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84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4년 7월 3일 10시 01분 등록

지리산 구룡계곡을 거슬러 올랐습니다. 지리산의 숲이 토하는 녹음은 가히 대단했습니다. 어느 숲이든 그렇습니다. 숲에 사는 나무들은 스스로 푸르러질 줄 압니다. 인간들 잡초라고 부르는 풀도 스스로 꽃 피울 줄 압니다. 새 역시 스스로 날고 제 스스로 삶을 꾸릴 줄 압니다. 지렁이와 개미, 거미와 나비, 나방과 지네조차 모두 제 힘으로 살 줄 압니다. 그래서 그 생명들 모두 위대합니다. 동시에 그래서 숲은 인간에게 스스로 사는 법을 가르치는 학교입니다.

 

그 가르침을 마주할 눈만 열면 됩니다. 내가 왜 태어났는지부터 무엇을 향해 욕망과 꿈이 뻗어가고 있는 것인지, 어떻게 해야 꽃이 피고 어떻게 해야 열매를 맺으며 어떻게 해야 내 하늘을 열 수 있는지 그 비밀스러운 사태를 꿰뚫어 마주할 수 있습니다. 그 사태를 꿰면 만물의 영장이라고 떠벌리면서도 삶의 시절 시절마다를 놓고 쩔쩔매는 우리 삶이 한결 간단해집니다.

가르침 마주할 눈을 뜬 사람은 바위를 뚫고 자라는 소나무 한 그루만 마주해도 알 수 있습니다. ‘, 삶이 얼마나 불완전하게 시작되는 것인가? 모든 것을 갖추고 시작하는 삶이 어디에도 없구나. 삶이 본래 불완전한 것이구나!’ 그 사태 깊이 터득하고 나면 그 불완전함을 끌어안고 그것을 넘어서고자 분투하는 것이 모든 생명 본래의 과제요 욕망임을 알게 됩니다. 삶의 본질 중 하나가 결국 자기극복의 과정임을 알게 됩니다.

 

조금 더 깊게 눈을 열어 숲을 마주하면 삶의 더 깊은 본질이 확하고 다가서는 날이 찾아옵니다. 생명 하나하나마다 품은 눈물겨운 도전(challenge)’을 보게 됩니다. 삶의 본질 중 하나가 자기극복을 위한 끝없는 도전임을 알아채게 됩니다. 또 그 도전 속에 생명들 저마다 얼마나 많은 창조(creation)’의 과정과 결과를 품어 이루어내고 있는지에 감탄하게 됩니다. 삶이 곧 창조여야 함을 배우게 됩니다. 지금 산하 곳곳의 숲 가장자리에서 좁살처럼 작은 희거나 연보라 빛 품고 촘촘하게 피어나는 산수국 한 포기만 마주해도 알 수 있습니다. 그가 녹음 속에서 자기를 드러내기 위해 피워낸 하얀 빛깔 헛꽃이 얼마나 위대한 창조인지.

 

험한 숲 세상에서 살아남고 또 자기 결실 이룬다는 것은 모두 그렇게 눈물겹습니다. 모든 생명의 생존은 그래서 눈물겨운 감탄입니다. 하지만 우리 사람의 삶이 어찌 오직 살아내고 제 꽃 하나 피우는 데만 그 목적이 있겠습니다. 더 깊고 충만한 삶, 나아가 숭고한 삶에 닿을 때 사람다운 삶을 사는 것이 되지요. 그래야 비로소 그것을 인문이 넘실대는 세상이라 할 수 있겠지요. 풀이나 나무 짐승과 달리 인간에게는 우리 인간만이 가진 지향이 있습니다. 그것을 위해 동시에 숲으로부터 배워야 할 공동체적 가치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이어서 우리 보다 먼저 숲이 이루어 오고 있는 함께 깊어질 줄 아는 숲의 공동체적 비밀에 대해 나눠보겠습니다. 또한 여건이 되면 우리 인간만이 품을 수 있는 충만한 삶에 대한 나의 단상도 담아볼까 합니다.

IP *.125.12.13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6 물들이려 하지 마라 김용규 2016.04.29 1192
1895 쉰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용기 재키제동 2016.04.29 1212
1894 마흔아홉, 만남 그리고 진실 [2] 書元 2016.04.30 1256
1893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2편 차칸양(양재우) 2016.05.03 2064
1892 나는 타자의 타자 한 명석 2016.05.04 1382
1891 자신의 리듬이 생길 때까지 김용규 2016.05.06 1276
1890 쉰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열정 재키제동 2016.05.06 1544
1889 <아티스트웨이 창조성 센터>에 놀러오세요. 로이스(旦京) 2016.05.08 1714
1888 나는 학습하는 사람인가 연지원 2016.05.09 1765
1887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3편 차칸양(양재우) 2016.05.10 2430
1886 인생이 슬픔인것을 알게 되어서 기쁘다 한 명석 2016.05.11 1484
1885 모질게 다가오는 것들의 의미 김용규 2016.05.13 1366
1884 쉰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감정읽기 재키제동 2016.05.13 1429
1883 마흔아홉, 존재의 이유 書元 2016.05.14 1331
1882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4편 차칸양(양재우) 2016.05.17 2149
1881 한 사람의 승리가 세상을 위로하네 한 명석 2016.05.18 1420
1880 선(善)이 무엇이냐 물으시는 스님의 질문에 김용규 2016.05.19 1252
1879 쉰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비즈니스 [2] 재키제동 2016.05.20 1466
1878 나, 다시 돌아갈래! 연지원 2016.05.23 1417
1877 내 심장을 뛰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한 명석 2016.05.26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