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
- 조회 수 293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노인 한 사람이 죽는 것은 도서관 하나가 불 타 없어지는 것과 같다’는 말이 있습니다. 오랜 시간을 살아온 노인들에게는 젊은 사람들이 갖고 있지 못한 것이 있습니다. 세상을 살아오면서 직접 부딪쳐 얻은 생생한 경험이 그것입니다.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삶의 희로애락을 헤쳐 오면서 배운 것은 어느 것과도 비길 수 없는 지혜입니다. 한 인간의 삶에는 긴 시간과 그 시간 속에서 이루어진 역사가 담겨 있습니다. 온고지신이라는 말처럼 후대의 사람들은 먼저 간 사람들을 보면서 배웁니다. 한 인간의 삶은 지혜의 창고와도 같습니다. 누군가 그 창고에 와서 보고 배우고자 합니다. 사람이 곧 책과도 같다는 말이겠지요.
‘사람도서관’이 여기저기에 생기고 있습니다. 종이책 대신 ‘사람책’을 빌릴 수 있는 곳입니다. 사람도서관에서는 종이책 대신에 사람이 책이 됩니다.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사람이 책이 되어 서가에 등록을 합니다.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그 많은 책, 즉 사람 중에서 하나를 골라 대출 신청을 하지요.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대출하면 만남의 시간을 갖고 그 책, 즉 그 사람의 경험과 배움과 지혜를 나누어 받습니다. 대단한 경력이 없는 사람들도 책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살아온 길은 서로 다르고 누구의 인생이든 독특한 무언가가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책과 다르지 않습니다.
어느 대형 서점의 입구에는 이런 글귀가 적혀 있습니다.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절묘한 명문장입니다. 책이라는 제품을 만드는 것은 사람입니다. 그렇게 사람들이 만든 책은 세상에 나와 또 다른 사람들을 만납니다.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것과 알고 있지 못한 것과 알아야 할 것들을 책에서 배웁니다. 지식을 배우기도 하고, 정보를 얻기도 하고, 현명한 삶을 살아갈 지혜를 배우며, 풍요로운 삶으로 갈 수 있는 길을 찾기도 합니다. 사람이 책을 만들지만 결국 그 책들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책을 읽으면서 사람은 또 한 권의 책이 됩니다.
어느 날 아이가 다가와 책을 읽으려 합니다. 그 책은 아빠라는 호칭을 갖고 있는 ‘사람책’입니다. 또는 엄마라고 불리는 ‘사람책’이기도 합니다. 어느 날 후배가 다가와서 책을 폅니다. 그 책은 선배라는 또는 상사라는 호칭을 가지고 있는 ‘사람책’입니다. 당신이 아빠라면 혹은 엄마라면, 당신은 어떤 책일까요. 아이가 또는 누군가 다가와 당신이라는 ‘책’을 펼쳤을 때, 무엇을 읽을 수 있고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질문을 던져봅니다. 나는 누군가 읽을 만한 책인가. 읽을 만한 무언가가 있는 책인가. 당신은 어떤 책인가요.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437 | 편안함을 지양하려는 이유 | 연지원 | 2014.06.02 | 2915 |
2436 |
책을 좋아하지만 책에 속고 싶지는 않다 ![]() | 승완 | 2014.06.03 | 3767 |
2435 | '준비-조준-발사' 에서 '준비-발사-조준'으로 | 문요한 | 2014.06.04 | 3712 |
2434 | 삶의 비밀을 가르치는 숲 | 김용규 | 2014.06.05 | 3121 |
2433 | 또 하나의 달 | 書元 | 2014.06.07 | 3007 |
2432 | 지적 욕망이 독서를 방해한다 | 연지원 | 2014.06.09 | 3246 |
2431 |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 [1] | 승완 | 2014.06.10 | 3218 |
2430 | 건강한 책임감과 신경증적 책임감 | 문요한 | 2014.06.11 | 4295 |
2429 | 여름 숲의 가르침 하나 | 김용규 | 2014.06.12 | 3125 |
2428 | 인생 무상의 세 가지 결말 | 연지원 | 2014.06.16 | 7791 |
2427 |
공명의 순간 ![]() | 승완 | 2014.06.17 | 3917 |
2426 | 열정 노이로제 [1] | 문요한 | 2014.06.18 | 2936 |
2425 | 순리를 따르라 | 김용규 | 2014.06.19 | 3269 |
2424 | 오늘은 오늘이 아니면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날 | 오병곤 | 2014.06.20 | 3604 |
2423 | 심란한 날을 사는 법 | 연지원 | 2014.06.23 | 2899 |
2422 |
세 사람이 사랑한 한 사람 ![]() | 승완 | 2014.06.24 | 3893 |
2421 | 가장 주관적인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 문요한 | 2014.06.25 | 3575 |
2420 | 멈추라 | 김용규 | 2014.06.26 | 3014 |
» | 사람이라는 책 | -창- | 2014.06.28 | 2938 |
2418 | 뜻밖이라고 당황하지 말고 | 연지원 | 2014.06.30 | 3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