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수일
  • 조회 수 1601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4년 7월 27일 17시 35분 등록

나의 고전 독법

2014. 7. 27


근래 몇 개월 동안 동서양을 넘나들며 고전의 넓고 깊은 바다에 빠져 허우적 거린다. 고전을 읽으면서 나는 항상 역자들에게 깊은 고마움을 느낀다. 그들이 아니었더라면 내가 어찌 플라톤을 만나고 향연의 말석에서 소크라테스를 만날 수 있었겠는가. 공자 선생님을 만나 그에게 사사 받고, 다산 할아버지를 만나 자식에게 베푸 실 돈독한 가르침을 당신과 무릎을 마주하고 앉아 영롱하게 들었다. 그때마다 나는 이분들과 만나게 해 준 역자 선생님들이 사무치게 고맙다. 그러니까 이분들 덕분에 내가 선생님들을 만나고 그분들께 사사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때때로 아득한 저 너머로 직접 건너가 보고 싶은 유혹과 충동에 시달린다. 내게 저 너머의 세상은 암연暗然의 바다에 다름 아닐테지만 분수를 모르는 욕심은 잔잔한 심장에다 왕소금 한 바가지를 쏟아붓는다. 한 동안 심장이 파닥파닥 뛰지만 까만 것은 글자요, 흰 것은 종이일 것인데 너른 강 이쪽에서 결국 발 한번 담궈 볼 용기조차 내지 못하고 만다. 그저 망망대해 앞에 나무젓가락 하나로 맞서는 것에 지나지 않음을 알아내고는 풀이 다 죽어 돌아서고 말 뿐이다. 대략 삽십년쯤 전에 알파벳을 알았지만 열살박이 작은 아이와도 말하지 못하고 등본을 보지 않으면 아이들 이름조차도 더듬거리는 주제에 언감생심이지 않은가. 이쯤 되면 메피스토펠레스가 내게도 한번쯤은 와줄만도 한데...그러면 나는 잠시도 망설이지 않고 그와 거래를 하고 말 것이다.


내가 오래된 책 그러니까 고전들을 만나는 것은 ‘성찰’과 ‘알아차림’에 있다. 그렇게 나를 바로 알아 정신차려 깨닫고 그렇게 나를 반성하여 돌보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모름다움’에서 ‘아름다움’으로 가는 길일 것인데 고전은 이 길을 낱낱이 알려주는 자상한 안내자다. 그 동안 나는 제법 고전을 읽었다. 동양고전이 주가 되겠지만 회자되는 고전들의 책거풀 정도는 섭렵했을 것이다. 언제나 누군가가 해석해 놓은 것을 읽을 수 밖에 없었지만 그것으로 본의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원문으로 읽고 싶은 욕구가 목구멍까지 차올랐지만 그것은 내가 넘을 수 있는 벽이 아니라고 일찌감치 한정 지어 놓았다. 뜻이 중요하지 형식이 중요한 것은 아닌 것이며 나는 충분이 그들의 해석 범주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주는 먹이를 먹어야 하는 나는 주는 것 이상 먹을 수 없다는 것을 늘 이런식의 자위로 무마시켜왔다. 늘 이런 식 이었다. 그러고 보면 그 동안 독파한 고전들도 공부라기 보다는 쇼핑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신영복 선생의 <강의>는 이번이 두 번째 만남이다. 수년 전 색연필로 도배하면서 읽었지만 다시 보니 처음 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 동안의 책읽기가 이리 허술했던 것이다. 다시 선생을 만나 조곤 조곤 선생의 목소리로 그의 강의를 들었다. 선생은 고전을 통해 ‘오래된 미래’를 만나고자 했다.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만나는 지점에 동양고전의 자리가 있음을 설파하면서 ‘존재론으로부터 관계론으로’ 전이하여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이 시대의 과제임을 간곡히 말하고 있다. 선생의 목소리를 따라 가면서 오랜만에 깊은 시간을 보냈다. 더불어 또 한번 원전을 원전으로 읽었으면 하는 어림없는 펌프질로 심장이 팔딱거렸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선생은 논어 팔일편의 한 대목을 열어 놓고 ‘바탕이 아름다움입니다.’라는 작은 표제어를 내어 놓았다.

원문은 이렇다.


子夏問曰: " '巧笑천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자하문왈     교소천혜  미목반혜  소이위현혜   하위야

子曰: "繪事後素." 曰: "禮後乎?"
자왈   회사후소    왈   예후호
子曰: "起予者商也! 始可與言詩已矣." _
論語八佾第三-8
자왈   기여자상야  시하여언시위의


여기에 선생은 이렇게 번역문을 달아 놓았다. 

자하가 물었다. “아리따운 웃음과 예쁜 보조개, 아름다운 눈과 검은 눈동자, 소素가 곧 아름다움이로다” 이것이 무슨 뜻입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그림은 소素를 한 다음에 그리는 법이지 않은가.”

자하가 말했다. “예를 갖춘 다음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네商가 나를 깨우치는 구나! 더불어 시를 논할 수 있겠구나.”


다른 번역문을 함께 보자. 여러편을 비교해 보건데 아래 해석은 일반적 해석으로 보인다. 

자하가 여쭈었다. “고운 웃음에 보조개가 아름답고, 아름다운 눈에 눈동자가 또렷하니, 흰 바탕에 무늬를 더하였네” 라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이 있은 다음이라는 것이다.”

자하가 말하였다. “예는 나중 일이라는 말씀이십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일으켜 주는 자는 상이로구나! 비로소 자네와 함께 시를 말할 수 있게 되었구나.” _김형찬 옮김(논어, 홍익출판사)


두 해석을 비교해 볼 때 두루뭉수리하게는 뜻이 통한다 할 수 있겠으나 나처럼 좁고 우비한 사람은 어설프고 헷갈린다. 고전이란 것이 어차피 한 뜻으로 읽혀야 할 이유도 그래서도 안될 것이지만 돌을 씹은 듯 불편하기 짝이 없다. 선생은 소素를 ‘인간적 품성’을 뜻하는 것으로 전하고 있으나 아래 해석의 주를 보면  소素를 ‘희다’ ‘소박하다’의 의미로 전하고 있다. 또한 예후호禮後乎에 대해서도 선생은 “예를 갖춘 다음입니까?”로 전하는 반면 아래에서는 “예는 나중 일이라는 말씀이십니까?”로 전하고 있다. 이것은 앞뒤가 바뀐 전혀 다른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여러 해석을 참조해 보았으나 결국 나는 해석자들의 해석을 다시 더듬거리고 있다는 것에 한없이 초라해지고 말았다. 이 따위 해석들을 비교해 보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이랴. 다시 자위로 도망 길을 열었다. 나는 선생의 해석이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쉽고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논어 옹야편에 다시 영혼을 울리는 구절이 있다.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然後 君子

자왈 질승문즉야 문승질즉사 문질빈빈연후 군자


‘바탕이 문채보다 승하면(튀면) 거칠고 문채가 바탕보다 승하면(튀면) 사치스럽다. 형식과 내용이 고루 어울린 후라야 군자이다.’ 


나는 내용을 채울 필요가 있다. 그것이 바탕이고 바탕은 곧 아름다움인 것이다. 


IP *.201.146.143

프로필 이미지
2014.07.28 09:31:15 *.196.54.42

오호~ 피울선생의 고전독법이 예사스럽지 않군요. 여러 번역문까지 일일이 대조해 가면서,,,, 대단하십니다.

원문을 읽고싶은 건 이런 번역 차이 때문이겠지만 신영복 같은 똘돌한 번역자 찾아서 믿고 그냥 읽는 것도 좋을 듯.

고전을 제대로 독파하려면 감옥에 가던지 절간에 틀어 박혀야 할 것 같고...

그냥 번역판 읽다가 영혼을 울리는 구절을 발견하면 마음에 새기며 실천할 방도를 찿아 보는게 나의 할 일인것 같슴다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4.07.28 12:46:11 *.85.20.115

고전읽기에 대한 저의 우비함도 느끼게 해주네요.

깊게 와닿지 않으면 그저 그러려니 하면서 읽었던 모든 책들에게 미안해지네요.

근데 끌어안고 있으면 내가 넘 불쌍해지더라구요ㅠㅠ. 

프로필 이미지
2014.07.28 13:13:25 *.94.41.89

피울님의 번역본도 나중에 하나 나오지 않을까? 하고 왠지 기대해봅니다 :)

아름다운 바탕!!~

프로필 이미지
2014.07.28 13:24:13 *.213.28.79

정말 많은 차이가 있군요. 쇼핑하는 기분으로 책을 읽은 것...반성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7.28 16:57:57 *.113.77.122

이런 비교가 가능하다니 이제 고전을 피울 ~~~ 

피울을 알면 알수록 피울게 너무 많은것 같아요~~ 



프로필 이미지
2014.07.28 23:23:48 *.222.10.126

사진을 잘찍으시니 그림을 잘 그리실 것이라 어림짐작을 해봅니다.

그림에는 소묘가 있습니다. 소묘를 한번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소묘를 하다 보면 사물의 구석 구석을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 연후에 선을 하나 하나 그으면서 면을 만들고 농담을 이루어 드러나게 합니다.

이렇게 그리려면 먼저 보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 마음이 함부로 되어 있으면 제대로 못 그리는 법이지요.

전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