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359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4년 8월 12일 13시 16분 등록

이윤기 선생은 생전에 잘못 든 길이 지도를 만든다는 말을 자주 했다고 합니다. 특히 내가 길을 잃어버린 것은 아닐까하며 고민하는 청년들에게 이 말을 강조했다고 합니다. 남에게 쉽게 할 수 있는 말은 아닌데 자신의 경험이 그렇기에 확신을 가지고 말한 듯합니다. 이윤기 선생의 주장에 나는 이 정도로 말하지만 신화 연구가 조지프 캠벨이라면 옳거니!” 할 겁니다. 캠벨은 일찍이 이렇게 말한 바 있습니다.

 

어둠이 짙게 깔린 숲으로 들어가라. 그곳에는 어떤 길도 나 있지 않다. 길이 있다면 그것은 다른 사람의 길이다. 각각의 인간 존재는 고유하다.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블리스(bliss)를 향해 가는 길을 발견하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이윤기 선생은 조지프 캠벨의 책 두 권을 번역했습니다. <신화의 힘><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이윤기 선생과 조지프 캠벨은 또 다른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사람의 말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바로 아래 문장은 이윤기 선생, 그 아래 것은 조지프 캠벨의 글입니다.

 

그대들이 좋아하는 일에 매진하라. 좋아하면 자주, 열심히 하게 되고, 열심히 하면 전문가가 된다. 좋아하는 일의 전문가가 되는 길, 골드칼라로 통하는 고속도로다. 날마다 하는 일을 사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곧 삶의 골수다.”

 

블리스(bliss)를 따라가자. 그러면 당신을 위해 보이지 않는 길을 인도하는 헤르메스를 만나게 될 것이다. 당신의 길, 당신의 신화가 만들어질 것이다.”

 

이윤기 선생이 삶의 골수라고 부른 것은 캠벨의 표현을 빌리면 블리스(bliss)’입니다. 캠벨의 책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이윤기 선생은 블리스천복(天福)’이라 번역했고, 또 다른 캠벨의 책 <블리스, 내 인생의 신화를 찾아서>의 번역자 노혜숙 씨는 희열로 옮겼습니다. 그렇다면 천복혹은 희열은 무엇일까요? 캠벨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것은 온전하게 현재에 존재하는 느낌, 진정한 나 자신이 되기 위해 해야 하는 어떤 것을 하고 있을 때의 느낌이다.”

 

캠벨의 천복은 신화’, 칼 융이 창안한 분석 심리학’, ‘독서글쓰기였습니다. 그는 분석 심리학으로 신화를 들여다보고, 신화를 통해 인간의 정신과 삶의 심층을 탐구했습니다. 그리고 관심 있는 저자 한 명을 정해 그 사람이 쓴 책을 모두 읽는 전작주의(全作主義)’ 방식으로 융과 쇼펜하우어, 제임스 조이스 등의 책을 섭렵하고, 이것들을 한데 모아 글을 썼습니다. 이 점이 캠벨이 다른 신화 연구가와 다른 점이고, 그가 깊이 있으면서도 방대한 지식 체계를 형성한 방법입니다.

 

이윤기 선생은 어떨까요? 그의 블리스는 무엇일까요? <무지개와 프리즘>의 맨 마지막에는 후기를 대신해서이윤기 선생과 문학 평론가 문흥술 씨의 대담이 실려 있습니다. 1998<소설과 사상> 가을호에도 실린 이 대담에서 이윤기 선생은 말합니다.

 

최근에 점선으로 삼각형을 하나 그렸습니다. 한 변은 안 쓰고는 못 배길 것 같은 소설쓰기’, 또 한 변은 내가 가 본 산길을 독자들에게 일러주는 일련의 작업으로 이루어질 저술 행위’, 나머지 한 변은, 옛 사람들이 간 길을 오늘 사람들에게 일러줄 고전 번역이 차지합니다. 앞으로 한 20년 동안 이 삼각형을 실제로 그리는 일에 힘을 쏟을 생각입니다.”

 

이윤기 선생의 천복은 소설 집필과 에세이 형태의 글쓰기와 고전 번역입니다. 그가 그린 삼각형에 따르면 <무지개와 프리즘>은 두 번째 변에 속합니다. 그런데 나는 엉뚱하게도 삼각형을 왜 점선으로 그렸는지 궁금합니다. ‘실선으로 그리는 게 더 편한데 굳이 점선으로 그린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나는 점선의 의미를 가능성으로 추측합니다. 여기서 가능성은 두 가지를 의미하는데, 먼저 삼각형이 사각형이나 오각형으로 수정 될 수 있다는 변경 가능성입니다. 실제로 그의 삼각형은 시간이 흐르며 사각형으로 확장됩니다. 추가된 한 변은 신화입니다. 그의 저서와 번역서 목록에서 신화 관련 서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4분의 1이 넘습니다.

 

두 번째 가능성은 삼각형을 이루는 세 점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결합 가능성입니다. 이윤기 선생의 소설과 수필, 그리고 신화 책을 읽다보면 책들 사이에 맥놀이가 일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가령 그의 소설에는 <무지개와 프리즘>과 같은 에세이에 나오는 소재와 내용이 변용되어 담겨 있고, 자신의 신화 책에서 다룬 모티프가 그가 쓴 소설과 종종 중첩됩니다. 그리고 그가 쓴 거의 대부분의 수필집에는 신화적 관점으로 인간과 모듬살이를 들여다 본 글의 비중이 적지 않습니다.

 

나는 이윤기 선생과 조지프 캠벨이 멋진 삶을 살았다고 생각합니다. 두 사람 모두 가면의 삶이 아닌 자기다운 삶을 살았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지프 캠벨과 이윤기 선생의 책을 읽으며 스스로에게 다짐합니다.

 

삶의 골수를 맛볼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을 것이다. 나는 블리스(bliss)에 집중하자. 나의 천복을 발견하자. 그것을 따르자. 그 과정에 충실한 만큼 삶의 정수를 맛볼 수 있다. 스스로를 깊이 알 수 있고 일상은 풍요로워질 수 있다. 나의 이야기가 만들어질 것이고, 나는 내가 바라는 그 사람이 되어 살 수 있을 것이다.”

 

sw20140812-1.jpg        sw20140812-2.jpg

* 이윤기 저, 무지개와 프리즘, 미래인, 2007

* 조지프 캠벨 저, 노혜숙 역, 블리스, 내 인생의 신화를 찾아서, 아니마, 2014

 

 

IP *.34.180.24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39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6
4334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89
4333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92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5
4331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2
4330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5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16
4328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19
4327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1
4326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22
4325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24
4324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27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0
4322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3
4321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4
4320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6
4319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6
4318 충실한 일상이 좋은 생각을 부른다 어니언 2023.11.02 736
4317 케미가 맞는다는 것 [1] 어니언 2022.09.15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