낸 내면아이가 그 원인이었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던 일이었다

 

1부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문제 -25

들어가며 -26

1장 당신 안의 상처받은 내면아이가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엉망으로 만들어 버리는가 29

27
우리모두가 '시 그 자체'였던 그 놀라운 시작, 어린 시절에 도데체 무슨 일이 있은 것인가? 슬프고 두려움과 의심의 가득 차 있고 불안해 하며 우울한 그리고 말할 수 없는 갈망으로 가득 찬 그들을. 우리가 과연 어떻게 해서 우리의 즉흥적인 기이 함과 창조성을 상실한 것인가에 대해 더 확실히 알게 되면 회복할 수 있는 길을 찾게 될 것이다

 

31
특히 화가 나거나 상처 받았을 때의 감정들을 그 아이가 그대로 가진 채 자라서 성인이 된다면, 화나 있고 상처받은 그 아이는 어른이 된 후에도 계속해서 그의 내면에 자리잡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내면의 아이는 그 사람이 성인으로 행동 하는데 계속 해서 지장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나는 과거의 무시당하고 상처 받은 내면 아이가 바로 사람들이 겪는 모든 불행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믿는다

 

32. 상호 의존증
이는 일종에 정체성 상실의 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호 의존적 관계가 된다는 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 바람 등을 포기 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 하기 때문이다.

 

33
누구도 그녀를 싫어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나 사실 그녀는 착한 사람인 척 자신을 위장 했을 뿐이다. 그녀는 계속해서 연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착한 이미지는 그녀의 거짓자아인 셈이다. 그녀는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다. 그 이유는 그녀가 자신의 실체를 잃어버린 지 너무 오래 되었기 때문이다.

 

34
위의 사례들에서 우리는 한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이 사람들은 한결같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그들 바깥에 있는 어떤 것들에 전적으로 의존 한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바로 상호 의존적인 상태들이다.

 

그런데 만약 가정 환경이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으로 가득 차 있다면, 아이는 오로지 바깥 세상으로 눈을 돌려 거기에만 모든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결국 그 아이는 자신의 내면에서 자기 존중감을 키워 나가는 능력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건강한 내면 세계를 갖지 못한 채 바깥 세상에서 뭔가를 성취하려는 시도나 노력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이것이 바로 상호 의존증이며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증상이다.

 

35. 공격적 행동
히틀러의 경우를 보자 그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에게 상습적으로 매를 맞고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유태인 지주의 사생아였다 폭력적인 아버지에게서 학대 받은 자란 이 아이는 결국 인류역사상 죄 없는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가장 극단적인 잔인성을 자행 했다.

 

36
이 어린 소년은 잔인한 아버지의 이 엄청난 폭력 앞에서 무기력하게 떨고 있는 자신이 결코 안전하지 못하다는 걸 깨달았다. 그래서 도슨은 자기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하기 시작했고 결국 자기 아버지처럼 되어 버렸다. 도슨은 잔인한 자기 아버지처럼 되어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당했던 것과 똑같은 상처를 주고 있었던 것이다.

 

인간성을 파괴하는 주요인인 공격적 행동은 어린 시절의 폭력과 학대 해결되지 않은 슬픔의 결과물이다. 한때 무력하게 학대 당한 어린 아이가 자라서 가해자가 되어 버린다. 이 과정을 '가해자와 동일시 하는 것'이라고 설명 한다

 

학대 받는 동안의 아이들은 자신의 원래 모습으로 남아 있을 수가 없다. 이 고통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아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 버리고, 대신 자신을 그 가해자와 동일시해 버린다. 아마 좀 더 심각한 경우는 성범죄자들일 것이다. 이들의 대부분이 어린아이였을 때 성적 피해자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들은 어린아이에게 나쁜 짓을 저지를 때 자신들이 어린 시절에 당했었던 학대를 떠올리곤 한다.

 

38. 자기애적 성격 장애
아이였을 때 제대로 채우지 못한 욕구들의 상실을 슬퍼하는 것이야말로 치유의 시작이다.

 

자기중심적인 성인아이의 욕구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무엇인가에 중독되어 버린다. 중독은 마음의 공허한 빈틈을 채우려는 일종의 처절한 시도다. 예를 들면 섹스중독 이나 관계 중독이 대표적이다
물건이나 돈을 통해 자신의 존재 가치를 보상 받으려 한다
 
배우나 운동 선수 같은 유명인이 되고 싶어한다. 다른 사람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주목, 끊임없는 칭찬을 간절히 원하기 때문이다.

 

39. 신뢰의 문제
내담자 중 한 사람은 자신이 상황을 통제할 수 없는 게 너무나 두려워 일주일 내내 오랜 시간을 일만 하면서 보냈다. 그는 자신 외에 어느 누구도 믿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권한을 위임 할 수도 없었다.

 

=> 상황을 장악 하는 게 그만큼 중요 하기도 하다

 

39
결국 남편은 자신이 아내를 위해 무엇을 하든 언제나 네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낙담해 버린 것이다. 그녀의 문제는 자신이 직접 모든 것을 결정하지 않으면 마음이 편치 않다는 것이었다. 이런 극단적인 통제는 심각한 관계적 어려움을 만들어 낸다. 어느 누구도 자기를 믿지 않는 사람과 친밀해질 수 있는 방법이란 없는 것이다.

 

=> 아내도 내가 자기와 상의 하지 않고 독단으로 일을 처리할 경우가 많다는데 대해서 불만을 갖고 있다. 이는 부부의 신뢰를 깨는 단초가 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각별히 조심할 일이다.

 

40
자기 자신을 신뢰한다는 것은 자신의 능력 직관 생각 감정과 바람 등을 신뢰하는 것이다. 아이는 믿을 수 있는 양육자에게서 믿음을 배운다. 만약 엄마와 아빠의 행동이 일관 되고 어떤 행동을 할 지 예측 가능하며, 또 부모들이 자기 스스로를 믿고 있다면 그들의 아이 또한 부모를 믿게 될 것이고, 자기 자신을 믿는 법도 배우게 될 것이다.

40-41.
표출된 행동

이 감정은 움직임의 힘이다
본문은 우리가 스스로를 방어하는 쪽으로 행동하게 한다. 분노나 두려움, 슬픔 등이 제대로 표출되지 못할 때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표출적 행동이라 한다.

 

42

그녀의 직업이 바로 학대 받는 여성을 돕는 전문 상담가란 것이다. 이 얼마나 아이러니한가? 한편으로는 학대 받는 여성을 도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를 학대하는 남자들을 가까이 하면서, 어린 시절의 정신적 상처들을 행동으로 표출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과거의 해결되지 않은 감정의 에너지들은 그것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다시 표현되는 것이다.

메기의 이야기는 과거를 다시 반복해 보려는 충동을 아주 잘 보여주는 적절한 예이다. 현재 내가 잘해나감으로써 과거를 좋은 방향으로 되돌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그런 잘못된 믿음이다.

43. 내면적 행동

어렸을 때 다른 사람에게 받았던 학대를 자기 스스로에게 표출하는 것을 내면적 행동이라 한다.

그의 안에 쌓인 분노는 결국 자신을 향하게 되었다. 감정의 에너지가 안으로 표출되는 경우에는 심각한 신체적인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나아가 사고를 자주 일으키는 경향성도 내면적 행동의 또 다른 형태이다. 사고를 통해서 자기를 다치게 하고 고통을 줌으로써 결국 자기 자신에게 벌을 가하는 것이다.

44-45. 마술적 믿음

아이들의 사고는 마술적이다. 자신의 상황을 바꾸기 위해서 스스로 뭔가를 하기 보다는, 어떤 사건이나 사람이 자신의 현실을 바꾸어 줄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열심히 노력하면 꼭 보상받을 수 있을 거야. 계속 기다리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야. 같은 예이다. 여성들에게 있는 마술적인 믿음은 기다림이다. 자기에게 꼭 맞는 남자, 어디에선가 자기를 찾아 헤매고 있을 그 남자를 기다리는 것이다.

46-47. 친밀감 장애

많은 성인들이 혼자 버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다른 사람들에게 휩쓸려 버리는 것에 대한 두려움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다. 이들은 다른 사람이 거절할까 두려워 외부세계로부터 스스로를 영원히 고립시켜 버린다. 또 어떤 이들은 혼자 남겨질까 두려워 자신이 속해 있는 파괴적인 집단을 떠나지 못한다.

어떤 여성은 아무 감정 없는 결혼 생활을 30년 동안이나 유지하고 있다. 그녀는 사랑하기 때문에 결혼을 청산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 여성은 사랑과 의존을 혼동하고 있는 것이다. 그녀는 2세 때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후로, 한 번도 아버지를 다시 볼 수 없었다. 그녀가 마치 사랑이라 착각했었던 남편에 대한 의존성은 사실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었다.

아이가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상처는 바로 그들의 진정한 자아가 거부되는 것이다.

48 자기가 사랑 받고 있다고 믿기 위해서, 상처받은 아이가 그렇게 되기를 기대하고 상상하던 방식대로 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사실은 거짓자아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각본에 따라 자신이 했던 연기라는 것을 잊어 버리게 된다.

아이는 버림받는 것과 다른 낯선 곳에 떨어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된다. 사람들이 자신이 누구인지 알 때, 다른 곳으로 떨어지는 두려움을 갖지 않는다. 또한 자기 존중감과 자신감이 있을 때,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지 않는다.

50 친밀함이란 것은 두 사람 모두가 서로를 하나의 인격체로서 바라는 것이다.

50-51. 무질서한 행동

아이들에게 설교하는 부모보다는 자기훈련이 잘 된 부모가 필요하다. 아이들은 부모가 하는 말이 아닌, 부모가 실제로 하는 행동을 보고 배우기 때문이다. 부모가 제대로 된 모델이 되어주지 못했을 때, 아이는 무질서해 진다.

51. 중독적이고 강박적인 행동

나는 다른 사람에게 사랑 받고 인정받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경험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나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해 본 적이 없었다.

52 중독의 가장 공통적인 원인은 바로 상처받은 내면아이였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강박적이고 중독적인 모든 행동들의 만족할 줄 모르는 뿌리이다. 그 예로 나 자신이 중독적으로 마시던 술을 끊었을 때, 나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감정적인 대체물을 찾게 되었다.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채워지지 않은 욕구 때문에 나는 다시 강박적으로 일하고, 먹고, 담배를 피우게 되었던 것이다.

어린아이에게 있어서 버림받는다는 것은 마치 죽음과도 같다. 내가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두 가지의 기본적인 욕구들 나의 부모님은 괜찮은 분들이고, 나는 중요한 존재라는 것 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나는 어머니의 정서적인 대리 남편이 되어야 했고 어린 남동생에게는 부모 역할을 해야 했다.

54 대부분의 중독의 핵심요소는 상처 받은 내면아이다. 그리고 그 내면아이는 만족할 줄 모르는 욕구와 욕망 상태 속에 있다.

54. 사고의 왜곡

아이들의 사고 특징은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양극성이다. 당신이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면, 그건 당신이 나를 싫어하는 것이다. 그 중간은 있을 수가 없다.

56 예를 들어, 만약 내가 퇴직했을 때, 국민연금에 돈이 한 푼이라도 남아있지 않다면 어떻게 하지?와 같은 터무니없는 생각이다. 이는 순전히 가정이기 때문에, 생각하는 사람은 사실상 자신을 겁주고 있는 것이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종종 이런 방식으로 생각하곤 한다.

=> 아내도 종종 이런 터무니없는 걱정을 할 때가 있다. 그럼 혹 상처받은 내면아이가 치유 받지 못하고 있는 걸까? 내면 탐사를 해 봐야 하겠다.

57. 공허감

우울감은 아이가 진정한 자신의 모습은 남겨둔 채, 거짓자아를 받아들인 결과이다. 진정한 자아를 버린 만큼 사람의 마음에는 빈 공간이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상태를 나는 영혼의 구멍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아주 착한 사람이 되는 것은 보편적인 거짓자아의 모습이다. 거짓자아를 갖고 있다는 것은 연기를 하고 있다는 것과 같다. 마치 길가에 서서 자기인생이 지나가는 것을 그저 바라보고 있는 것과 같다. 공허감을 느끼는 것은 만성적인 우울의 한 형태로, 마치 자기의 진정한 자아를 영원히 애도하는 것과 같다.

카메라를 조작하는 데 너무 열중한 나머지, 교황이 지나갈 때에 간신히 단 한 장 만의 사진을 찍을 수가 있었다. 정작 자신의 눈으로 교황은 보지도 못한 채 말이다. 우리 안의 내면아이가 상처받았을 때 우리는 공허해지고 우울해 진다.

2장 당신 안에 있는 놀라운 내면아이가 어떻게 상처받게 되었는가 -63

64. 경이

순진한 아이에게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들이 흥미롭고 재미있다. ‘뭔가 더 나은 게 있을 거야라는 기대감 같은 경이로움을 느끼고 호기심을 갖는 것은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적응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65. 낙천주의

아이들에게 있는 자연스러운 삶의 활기는 낙천적인 태도로 나타난다. 아이는 세상이 자,신에 대해 친절하고 희망이 있으며, 자기 앞에 펼쳐진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자연스레 믿는다. 이러한 타고난 낙천주의와 믿음은 천성이며 어린아이 같은 믿음의 중심에 해당한다.

66 친밀해지기를 원한다면, 상처받을 수 있다는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어느 선까지 타인을 믿는데 대한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인생에서 낙천주의가 필요한 이유는, 모든 현실이 결국 긍정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66. 순진함

아이들은 지금 현재를 살면서 기쁨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68 순진함은 유순함의 주 요소로서,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상태임을 뜻한다.

68. 의존성

69 건강한 사람의 삶은 계속해서 성장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의 바로 그 특징들, 즉 경이, 호기심, 의존성, 낙천주의 등은 바로 인간의 삶을 성장시키고 풍성하게 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어떤 의미에서는 우리는 전 인생에 걸쳐 의존적인 채로 있다. 끝없이 우리는 사랑과 상호작용을 필요로 한다. 놀라운 아이의 의존성 때문에 우리는 누군가와 가까워지기도 하고, 마음을 쏟기도 하는 것이다.

70. 감정

가끔 나는 왜 내가 마음 깊은 속에서부터 진정으로 웃고, 춤추고, 노래하는 게 그렇게 힘든지가 궁금했다. 술을 마셨을 때는 그런 것들이 자연스러운데, 멀쩡한 정신일 때는 왠지 딱딱하게 굳어져 버리는 것이다.

=> 감정을 자연스럽게 풀어 놓는 것을 억누르지 말아야 한다. 어린 아이일 때 천부적으로 가지고 나온 좋은 자질을 자라면서 모두 망쳐 놓았다.

71. ‘울 수 있는 자유라는 자신의 책에서 울 수 있는 자유는 개인의 건강에 도움을 주며, 다른 사람의 행복을 위해 더 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해 준다고 썼다. 대부분의 성인들은 그들의 울음을 박탈 당했다. 우리는 얼마든지 눈물을 흘릴 수 있고, 또 그것이 필요하다. 원초적인 고통이나 슬픔을 해소시키는 데는 눈물만한 것이 없다. 이것이 바로 당신의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바꾸는 열쇠가 될 것이다.

72. 쾌활함

아이들은 선천적으로 쾌활하다. 쾌활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행동의 유연성이다. 유연성은 아이에게 사회화의 어떤 패턴에 반응하면서 행동들을 배우도록 한다.

73. 자유로운 활동

아이들은 자유에 대한 감각을 가지고 태어나며 그들이 안전하다고 느낄 때 자유롭게 움직인다. 사실 많은 성인들은 놀이나 활동을 빈둥거리는 것이나 게으름 정도로 평가절하하고 있다. 진정한 자유행동은 순수한 기쁨과 즐거움의 활동이다.

74. 독특성

아이들은 특별하고, 유일하다. 이 특별함이 아이들을 진정으로 귀한 존재가 되게한다. 귀하다는 의미는 드물고 가치 있다는 의미다. 나는 바로 나다.

76. 사랑

먼저 사랑을 받아 보아야만 한다. 사랑을 받아 보아야만 사랑하는 법을 배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모든 순수한 욕구 중에서 사랑하려는 욕구가 가장 기본적이다. 아이의 건강한 성장은 누군가가 그 아이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해 주고 수용해 주는 데 달려있다. 이러한 욕구가 채워지면, 그 아이의 사랑의 에너지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77. 영적인 상처

놀라운 아이가 상처받는 모든 방식들은 결국 나라는 자아를 잃어버린 데서 시작된다. 사실 역기능적인 가정의 아이들 대부분이 가장 도움이 필요한 시기에 가장 많은 상처를 받았다.

78 남자 아이는 아버지가 필요하다. 그 자신을 남자로서 사랑하고 긍지를 갖기 위해서는 같은 남자인 아버지와의 결속이 필요하다. 아버지란 존재는 보호를 상징한다. 소년은 누군가 자신의 남자다움을 확인해 주기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는데, 그에게 있는 오직 한 사람의 중요한 부모가 이를 저버린 것이다.

80. 성적학대

만약 아버지와 어머니와 사이가 좋지 못할 때, 아버지는 딸에게로 관심을 돌려 자신의 정서적 필요를 딸에게서 채우려 할 것이다. 그러면 그 딸은 아버지의 작은 공주나 아기 인형이 되는 것이다. 반면 아들이 아버지를 대신해 어머니의 작은 남자중요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규칙은 언제이든 부부 중 한 배우자에게 자녀가 다른 배우자보다 더 중요한 존재가 될 때, 거기에는 잠재적 정서적, 성적 학대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부모가 자신의 필요를 위해서 아이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학대라고 할 수 있다.

82 성적으로 학대를 받았을 때, 우리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할 수가 없게 되고, 우리가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느끼기 위해서 전혀 성적이지 않거나 아니면 지나치게 성적이 되어 버린다.

83. 신체적 학대

신체적 체벌은 아이와 부모와의 관계를 끊어 버린다. 가장 친한 친구가 다가와서 당신의 빰을 때린다고 한 번 상상해 보라.

여성과 아이들에 대한 신체적인 학대는 아주 오래된, 널리 퍼진 관습이다. 우리 또한 아직도 신체적으로 벌을 주어야 한다고 믿고 있다.

=> 한 번 생각해 보자. 부모에게 맞고 자란 아이가 어찌 자신이 소중한 존재라고 생각할 수가 있겠는가? 이유가 무엇이 되었던 자신을 때린 사람은 자기 보다 우월한 존재이며 그에 비해서 맞는 자신은 열등한 존재란 생각이 자연스레 들지 않겠는가?

84. 정서적 학대 이는 엄격함, 완벽주의, 통제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84. 학원폭력 학교에 들어가자마자 바로 판정 받고 점수가 매겨진다. 괜찮아지기 이해서는 경쟁을 해야 한다. 학교에서는 집단적으로 창피를 주는 것이 허락되어 있는 실정이다.

87. 수치심 중독 이는 당신 자신이 무엇인가 잘못된 존재라는 것이고, 그것에 대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이란 아무 것도 없다. 그저 부족해 보이고 불완전할 뿐이다. 수치심 중독은 바로 상처 받은 아이의 핵심이다.

91. 아이들은 그들의 아버지를 미워해서는 안되고, 미워할 수도 없다. 그러다 그의 사랑을 잃게 될까 봐 두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자기를 사랑한다 하면서도 자신을 괴롭히고 있는 그런 사람과 맞서야 한다.

2부 당신 안의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치유 -97

들어가며 -98

98
당신의 상처 받은 아이를 치유 하는 일은 깨달음의 경험을 하는 것이다. 아이들은 타고난 깨달음의 대가들이다. 아이들의 세계는 매 순간 순간마다 새롭다. 상처받지 않은 아이에게 경이로움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인생은 살아야만 하는 수수께끼다. 내면아이를 치유 한다는 것은 당신의 발달 단계로 되돌아가서 미해결된 과제들을 끝내는 작업이다.

 

99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성장과정에서 반드시 충족되었어야 할 의존적인 욕구를 채우지 못한 것을 당신의 상처 받은 내면 아이가 슬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자신이 알고 있는 유일한 방법 그대로 아이로서 그 욕구를 채우도록 매달릴 것이다. 이 정서적으로 굶주린 아이가 바로 당신을 미성숙 하게 만들고, 당신의 인생을 지배하게 되는 것이다.

 

100
4
가지의 기본적인 힘이 우리에게 생겨날 수 있다고 한다 그 4가지 힘은 존재의 힘, 할 수 있는 힘, 정체성의 힘, 기본적인 생존 기술의 힘이다.

 

101-103. 인생
사랑과 직업이라는 두 축과 관련되는 성인기 정체성을 형성 하기 위해서는 신뢰감 자율성 자발성 상호 협력적 자세가 필요하다. 39 세쯤 인생의 중년기의 또 다른 주기가 시작된다. 소위 못 말리는 중년들이런 표현처럼 인생의 과도기적인 어려움과 극적인 상태를 보여 준다. 만약 당신 안에 상처받은 내면아이 아이가 있다면 이 단계에서 당신은 비참하다고 느껴질 수 있다. 인생 그 자체는 마치 영어에서의 불규칙동사처럼 불 규칙적이고 예측할 수 없다. 노년기에는 두 번째 아동기로 돌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어린아이 같은 희망이 필요하다.

 

107-108
아이가 사춘기 일 때 부모는 바로 '미친 중년기'이기 때문에 더 힘들어진다. 이런 결합이 그리 좋은 그림이 아닌 것은 당연하다.

 

어린 시절을 고친다는 것은 우리의 상처를 슬퍼해야 하기 때문에 아주 고통스러운 작업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것을 할 수 있다. 이것이 전혀 불가능 하지 않다. 슬퍼하기는 우리가 신경증으로 회피해 왔던 진짜 고통이다. 융이 이를 잘 표현했다. 우리의 모든 신경증은 진정한 고통을 합법적으로 대체한 것이다 원초적 고통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 슬픔은 우리가 우리의 부모나 유년기, 그리고 가장 중요한 나됨이라는 자의식을 잃어 버렸을 때 경험할 수 없는 것을 재경험하도록 요구한다. 정신적인 상처는 치유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슬픔을 통해서 가능하며 그 작업은 고통스럽다.

 

109
성인 아이가 그들의 진짜 고통을 회피하는 방법은 머리에만 머무르는 것이다.

 

110
우리가 머리에 머무른다는 것은 일종의 자아방어기제이다. 사람은 대상에 집착함으로써 (뭔가를 강박적으로 생각함으로써) 느낄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어떤 것을 느낀다는 것은 상처 받은 아이의 수치심 중독 속에 갇혀 있는 얼어붙은 거대한 감정의 저장고를 건드리는 것과 같다. 다시 말해 당신이 상처 받은 내면 아이를 치유하기를 원한다면 근본적인 고통을 다루는 실제적인 작업을 해야만 한다. 여기서 벗어나면 유일한 길은 그것을 통과하는 것이다. 12단계 프로그램에서 종종 듣는 것처럼 고통이 없이는 얻는 것도 없다.

 

3장 초기 고통치료  -111

111
문제의 해결은 말에 의해서가 아닌 경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112-113
만성적으로 우울한 남자가 일 중독을 통해 업무에서만 대단한 성취감을 맛본다면 그는 일을 할 때만 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중독은 사람들에게 좋은 감정만을 느끼게 하고 고통스러운 감정들은 회피하게 만든다. 정신적으로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고통이나 상처가 중독 상태의 기분으로 대체 되는 것이다. 중독은 기분을 황홀하게 바꾸어 줌으로써 그 사람에게 자신과 하나가 되는 완전한 느낌을 준다.

 

현실이 너무 힘들어 견딜 수 없을 때 여러 가지 자아방어기제를 통해서 고통에 대해 무감각 해지려고 한다. 가장 보편적인 방어기제는 다음과 같다.

 

부정 - 이건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야 그건 절대로 일어난 적이 없어
분열 -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나지 않아

투사 - 그건 너에게 일어난 일이지, 나한테 일어난 게 아냐

전환 - 그런 일이 일어난다고 느낄 때는 먹거나 섹스를 한다

최소화 - 벌써 일어나 버렸지만 괜찮아, 별 일 아냐.

기본적으로 자아방어기제의 역할은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벗어나게 해 준다.

 

113-114. 감정의 중요성
우리의 감정은 적극적인 경험의 형태를 지닌다. 감정은 에너지의 상태이기 때문에 신체적이어서 우리가 의식적으로 알아차리기도 전에 몸으로 표현된다. 감정은 마치 차를 운전하기 위해 넣는 기름과 같이 우리를 움직이는 에너지이다. 감정은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힘이다.

 

115
두려움이나 슬픔, 분노의 감정 등이 억압되었을 때는, 흥분과 흥미로움 그리고 호기심의 감정들 역시 막혀 버린다.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어린 시절의 정신적인 충격으로 인한 슬픔에서 비롯된 해결되지 않은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 우리에게 슬픔이 있는 한 가지 이유는 과거의 고통스러운 사건들 슬퍼함으로써 현재를 위해 우리의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우리가 슬퍼할 수 없다면 결국 그 에너지는 우리 내면에서 얼어붙어 버릴 것이다

 

116-117.  억압된 감정
감정은 에너지이기 때문에 표현하려고 한다. 해결되지 못한 이런 감정들을 초기 고통이라고 부른다. 근육이 긴장하면 감정이 무감각해진다.

 

118-119
역기능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세 가지 방식으로 감정 표현을 억제하는 법을 배운다. 첫째 반응하지 않는다. 말 그대로 전혀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방식이다. 둘째 감정을 표현하고 그 감정의 이름을 붙이는 법을 배울만한 건강한 모델이 없다. 셋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벌을 받게 된다. “정말 따끔한 맛을 봐야겠구나. 소리 지르지마. 안 그러면 정말로 혼내줄 테다.” 실제로 그 아이들은 무서워하거나 화내거나 울었다는 이유로 혼나곤 한다.

 

121-123. 방어기제와 차단된 뇌
초기 고통을 다루는 작업은 어린 시절의 정서적인 고통이란 무감각해지거나 억압 된다는 가설에 기초하고 있다. 그것은 제대로 해결되지 않은 채, 밖으로 표출되곤 한다. 상처받은 아이의 핵심 문제인 강박적 행동은 내가 술을 끊었을 때도 끝나지 않았다. 강박증은 술에서 일로 대체 되었을 뿐이었다.

 

2차 방어기재들은 사고의 특성을 띤다. 예를 들면 합리화, 분석, 상세화, 최소화 과소평가 등이다. 이성적으로 보이는 사람들도 감정적으로 격렬하게 휩싸인 채 살곤 한다. 초기 고통이 해결되지 않는 한 그들의 폭풍은 계속될 것이다.

 

124. 초기 고통 연구
내가 간과하고 있었던 사실은 바로 나 자신이 내 안에 있는 비탄에 잠긴 작은 소년의 외로움을, 아버지와 가족 그리고 어린 시절을 잃어 버린 데 대한 해결되지 못한 이 아이의 슬픔을 받아 들여야 한다는 점이었다. 나는 초기 고통을 받아 들여만 했다 이것이 바로 칼 융이 말한 진정한 고통이다. 슬픔이 바로 치유 감정이다. 만일 슬퍼하는 것을 허락 받는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치유될 것이다.

 

125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자신의 슬픔을 어떻게 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움츠려 있다. 그의 모든 감정은 수치심 중독에 묶여 있다. 이러한 수치심 때문에 제일 먼저 대인 관계의 다리의 단절이 일어난다. 바로 최초의 양육자를 신뢰할 수 없다는 믿음을 가지게 된 것이다. 사실상 우리는 누구에게도 의지해서는 안 된다는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립과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데 대한 두려움은 수치심 중독으로 인한 주된 두 가지 결과이다.

 

125. 대인 관계의 다리를 회복하기 
당신의 상처 받은 내면 아이가 숨어 있지 않고 나오려면 당신이 자신을 지켜 줄 것이라고 그 아이가 믿어야 한다. 또한 그 아이는 버림받고 무시당하고 학대 받고 곤란에 빠진 자신의 고통을 알아 줄 수 있는, 협력적이고 그를 비난하지 않고 자기 편이 되어 줄 사람이 필요하다. 이런 것들이 초기 고통의 작업에서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애도 작업 과정에서 내면아이의 편이 될 수 있음을 믿기 바란다. 당신이 알고 있는 모든 사람 중에서 당신 만이 당신을 절대로 떠나거나 잃어버리지 않는 유일한 사람이다.

 

126. 당신이 받은 학대를 확인하기
합법적인 교육은 사실상 학대였다. 이상하게도 더 많은 학대를 받았을 수록 사람들은 자기가 잘못했다고 생각하면서 부모를 더 이상화 시킨 다 라는 사실이다. 이것이 앞에서 말한 환상적 유대의 결과이다. 모든 아이들은 자기 부모를 이상화 시킨다. 이것이야말로 아이들이 살아남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모든 게 나 때문이야. 엄마 아빠는 아무 문제 없고 다 괜찮은데, 내가 잘못한 거야 라는 등의 생각들을 하게 된다. 부모에 대한 이상화는 자기방어의 핵심이다. 이것은 분명히 버려져야만 한다.

 

127. 충격과 우울
충격은 바로 슬픔의 시작 이기 때문이다. 충격 뒤에는 우울함이 오고 뒤이어 부정이 온다. 부정은 우리의 자아방어기제를 뒤로 밀어내 버린다. 그것은 주로 계약/조건의 형태로 온다. "글쎄 그리 나쁘진 않잖아. 적어도 내 몸을 뉘일 세 평의 땅에 지붕이 있는 방이라도 있으니까" 이건 정말 심각하다. 부모가 당신의 참모습을 찾지 못하게 함으로써 당신이 정신적인 상처를 받게 되는 것은 당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일이다.

 

128. 분노
누군가 당신에게 했던 일이 고의로 한 것이 아니어도 당신이 화를 내는 것은 당연하다. 솔직히 말해, 만일 당신의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치유하고 싶다면 화를 내야만 한다. 내 말은 당신이 소리를 지르거나 큰 소리를 내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잘못된 협정이나 거래에 대해서는 분노해도 된다는 사실이다. 그렇지만 내가 정신적으로 아주 깊은 상처를 받았다는 것과 그것이 나에게 평생의 상처라는 결과를 가져 왔다는 것도 안다.

 

분노 다음에 오는 것은 상처와 슬픔이다.

 

129. 후회
피해자들을 상담하면서 들었던 믿기 어려운 충격적인 사실은 자신들이 당한 학대에 대해서 이들이 죄책감을 느끼고 후회 한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어떤 식으로든 모든 게 자기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당신의 상처 받은 내면 아이가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아이가 아프면 자신에게 일어났던 일에 관한 것이지 자기 자신에 관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129. 수치심 중독과 외로움
슬픔의 가장 깊은 핵심 감정은 수치심 중독과 외로움이다. 우리의 내면아이는 결함이 있고 부족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새로 만들어진 거짓자아가 참 자아를 덮어 버리려고 한다. 그리고는 거짓 자아와 자신을 동일시 하는 것이다 결국 그의 참 자아는 혼자 남겨져 고립되어 버린다. 이 아픈 감정의 마지막 단계에 머무르는 것이 애도 과정에서 가장 힘든 부분이다. 그렇지만 치료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통과하는 것 뿐이다.

 

130.

슬픔의 과정이 얼마나 걸릴지 아무도 정확히 말할 수 없다. 다만 당신의 방어기제를 어떻게 버려야 할 줄 아는 것이 해결의 열쇠이다. 감정을 느끼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당신이 느낄 수 없는 것을 치유할 수는 없다.

 

4장 당신 안의 갓난아이 치유하기 -133

136
그리고 무엇보다도 놀라운 사실은 내가 너희 비밀들 나눌 때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공감 한다는 점이다.

 

136. 대인 관계의 다리
아이는 나라는 존재 이전에는 우리였다. 인생은 존재의 진정한 융합에서 비롯 되는 것이다. 아이의 운명은 어머니가 되는 그 사람에게 달려있다. 요람을 흔드는 건 사실은 세상을 흔드는 것이다. 어머니가 아이를 위해서 존재해준다면 아이는 그녀와 유대 관계를 맺게 된다. 이 유대 관계가 바로 앞으로의 모든 관계의 기반이 될 개인 관계의 다리를 만들게 될 것이다. 만약 이 다리가 상호 존중과 같은 가치 위에 세워진다면 새로운 관계를 만들 설계도가 형성된 셈이다. 그러나 아이가 부당하게 부끄러움을 느낀다면 다리는 무너질 것이다. 아이는 자신이 다른 누군가에게 기댈 수 있는 권리가 없다고 믿게 될 것이다. 결국 이로 인해 아이는 음식, 약물, 성 등의 병리적 관계들에 집착하게 될 것이다.

137.
건강한 자기애
무슨 일이 일어나도 우리를 위해 있어 줄 것이라는 믿음을 주는 그런 존재가 필요하다. 나의 모습 그대로 사랑 받고 존중 받는 특별한 돌봄과 대우를 받는 것, 어머니가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는 것, 진정으로 보살핌을 받는 것, 등이 모두 포함된다. 어린 시절에 이런 필요들이 모두 충족 되었다면 성인이 된 후 더 이상 이것을 찾아 헤맬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137. 좋은 돌봄 
어머니가 자신의 역할을 잘 하기 위해서는 나됨이라는 인식과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어머니 자신을 잘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 어머니가 스스로에게 편하지 않다면 아이에게도 타고난 자신감을 줄 수가 없다.

 

138. 반영 
중요한 것은 엄마가 아이의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이다. 아이는 어머니가 느끼는 대로 느낀다. 그러므로 만일 당신의 어머니가 원치 않는 임신으로 어쩔 수 없이 결혼해야 했고 그로 인해 늘 분노하고 있다면 당신은 뼛속 깊은 곳에서부터 그것을 알고 있다.

 

139. 반응
이 세상에서의 자신의 존재 의미를 믿는 한 사람을 경험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인식은 현실은 우호적이다이다. 다시 말해서 현실은 신뢰할 만하다는 것이다. 이런 신뢰의 측면으로 결정 될 때 기본적인 자아에 힘이 생기며 이런 힘은 희망의 기초를 형성한다. 내가 필요로 하는 것들이 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된다. 이 단계 에서 존재의 힘이 발달한다고 한다. 아이는 그저 자기 자신의 존재 자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나는 나 자신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내가 그들을 기쁘게 해야만 한다거나 살아남기 위해서 싸우지 않아도 된다. 나는 그저 나 자신을 만족하게 하고 또 나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게 된다.

 

140. 부모 되기,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아마도 부모가 당신에게 했던 대로 당신 아이들에게 똑같이 하거나 아니면 그 반대로 하게 될 것이다. 어느 쪽이든 간에 당신은 자신이 상처받은 내면아이가 꿈꾸는 완벽한 부모 노릇을 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설령 정반대로 한다 해도 당신의 아이에게 똑같은 상처를 입히는 결과를 낳는다.

 

중요한 것은 자녀에게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 안에 상처 받은 내면 아이를 치료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141. 성장장애 
우리는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기본적인 신뢰감을 키우지 못했다. 결국 이것은 습식 중독에 빠진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만족할 줄 모르는 갈망으로 굳어진다계속해서 무엇인가에 확인 받고자 하는 욕구로 나타난다. 마치 그렇게 확인 받지 못하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그밖에 다른 결과로 나타난다. 계속에서 안아주고 만져 주기를 바라는 욕구는 물론이고..

 

141. 자라지 마라 
어쩌면 당신은 부모의 자기애적 상처를 돌보기 위해 아이로 그냥 머물러 있도록 배우는지도 모르겠다.

 

142. 정서적인 유기
난 목이 말라 간절히 원해. 사랑 받고 싶어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어 이해 받고 싶단 말이야가까운 바에 가면 언제라도 쉽게 들을 수 있는 어른아이들의 고백이다.

 

142-143. 보고하기 
어떤 사람이 엄청난 심리적 충격을 받았을 때 그것에 대해 이야기 한다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이것이 당신의 초기 고통의 작업을 시작 하는 방법이다. 카넬라는 자기가 아기 침대에 누워 있을 때 그녀가 태어난 걸 저주 하던 아버지의 말을 기억하고 있다고 적고 있다. 그녀의 어머니는 이미 네 명의 아이를 갖게 되었다. 네 명에 아이와 무책임한 알코올 중독자 남편을 둔 24세 된 엄마를 한번 상상해 보라. 원치 않은 임신에서 생긴 아이였기에 카넬라는 어머니의 분노와 멸시의 대상이었다. “넌 왜 이렇게 못생겼니!” “넌 아무것도 될 수 없을 거야라는 어머니의 말을 그녀는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카넬라는 잃어버린 아이, 엄마의 속죄 양, 그리고 희생자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원치 않은 아이가 가족 내에서 중요한 구성원이 되는 법을 배우는 길은 아마 자신을 잃어 버리는 것이다. 그녀는 지나치게 복종 적이고 공손하고 도움이 되려고 하는 아이였다. 좀 더 커서는 어머니나 다른 가족들 귀찮게 하지 않으려고 오랜 시간 동안 방에서 혼자 놀았다. 이것이 바로 잃어버린 아이의 전형적인 행동이다. 카넬라는 성장해서도 일과 사회생활에서 이런 패턴을 계속에서 유지했다. 치료받지 않았다면 아마도 무덤까지 이런 패턴을 끌고 갔을 것이다.

 

144. 친구와 함께 당신의 신생아 시기에 대해 나누기 
충분히 적었다면 이제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 하고 큰소리로 읽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중요한 것은 누군가가 당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갓난 아이인 당신이 격은 최초의 아픔을 이해해 주는 일이다. 그저 당신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치료받지 못한 가족 구성원들은 당신이 경험했던 그런 잘못된 최면 상태에 여전히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런 당신의 아픔을 인정하거나 확인 할 수 없을 것이다.

 

145-146. 편지쓰기 
당신이 입양하고 싶어하는 그 아이는 바로 갓난 나이 때의 당신이다. 그 아이에게 편지를 쓰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당신의 놀라운 내면아이에게 이렇게 말해 주라. 나는 너를 정말로 사랑하고 있고 네가 남자아이인 게 너무 기쁘다. 그리고 너를 정말로 원하고 기꺼이 시간을 내서 네가 성장하고 자라는 걸 도와 주겠다고.

147. 선언문 이는 선언적인 확신을 통해서 강렬하게 각인시키는 효과가 있다.

148
긍정적인 메시지를 반복 하는 것은 정서적인 영양제 와도 같다. 긍정적인 메시지들의 반복은 이제 깊고 본능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초기 고통의 치유작업의 첫 번째 단계에 영향을 줄 것이다.

 

148. 갓난 아이 때의 선언문
이 세상에 온 것을 환영한다 
너를 오랫동안 기다려왔어

네가 여기에 있어서 너무 좋다

난 네가 지낼 만한 아주 특별한 곳을 마련해 왔단다.

네 모습 그대로를 사랑한다. 무슨 일이 생겨도 널 떠나지 않을 거야. 네가 필요한 게 무엇이든 다 괜찮다. 네가 갖고 싶어하고 네게 필요한 걸 언제든지 줄게. 네가 남자이라서 너무 기쁘다. 널 보살펴 주고 싶구나. 난 그럴 준비가 다 되어 있다. 널 먹이고, 목욕시키고, 옷을 갈아 입히고, 너와 시간을 보내는 게 너무 좋다. 이 세상에서 너와 같은 아이는 없다. 넌 독특하다. 네가 태어났을 때 하나님도 웃으셨단다.

 

153
당신을 가장 감동시킨 선언문이 무엇이었는지 더듬어 보고, 그것에 주목해 보라. 그때의 생각이나 느낌을 적어 보도록 하라. 그러나 기억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성인인 당신이 갓난 아이인 자신을 돌볼 수 있다는 점이다. 무언가를 떠 올린다는 것이 어렵더라도 걱정하지 말라. 어쨌든 당신은 자신의 방법대로 그것을 지각할 것이다.

 

154
때때로 사람들은 자신의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보지도, 듣지도, 느끼지도 못한다. 그 이유는 이 작업을 하는 동안 그들이 그 아이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 상처 받은 아이의 상태에 실제로 머물러 있다. 어른인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 풍성한 사랑의 선언문들을 들려 주소록 하라

 

어떤 사람들은 갓난아이인 자신의 모습을 보고 화를 내거나 혐오감을 느낀다 이것은 심각한 수준의 수치심 중독을 보여준다 우리는 부끄러움을 당했던 그대로 자기 자신을 부끄러워한다.

 

당신이 자신의 가장 연약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기꺼이 받아 들이기까지는, 온전하고 진정으로 능력 있는 당신이 될 수 없다. 당신의 에너지와 강점들은 당신의 다른 부분을 거부하게 될 것이다. 이 내적 전쟁이 그치려면 당신의 많은 시간과 에너지, 그리고 능력이 요구된다. 역설적으로 보이지만 당신의 강점은 바로 당신 약점을 받아들일 때 나타나게 된다.

 

155
넌 유일하고 독특한 아이야. 이때 가장 가슴에 뜨겁게 와 닿았던 선언문도 덧붙여 말해주라. 바로 당신이 가장 듣고 싶어 했고 들어야 했던 말들이다.

 

155. 파트너와 함께 작업하기 
그저 서로를 위해서 옆에 있어 주기만 하면 된다. 한 사람은 이야기를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읽어 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5장 당신 안의 유아를 치유하기 -165

167-168
이 시기에 아기는 기어 다니고 만지고 맛보고 호기심이 많아서 자기 주변 세계를 열심히 탐험한다. 생후 18개월부터 3세까지의 시기를 분리 단계라고 부른다. 이 시기에 아이는 특별히 부모가 무엇을 하라고 했을 때 주로 싫어요 내가 할게요”, “안 할 거에요라고 말한다. 떨어져 나와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해서는 부모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제2의 탄생, 혹은 심리적 탄생이라고 부른다. 이것이야 말로 나됨의 진정한 시작인 것이다.

 

169
아버지는 개인주의의 상징이고 어머니는 협력의 상징이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부모가 불일치를 해결하고 솔직한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정직한 관계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보는 것이다. 아이들은 부모가 화를 내도 부모가 자기를 버리거나 떠나지 않는다는 것을 배울 필요가 있다. 그들은 갈등을 해결하는 법과 모든 일이 항상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 양쪽 모두를 다 가질 수는 없다는 사실도 배울 필요가 있다.

 

172
유아기 때 나는 지나치게 잡는 법을 배움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완전히 순종적인 아이가 됨으로써 나의 자율성을 억눌러버렸다. 나는 어머니에게는 어린 심부름꾼이었고, 할머니에게는 착한 아이였다. 지나치게 순응해 버리면서 나의 놀라운 아이는 숨어 버리고 말았다.

 

=> 나도 어릴 때, 어머니의 희망이었다. 아버지와의 잦은 싸움과 갈등 속에서 어머니는 오직 나만 보고 산다고 했다. 그래서 나는 자연히 불쌍한 엄마의 작은 천사가 될 수 밖에 없었다.

 

172-173
내가 자란 환경에서는 신부님과 수녀님의 검은 제복과 수치심과 죄의식을 고백하는 캄캄한 고해실이 신의 상징이었다. 나의 부모 역시 이러한 종교적 전통의 영적 희생자였다. 아버지는 경계선이 없는 사람이 었다. 그의 마음속에는 수치심이 기본적으로 깔려 있었다. 중독적으로 부끄러워하는 사람은 자기에게 괜찮은 점이 하나도 없다고 믿고 있다
어머니는 의무에 속박된 사람이었다. 착한 여자, 착한 아내, 착한 어머니라는 역할에 지나치게 순응하고 있었다.


아이를 키울 때는 잡고 있는 것이 놓아 주는 것보다 낫다(속박이 방치 보다 낫다) 뭔가를 계속 해야만 하는 완벽주의자가 그냥 가만히 있는 다는 것은 존재하기를(숨쉬는 것을) 멈춘 것과 같다. 항상 착한 아이가 된다는 것은 비인간적이다.

 

174. 고립
어느 누구와도 관계를 맺지 않음으로써 아무에게도 상처 받지 않으려 한다.

 

174. 균형의 부족
당신의 내면아이는 잡는 것과 놓는 법의 균형을 배운 적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드러낸다. 첫째 돈이나 감정, 칭찬 또는 사랑에 인색하고 거칠고 무분별하며 전혀 통제불가능이다둘째 엄격 한 규율로 자신의 아이를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사실상의 한계를 제대로 정해 주지 않아 지나친 복종이라 방종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심각한 관계적인 문제에 빠질 수 있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빠져 버리거나, 얽히게 되거나, 속임에 빠지거나, 또는 고립 되고 외로워지는 것이다.

 

6장 당신 안의 학령 전 아이를 치유하기 -187

 

189
질문을 하는 것은 삶의 에너지가 생명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당신은 자신이 누구이며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상상력을 발달시켜야 한다. 자신이 누구인지를 안다는 것은 바로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190
아이들은 천성적으로 자기중심적이다. 그렇지만 그들이 이기적인 것은 아니다. 자기중심성이란 생물학적 사실일 뿐 그들이 선택한 것은 아니다. 그들은 진정으로 다른 사람을 공감할 수 없다. 적어도 16세 전에는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

 

유치원기의 부모들이 할 일은 아이들에게 그들의 모델이 되는 것이다. 건강하고 친밀한 관계 모델이어야 한다. 부모가 명료하게 말하기, 들어 주기, 원하는 것을 요청하기, 갈등 해결 등과 같은 건강한 의사소통 기술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

 

남자 아이들은 아버지와 유대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것은 아버지가 아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경우에만 생긴다.

 

유대감은 감정적 교류뿐만 아니라 신체적 접촉도 요구한다. 아버지는 여자 아이에게도 매우 중요한 존재지만 남자 아이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다. 여자아이들은 이미 어머니와 결속되어 있으며 어머니로부터 독립이 필요하다. 남자 아이도 어머니와 결속되어 있지만, 근친상간의 금기 때문에 여자 아이들과 같지는 않다. 오히려 남자는 어머니의 투사된 성으로부터 자신의 남성을 지켜야 할 입장이다.

 

192
유치원기 발달이 이루어지면 아이는 나는 세상을 믿을 수 있어요”, 내가 특별하고 유일하다는 걸 알아요. 나는 남자 아이에요. 내가 정말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잘 알지는 못하지만 내 미래를 그려 볼 수는 있어요라고 말할 것이다나는 엄마 나 아빠 같은 사람이 되는 것을 꿈꿀 수 있다 어른이 되는 꿈을 꾸고 내 인생을 만들어 가는 꿈을 꿀 수 있다

 

193-196. 라벤더 가족
라벤더 가족을 보라. 브론코 라벤더는 세일즈맨이면서 성 중독자였다. 그는 거의 집에 있지 않지만 집에 있을 때는 아내 글로리와 매우 친밀한 관계처럼 보이려고 한다. 글로리는 심각한 상호의존증 환자로 자신의 성경공부 리더와 바람을 피우고 있었다. 브론코와 글로리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있었는데, 두 아들은 16 살과 13 살이었고 딸은 11살이다. 운동 선수인 큰 아들은 학교에서 스타였으며 아버지의 가장 친한 친구다. 하지만 이 아이는 12살부터 14 살까지 여동생을 성적으로 학대에 있었다. 여동생은 심각한 비만으로 어머니의 끊임없는 잔소리에 시달리고 있었다.

 

내가 라벤더 가족을 처음 만난 것은 바로 이 아이의 체중 문제로 치료를 받으러 왔을 때다. 둘째 아들은 어머니가 애지중지 하는 총아였다. 운동과도 거리가 먼 이 아이는 예술적인 면에서 매우 종교적인 아이라서 어머니를 기쁘게 했다. 아버지는 이 아이를 좋아 하지 않았을 뿐 만 아니라 계집애나 바보라고 심하게 놀리곤 했다. 그는 바로 아버지의 희생양이었다.

 

두 사람 모두 이성 부모의 대리 배우자였다. 브론코의 아버지는 알콜 중독자로 세 살 때 그를 버렸다. 그는 어머니의 자랑과 기쁨이 되었다. 그들은 모든 것을 함께 했다. 어머니는 종종 아들 앞에서 옷을 갈아 입 없고 그가 샤워를 하고 있을 때 화장실을 사용하곤 했다. “엄만 나를 자기 인생으로 만들어 버렸어요브론코는 흐느끼면서 이렇게 말했다. 어머니는 이미 돌아가셨지만 종종 브론코는 이제 세상에 좋은 여자는 더 이상 없다며 한탄했다.

 

글로리는 아버지에게 신이 주신 선물이었다. 주일에 아버지가 설교를 하는 동안에도 그녀는 강대상 가까이에 있었다. 어머니는 대부분 아파서 누워있는 우울증 환자였다. 글로리는 식사와 청소 등을 떠 맡아서 했으며 아버지의 행복이었다. 11 살이 될 때까지 그녀는 아버지와 같이 잤다. 아버지와 육체적 성관계는 없을지라도 그녀는 분명히 대리 배우자였다.

 

브론코와 글로리 모두 부모의 외로움을 채우는 데 이용되었다. 이용 당하는 느낌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보라. 이용은 학대이다. 그것은 끊임없는 분노와 아픔에 원인이 된다. 그들은 부모를 이상화하면서 그 토대 위에 자신들을 놓고는 스스로 성인(聖人)이 될 만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기만과 부인에 빠져 있는 것이다. 그들에게는 나됨이라는 자의식이 없었다. 어떻게 그런 의식을 가질 수 있겠는가? 아무도 그들을 위해 있어 주지 않았고, 진정한 자신의 모습이 될 수 있는 방법도 없었다. 단지 부모의 필요와 외로움을 돌봐줘야 했었다. 이것이 바로 비육체적 성적학대이다.

 

브론코와 글로리는 자신들의 정신적인 상처를 결혼 생활에 그대로 갖고 와서는 새로운 가족관계에서도  똑같은 역기능적인 역동을 계속해 나갔다. 브론코는 여자를 사랑했다가 버리는 패턴을 반복하면서 성적인 학대를 표출하곤 했다. 그는 여자를 버릴 때마다 통제했던 어머니에 대한 상징적인 승리를 확인했다. 물론 이것은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그는 어머니를 이상화시키기 때문에 자신이 어머니에게 화가나 있다는 것조차 몰랐다.

 

글로리는 브론코의 외도로 인한 수치심으로 거의 망가져 있었다. 나는 그녀가 아버지에게 이용당했으며 결국 아버지는 교회에 있는 다른 여성들도 이용했던 사실을 깨닫도록 도와 주었다. 그러나 글로리는 광적인 신앙심으로 자신의 깊은 분노와 슬픔을 감추었다. 또한 글로리 는 작은 아들과의 관계에 있어 비육체적인 성적 경계선을 허물어 버렸다. 아이는 엄마의 예민한 작은 남자였다. 그녀는 그 아이와 성경에 대해 토론하거나 성경을 묵상하면서 오랫동안 함께 산책하곤 했다. 아이는 어머니의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빈 공간을 채워주고 있었다. 딸은 가족 모두의 분노와 고통 외로움과 공허감을 채우기 위해서 먹기 시작했다. 그녀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걱정거리 이자 가족이 이었다. 라벤더 가족을 주일 날 교회에서 만났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인다.

 

라벤더 가족 구성원 중 어느 누구도 정체성을 갖고 있지 않다. 그것은 유치원 때 채워져야 할 발달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건강하지 않은 수직적 또는 수평적인 세대간의 결속은 특히 아이들의 성 정체성을 파괴한다. 아들이나 딸이 이성 부모의 자리를 차지하는 부적절한 결과를 낳는다. 라벤더 부부는 아이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상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데 실패했다. 아이들이 부모에게 결혼 생활을 돌봐주기 때문에 사실상 그들이 가정을 유지하고 있었다. 모든 역기능 가정들처럼 라벤더 가족들도 동반의존적이었다. 게다가 모든 구성원이 외향적이었다. 누구도 자신의 내면 신호에 관심을 가질 만한 시간이 없었다

 

197
유치원 시기에 가장 보편적으로 왜곡된 역할들은 다음과 같다. 지나치게 책임감 강한 아이, 지나치게 성취지향적인 아이, 성취도 낮은 아이, 반항 아,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아이, 착한 아이, 연인, 보호자, 가해자 등등.

 

, 봐라. 네가 무슨 짓을 했는지. 너 때문에 엄마가 아프잖아. 이것은 결국 당신에게 과도한 책임감을 지우는 결과를 낳는다. 중독적인 죄책감은 유치원 시기에 당신의 내면아이가 가장 심각한 상처를 받는 방식이다.

 

207
우리가 서로에 대해 더 많이 알아 갈수록 그 아이가 단지 도움만 필요로 하는 아이가 아니라, 같이 지내기에 무척이나 재미있는 아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7장 학령기 아이를 치유하기 -209

 

211
학령기 동안 아이의 생물학적 리듬은 생존 기술들을 배울 수 있는 단계를 마련한다. 믿음과 희망, 자율성과 의지력, 주도성과 목적, 등과 같은 초기 자아의 힘을 마련함으로써 성인으로서의 인생을 위해 준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배우게 된다. 가장 중요한 기술은 사회화 기술로 아이는 협동, 상호의존, 그리고 건강한 경쟁 의식을 배워야 한다. 그러나 이런 기술들이 자신을 알고 사랑하고 가치를 주는 것보다 더 중요 하지는 않다. 사실 좋은 배움을 위해서는 건강한 자기 존중감이 중요하다.

 

212
학교는 우리의 자의식을 검증하도록 도와주는 장이다. 우리는 새로운 능력을 인식하게 되며 자신이 근면하고 유능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것이 바로 학교에 있어 개발될 필요가 있는 자아의 힘이다. 우리가 유능하다면 근면해질 것이고, 세상에서 우리가 있을 자리를 창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유능하기 때문에 내가 선택할 대로 될 수 있다. 학령기에는 공부뿐만 아니라 놀 수 있는 시간도 있어야 한다. 아이들의 놀이는 성장의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213
당신 내면의 학령기 아이는 즐겁고 쾌활하고 매력적인 작은 아이다. 이 아이는 친구들과 가까이 하고 싶고 열정적이며 배우는데 호기심이 많다.

 

그렇다면 왜 많은 아이들이 학교에 가기 싫어하고, 학교가 지루하고 재미없고 강압적인 곳이라고 생각할까? 한가지 이유는 교육이 종종 정신적 상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214-217
학교와 감옥은 이 세상에서 유일하게 해야 할 일보다도 시간이 더 중요한 곳이다산수가 살아남는 데 필요한 기술은 전혀 아니지 않는가? 여기에서의 위험은 당신의 내면 아이가 미숙하다고 낙인 찍히는 상처를 받을지도 모른다는 점이다. 점수체계는 그 자체로 아주 수치스럽고 불행한 제도이다. 이것은 아이에게 암기하고 성취하도록 계속에서 압력을 넣는다. 이것은 분명히 완벽주의적이다. 이것은 중독적인 수치심을 만들어 내고 이로 인해 당신에게 항상 부족하다는 느낌을 준다.

 

당신은 곧 당신이고 아무도 당신과 같을 수 없다면 당신을 누구와 비교 하겠는가? 사실 모든 완벽주의 체계는 우리를 타인과 비교하게 만든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낙제하게 되면 이것은 그들에게 큰 아픔을 준다. 열등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준다. 아이들에게 자신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상처를 준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낸다고 해도 그 역시 문제를 야기한다. 그들은 인생의 모든 부분에서 최고를 지향하는 성과 중심적인 인간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가족체계처럼 학교 체계 역시 역기능적이다. 우리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전혀 제공해 주지 못한다.

 

우리를 독특한 존재로서 대해 주지도 않는다. 이 세상의 누구도 나와 같은 사람은 없다. 성공의 기회를 쳐다보며 무기력하게 있다가 낙오자가 되어 버리거나, 체계 순응 상태에 빠지는 과정에서 천천히 영혼이 살해당하는 것이다.

 

학교에서는 창조성과 독특함 보다는 획일성과 암기력에 대해서 보상 한다. 전과목 A 학점을 받는 우등생으로 길러진 많은 사람들이 정작 자신의 진정한 능력을 개발해 보지도 못했다. 나는 내 인생의 대부분을 뭔가를 해야 하고 성취해야 한다는 것 때문에 받은 상처를 치료하는데 보냈다. 얼마나 많은 A학점을 받았는가는 나의 정신적인 상처를 치료하는데 아무 소용이 없었다.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상처받은 그 아이는 여전히 혼자였고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우리 중 많은 이들은 전과목 A 학점을 받으려고 애쓰느라 너무 바빴기 때문에 사회적인 기술을 배운 적이 없다. 학점으로 인한 엄청난 스트레스와 부담 때문에 학교에서 재미있게 놀 일도 없었다. 또한 우수한 성적이 또래 친구들의 집단 문화로부터 종종 안전을 보장해 준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 우리는 이중구속에 매인 셈이다.

 

지금을 내 인생의 가장 창조적인 면은 쾌활하고 호기심이 강하다는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쓰는 게 재미있다. 강의하고 배우고 지난 몇 년 동안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작하는 작업도 흥미로웠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대부분은 단순히 뭔가를 알고 싶다는 욕구나 소망이 동기화된 우연한 배움의 산물이다. 이런 흥미로운 작업의 핵심에는 경이로움이 있다. 우연한 배움은 당신 안에 이 놀라운 아이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이다.

 

유아시절 당신은 호기심 어린 눈으로 세상을 탐험하면서 우연한 배움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대부분의 우리가 그러했듯이 아마 당신도 체계에 의해 움직이도록 강요당했을 것이다. 재미도 없는 것을 억지로 배우고 순응하도록 길들여지는 것이다.

 

용기 있고, 창조적이며, 교육적인 수많은 교사들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무섭고 학대적인 많은 교사들도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의 상처받고 화가 난 학령기의 내면아이를 학생들에게 투사시킨다. 학령기 아이들이 얼마나 잔인해 질 수 있는지는 윌리엄 골딩의 소설 파리대왕에 잘 묘사되어 있다.

 

비록 어떤 아이들은 서툴고 미숙해 보일지 모르지만 사실 어떤 아이라도 아름답지 않은 아이는 없다. 그 아이들은 단지 거칠고 아직 미완성인 존재이며 자신들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우리의 존중과 도움을 받을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존재이다.

 

8장 당신 자신을 다시 세우기-새로운 청소년기 -229

 

231. 정상적인 청소년기
청소년기에 중요한 과업들이 건강하게 성취되느냐는 어린 시절로부터 발달된 자아의 힘에 달려 있다.

 

자아정체성은 직업에 대한 확실한 약속에서 증명되듯이 자신의 나됨이 타인의 나됨과 조화를 이룬다는 확립된 자신감이다.

 

이것은 당신의 내면아이 나됨이라는 인식이 두 가지 방법으로 확인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하나는 친밀한 관계에 있는 중요한 타인의 눈에 반영되는 과정을 통해서, 다른 하나는 그 사람의 존재를 높여주는 의미 있는 직업을 통해 확인 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성인 정체성의 두 기둥은 바로 프로이트가 말하는 성숙의 두 가지 징표인 사랑과 일이다. 청소년기 동안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비행이나 타락을 야기하는 파괴적인 힘이 될 수 있다. 심지어 건강한 내면아이를 가진 사람도 여전히 어린 시절의 수많은 전쟁들을 다시 치러 내야 한다는 점에서 정상적인 청소년기는 인생의 주기에서 가장 격렬한 시기 중의 하나이다.

 

233. 모순
청소년기에 모순적인 특성은 샐린저의 책 <호밀밭의 파수꾼>에서 훌륭하게 묘사되어 있다. 주인공인 열여섯 살의 홀든 카우필드는 어른이 되고 싶었다. 그는 술이나 여자, 갱 두목 등으로 비춰지는 어른의 세계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었다.

 

동시에 어른의 삶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고, 피비라는 어린 여동생과 그녀의 친구들의 보호자가 되려는 환상을 갖고 있었다. 자기보다 어린 아이들과 같이 있어 그들을 보호하려는 것은 어른들의 세계에 직면해야 하는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지켜 준다. 그는 아동기와 성인기라는 두 세계 사이에서 살고 있었다. 모순은 바로 이 두 세계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다. 모순은 또한 청소년기의 특징인 감정적인 격동이나 자유분방한 분위기와도 관계있다. 안나 프로이트의 의하면 청소년기 아이들이 하루는 부모의 존재를 증오하다가도, 그 다음 날이면 그들과 진정으로 가슴 깊은 대화를 하고 싶은 것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라고 한다.

 

233. 부모로부터의 거리
청소년들이 집을 떠나기 위해서는 자신의 부모에게 무관심해져야 한다. 부모와 거리를 두는 현상은 청소년기 정상적인 특징이다. 또래 집단이 새로운 부모가 된다는 점에서 나는 또래집단부모라고 부르고 싶다. 또래집단 부모는 매우 엄격하고 규칙에 속박 되어 있다.

 

234. 직업
10
대들의 마음 속에 있는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직업이다. 어떤 종류의 일을 해야 할지, 어디에 자신들의 에너지를 투자해야 할지, 자기 자신을 어떻게 돌봐야 할지, 성인이 되면 어디서 일을 해야 할지 등등에 대해서이다.

 

생존에너지는 우리 인생에서 어떤 종류의 일을 하면서 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한다. 그 선택은 문화마다 세대마다 다르다. 과거에는 직업적인 선택들이 대단히 한정되어 있어서 미리 결정되어 버리곤 했었다. 그 시절에는 인생이 단순했다.

 

234. 외로움

청소년기는 항상 외로운 시기이다. 아무리 많은 또래 친구들이 있어도 내면의 공허함을 느낀다. 젊은이는 아직 자기가 누구인지 어디로 가야 할지를 확실히 알지 못한다. 왜냐면 막 새롭게 생겨난 추상적 사고 능력으로 인해 미래(가설)인생에서 처음으로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젊은이가 미래에 대해서 숙고할 때, 그는 부제라는 인식을 경험하게 된다. 만약 그가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갖고 있다면 그 경험을 더욱 강렬해질 것이다. 청소년기에 새롭게 나타난 인지구조는 자기반성 능력이다. 즉 자의식이 생기는 것이다. 청소년은 생각 한다는 것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이 가능한 것이다.

 

235. 자아정체성

나는 누구인가? 와 나는 어디로 갈 것인가? 라는 질문은 청소년기의 새로운 정신적 능력의 선물이다.

 

235. 성적 탐구

강력한 새로운 에너지가 나타나게 된다. 이 에너지는 그 자체로 확장하는 인생의 활기이다. 니체는 인생은 스스로를 갈망 한다고 생각했다. 생식기에 대한 탐구는 건강한 정체성 형성에 아주 중요하다. 이는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236. 개념화
추상적이고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나타난다. 나는 누구며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인가? 나의 가능성은 무엇인가? 청소년 시기에 정체성에 대한 생각은 곧 가능성에 대한 생각이다. 꿈과 이상은 우리를 자극하는 모델을 만들어 낸다. 또한 청소년들은 자신들이 우상에 집착 한다. 종교적인 준비가 잘 되는 시기다. 청소년들이 어떤 주의나 운동에 빠지는 방식을 증명해 준다.

 

236-237. 자기중심적 사고

청소년들은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들은 특징상 과대망상적이다. 우연히 쳐다만 보아도 가차없이 어떤 평가적인 판단으로 해석해 버린다. 나는 상상의 관중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적인 우화. 두 가지 모두 과장된 사고 방식이다.

 

개인적인 우화는 한 사람의 인생은 완전히 특별 하다는 믿음이다. 청소년들은 아무도 내가 겪은 일을 경험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말한다. 이것은 결국 아무도 나를 이해하지 못해’, ‘아무도 나를 사랑하지 않아등의 생각으로 이어진다.

 

237. 자아도취

청소년들은 자아도취에 빠져있다. 자기 모습을 쳐다보면서 오랜 시간을 보내곤 한다. 이것은 바로 그들의 강한 자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것은 초기 자기의적인 욕구들이 재순환된 것이기도 하다.

 

238. 열광적인 의사소통

친구에게 계속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누군가와 연결되어 있고, 또 누군가가 자신을 원하고 있다는 그런 느낌을 갖게 해 주기 때문이다.

 

238. 실험

실험은 청소년들의 지평선을 확장시켜 주며, 그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전에 다른 행동들을 시도해 보려는 방식이다.

 

239-242. 성장장애

나에게는 모순적인 특징이 조울증적인 행동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난잡한 매춘행위나 술을 마시는 행동을 통해 엄격한 카톨릭 교육에 반항했다. 십 대인 나는 끔찍할 정도로 혼란스러웠고 외로웠다. 아버지가 없었기 때문에 내게는 반항할 대상도, 역할모델로서 따를 수 있는 대상도 없었다. 대신 나는 역할 모델로 반()영웅들을 택했다. 이것이 소위 부정적 정체성의 뒤에 숨어있는 역동성이었다.

하지만 나는 삶이 무서웠다. 우리의 초기고통과 충족되지 못한 어린 시절의 욕구들을 밖으로 표출하는 시기가 바로 이 청소년기이다.

 

비행청소년의 폭력은 상처받고 외로운 내면아이의 미분화된 분노를 입증한다. 범죄행위는 바로 어린 시절에 잃어버린 것을 훔쳐오는 방법이다.

 

청소년들은 종종 가족의 희생양이 되곤 한다. 그들은 지정된 환자로 낙인 찍히지만 사실은 그들이 가족을 돌보고 있는 것이다.

 

우리 가족의 경우 알코올 중독자인 아버지가 우리를 버리면서, 남은 가족 구성원 간에는 아주 심각한 과잉 밀착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우리 가족 중 누구도 온전하게 분화된 자기를 갖고 있지 못했다. 우리들 각각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일부였다. 그래서 우리 중 누군가가 어떤 감정을 느끼면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똑 같이 느꼈다. 엄마가 슬프면 우리 가족 모두가 슬펐다. 엄마가 화가 나 있으면 우리 모두도 그렇게 느꼈고, 엄마의 분노를 멈추게 하기 위해 애썼다. 내가 나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기에는 기반이 너무 빈약했다. 역할 혼동이 증대되면 고립감과 내적인 공허함이 증가한다.

 

나는 계속해서 스타가 되었다. 학생회장, 편집국장, 우등생이었다. 또한 알코올 중독에다 아버지가 없는 아이들의 또래 집단에 속해 있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내 역할은 보호자였다. 왜냐하면 그 역할이야말로 내가 정말로 중요한 존재임을 느낄 수 있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나는 집안의 작은남자가 되었다. 나는 동생들의 작은부모였다. 가족을 돌봄으로써 나는 중요한 사람이 되었다. 그리고 나는 청소년기의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독신 성직자가 되기를 선택했다. 나는 이제 영혼들의 보호자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잘못된 정체성 밑바닥에는 외롭고, 혼란스럽고, 두려움에 떨고 있는 작은 소년이 버려져 있었다.

 

243. 보고하기

당신의 청소년 시절의 내력을 적으면서 상처받은 내면아이가 어떻게 청소년기를 타락시켰는지에 초점을 두라. 그리고 정신적 상처 사랑하는 사람이 없었다거나, 외로움, 또래집단의 압력과 거절, 가족에 대한 상처 등 에 대하여 자세히 적어 보라.

 

당신의 최종적인 역할들은 당신의 상처받은 아이의 내력을 확인해 주는 일종의 메타포와도 같다.

 

3부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성장시켜라 -249

250. 들어가며

상처받은 내면아이는 자기를 지켜 줄 만한 잠재력과 힘이 있는 누군가가 필요하다. 당신의 내면아이를 성장시킬 수 있는 방법은 당신 자신에게 새로운 부모가 되는 일이다. 내면아이에게 새로운 허락과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초기고통을 다루는 작업은 진정한 자기와 만나는 경험이었다. 왜냐면 당신의 놀라운 아이는 초기 발달단계에서 억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발단단계에서 제대로 배울 기회가 없었다. 대부분의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문제는 학습결핍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결핍들은 교정될 수 있다.

교정적인 경험은 재교육의 형태를 띤다. 내면아이는 적절한 때에 적절한 순서대로 배우지 못했던 가르침과 양육을 받아야만 한다.

9장 당신의 성인자아를 잠재력의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하라 -251

251. 부모에게 대항할 만한 충분한 힘이 당신에게 있음을 확신시켜 주어야 한다. 이 힘을 잠재력이라 한다. 내면아이에게 당신의 능력과 힘을 가능한 한 많이 보여줄 필요가 있다.

253. 용서 구하기 내면아이와 신뢰성을 형성하고 잠재력을 키우는 또 다른 방법은 지난 명 년간 아이를 내버려둔 데 대한 용서를 구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편지를 쓸 수 있다.

그 때 완전히 너에게 무관심했다. 하지만 이젠 난 널 사랑한단다. 너를 위해서 시간과 관심을 내어 줄 것을 약속할게. 네가 원할 땐 언제나 내가 네 곁에 있을게. 이제 난 너의 든든한 후원자야.

256. 내력 바꾸기 만일 상상된 경험이 아주 생생하고 구체적이라면, 뇌와 중앙 신경조직이 실제 경험과 상상된 경험의 차이를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가설이다. 이를 활용한 내력 바꾸기의 엄청난 효과가 확인되었다.

=> 이는 맥스웰 박사에 의한 자아상(self-image) 바꾸기 이론과 정확히 일치한다. 우리의 신경조직이 실제 경험과 상상된 경험의 차이를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잘못 각인된 자아상을 바람직한 것으로 바꾼다는 이론이다.

301. 오래된 외상의 기억 속으로 스트로크를 설치하는 훈련 당신의 부모가 극도로 혼란스러워 할 때(당신에게 소리치고, 판단하고, 낙인 찍고, 위협할 때) 당신의 내면아이는 가장 극적으로 그들의 말을 내면화한다. 이때는 당신의 생존이 가장 위협받는 순간이다. 그들이 한 말은 당신의 기억에 강하게 각인되어 남는다.

308. 교정훈련을 실행에 옮기기 교정훈련을 통해서 당신의 상처받은 내면아이로 하여금 결점이란 사실상 결핍이었음을 이해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당신의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잘못된 행동들은 사실은 그 아이가 살아남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학습된 생존방식들이다. 이것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특징들과 비교해 보았다. 전쟁터에 있는 군인이나 극심한 고통의 사건을 겪은 사람들은 살아남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그들에겐 상처를 아물게 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감정표현의 최소한의 시간조차 없는 것이다. 그러다가 다 표현되지 못했던 슬픔은 불안으로 인한 공격, 과잉통제, 기억력 쇠퇴, 우울, 연령퇴행, 과다경계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4부 재생

352-353. 들어가며 당신의 놀라운 아이는 자연스럽게 자라고 자기실현을 위해 성장해 갈 것이다. 놀라운 아이의 자연스러운 상태는 창조성이다. 그것은 당신의 본질, 깊은 내면, 유일한 자기를 발견하는 작업이다.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발견하고 회복하는 과정은 노출과정이다. 상처받은 아이를 성장시키는 작업은 아이의 영적인 힘을 회복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아이가 새롭게 발견한 영적인 힘을 통해 당신은 스스로를 회복하기 시작한다. 이것이 당신의 진정한 귀향이다.

놀라운 아이가 당신의 영성의 핵심이며, 당신 존재의 창조적인 근원이나 자원과 가장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싶다. 사실 당신의 놀라운 아이는 하나님의 형상, 즉 당신의 창조주와 닮은 당신의 일부다.

13장 재생과 변환의 보편적 상징으로서의 아이 -355

360. 나는 나이고 유일한 존재였다. 우리가 찾고 있는 사람은 바라보고 있는 사람이다. 이를 바라보는 자기나를 바라보는 나라고 부른다.

361. 지난 40여 년 동안 스타로, 목표지향적인 사람으로, 보호자로 살면서 나는 행동을 통해서는 내 존재가 치유될 수 없음을 철저히 배워야 했다. 문제는 진정한 내 모습이 되는 일이었다.

14장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놀라운 아이 -371

372. 창조적인 재생으로서의 놀라운 아이 창조성의 필수적인 요소들로 쾌활함, 자발성, 현재를 살아가는 능력, 경이로움을 경험할 수 있는 능력, 집중력, 자신이 가치평가의 중심이 되는 능력 등을 발견했다. 이는 자신에 대한 만족감으로 자기가 만들어 낸 결과물에 대해 기뻐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결국 나됨이란 인식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이 모든 자질들은 놀라운 아이의 특징이다.

바로 어린 아이 같은 모습이다. ‘어린 아이 같음은 자발적이고, 이 순간을 살아가고, 집중하고, 상상력이 풍부하고, 창조적이고, 놀고, 즐거워하며, 경이로움을 경험하고, 신뢰하고, 슬퍼하며, 사랑하고, 놀라고, 희망한다.

놀라운 아이는 천부적인 시인이다. 우리 안의 이 부분을 만나게 될 때, 우리는 찬조적인 힘을 발휘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처받은 아이의 얼어붙은 슬픔 속에 살아가기에 그들의 창조적인 힘을 깨닫지 못한다. “대부분의 인간은 조용히 절망하며 살아간다그러나 내면아이의 회복과 후원작업이 이루어 진다면 놀라운 아이는 창조적인 재생을 외칠 것이다.

 

IP *.196.54.4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