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야
- 조회 수 2432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인 연
장석남
어디서 봤더라
어디서 봤더라
오 그래,
네 젖은 눈 속 저 멀리
언덕도 넘어서
달빛들이
조심조심 하관(下棺)하듯 손아귀를 풀어
내려놓은
그 길가에서
오 그래,
거기에서
파꽃이 피듯
파꽃이 피듯
--------
파꽃이 어떻게 피지?? 파꽃이 어찌 피는지 알면 하늘에서 떨어진 바늘이 땅 위의 좁쌀에 똑바로 꽂히는 것과 같다는 인연, 그 연이 어떻게 닿는지도 알게 될까?
파꽃이 어찌 피는지는 모르겠으나 어디선가 본 듯 끌리며,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은근하게, 지나는 길 언저리에서, 특별나지 않게 만나게 되는 게, 만날 수 밖에 없는 것이 인연인가 보다. 그리 만난 인연들, 스승님을 비롯해 어진 사람 가득하니 나는 인복 많은 사람!
오늘은 하루 종일 이 노래를 흥얼거릴 듯.
♪ 인연이라고 하죠
거부할 수가 없죠
고달픈 삶의 길에 당신은 선물인 걸~
이 사랑이 녹슬지 않도록 늘 닦아 비출게요. ♬
< 어느 하루 >
내 책상 앞에 이재무 시인이 쓴 ‘간절’이라는 시가 있다.
어느 날 그 시가 내 눈에 들어왔다.
대강 아래와 같다.
-------------------------------------------
삶에서 '간절'이 빠져나간 뒤
사내는 갑자기 늙기 시작하였다
'간절'이 빠져나간 뒤
몸 쉬 달아오르지 않는다
달아오르지 않으므로 절실하지 않고
절실하지 않으므로 지성을 다할 수 없다
여생을 나무토막처럼 살 수는 없는 일
사내는 '간절'을 찾아 나선다
------------------------------
W. 워드워즈가 말했다
무지개를 보면서 예순에도 그런 설레임이 없다면 차라리 죽는 게 낮다고
너는 말했다.
누군가의 천번째 사람이 되는 것이 나을 거라고
시처럼 산다는 것?
‘나도 몰라’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
만약 시인이 사전을 만들었다면
경주는 천년 전 기억의 원천으로
천년 전 그 때도 그런 것처럼
아득한 예전 그 때도 그랬다.
제부도와 대부도만큼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89 |
구나현의 구본형 선생님께 드리는 편지 ![]() | 재키제동 | 2014.04.14 | 3141 |
288 |
유수민의 구본형 아저씨게 드리는 편지 ![]() | 앨리스 | 2014.04.17 | 4082 |
287 | 세월호 | 이수 | 2014.05.09 | 2080 |
286 |
박지성 선수가 오늘 은퇴를 했네요 ![]() | 신웅 | 2014.05.14 | 3013 |
285 | 살다보면 | 이수 | 2014.07.04 | 2066 |
284 | [버스안 시 한편]이흔복시집 <나를 두고 내가 떠나간다> | 정야 | 2014.07.25 | 3102 |
283 | [버스안 시 한편]제부도 [1] | 정야 | 2014.07.27 | 2169 |
282 |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 | 햇빛처럼 | 2014.07.31 | 2062 |
281 | 꿈. [4] | 햇빛처럼 | 2014.08.02 | 2126 |
280 | [버스안 시 한편]비밀이 사랑을 낳는다 [3] | 정야 | 2014.08.06 | 2220 |
279 | [버스안 시 한편]바람의 집 [2] | 정야 | 2014.08.07 | 2727 |
278 | [버스안 시 한편]무지개 [2] | 정야 | 2014.08.08 | 2144 |
277 | [버스안 시 한편]만약 시인이 사전을 만들었다면 [3] | 정야 | 2014.08.09 | 2926 |
276 | 추억 [1] | 햇빛처럼 | 2014.08.09 | 2086 |
275 |
추억2 ![]() | 햇빛처럼 | 2014.08.09 | 2203 |
274 | [버스안 시 한편] 선천성 그리움 | 정야 | 2014.08.11 | 2363 |
273 | 안부인사. | 햇빛처럼 | 2014.08.11 | 2250 |
272 | [버스안 시 한편] 지상에 뜬 달 한줌 | 정야 | 2014.08.12 | 2458 |
» | [버스안 시 한편] 인연 [1] | 정야 | 2014.08.13 | 2432 |
270 | [버스안 시 한편] 천 명 중의 한 사람 | 정야 | 2014.08.14 | 25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