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야
- 조회 수 398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버팀목에 대하여
복효근
태풍에 쓰러진 나무를 고쳐 심고
각목으로 버팀목을 세웠습니다
산 나무가 죽은 나무에 기대어 섰습니다
그렇듯 얼마간 죽음에 빚진 채 삶은
싹이 트고 다시
잔뿌리를 내립니다
꽃을 피우고 꽃잎 몇 개
뿌려 주기도 하지만
버팀목은 이윽고 삭아 없어지고
큰바람 불어와도 나무는 눕지 않습니다
이제는
사라진 것이 나무를 버티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허위허위 길 가다가
만져 보면 죽은 아버지가 버팀목으로 만져지고
사라진 이웃들도 만져집니다
언젠가
누군가의 버팀목이 되기 위하여
나는 싹 틔우고 꽃피우며
살아가는지도 모릅니다
-----
누군가가 단식하고 있는 문재인님께 복효근 시인의 시집을 선물했다고 하기에 어디선가 본듯하여 뒤지니 이 시가 나오네. 지금의 상황에 매우 적합한 내용이다 여겨진다. 그 시집에도 용기에 용기 더하는 내용 가득하리라.
이른 봄, 한 뼘 됨직한 토마토, 고추 모종은 거세지 않은 비바람에도 잘 쓰러진다. 농부는 버팀목을 세워 고정시킨다. 버팀목에 비해어린 모종은 너무나 가냘퍼 안쓰러워 보일 정도다. 그러나 그런 걱정도 잠시, 얼마 후면 모종은 허리 깨까지 무성하게 자라 그렇게 커 보이고 든든하던 버팀목은 작은 나무꼬챙이가 되어 있다. 꼬마농부는 초록가지 사이로 꼬챙이가 된 버팀목을 발견하고 놀란 목소리로 변한 모양을 생중계 한다. 물론 버팀목의 고마움을 찬양하기보다 잘 자란 모종을 기특해한다. 스스로 자란 듯 보이지만 한때 곁을 지켜 준 버팀목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걸 생각하지 못한다.
나는 언제 누군가의 버팀목이 되었던 적이 있었던가? 생각나지 않는다. 다시 생각해봐도 기억나지 않는다.
아, 내 초라한 삶이여!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09 | [영원의 시 한편] 히말라야의 독수리들 [1] | 정야 | 2014.11.15 | 2763 |
3908 | [영원의 시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승을 만나라 | 정야 | 2014.11.13 | 2531 |
3907 | [영원의 시 한편] 꽃씨 | 정야 | 2014.11.12 | 2865 |
3906 | [영원의 시 한편] 그리움의 시 | 정야 | 2014.11.11 | 2964 |
3905 | [영원의 시 한편] 사람은 사랑한 만큼 산다 | 정야 | 2014.11.10 | 2815 |
3904 | [영원의 시 한편] 멀리 있어도 사랑이다 | 정야 | 2014.11.08 | 2567 |
3903 | [영원의 시 한편] 시간 | 정야 | 2014.11.07 | 2316 |
3902 | [영원의 시 한편] 보이지 않는 파동 | 정야 | 2014.11.06 | 2440 |
3901 | [영원의 시 한편] 환영사 | 정야 | 2014.11.05 | 2350 |
3900 | [영원의 시 한편] 추모집에 제題 함 | 정야 | 2014.11.04 | 2311 |
3899 | [영원의 시 한편] 내가 만난 사람은 모두 아름다웠다 | 정야 | 2014.11.03 | 3055 |
3898 | [영원의 시 한편] 충만한 힘 | 정야 | 2014.11.02 | 2143 |
3897 | [영원의 시 한편] 한 여자 한 남자 | 정야 | 2014.11.01 | 2458 |
3896 | [영원의 시 한편] 날아라 병아리 | 정야 | 2014.10.31 | 2158 |
3895 | [영원의 시 한편] 추일서정 秋日抒情 | 정야 | 2014.10.30 | 2445 |
3894 | [영원의 시 한편] 행복 | 정야 | 2014.10.28 | 2523 |
3893 | [영원의 시 한편] 새를 살려야 해 | 정야 | 2014.10.27 | 2355 |
3892 | [영원의 시 한편] 가을에게 | 정야 | 2014.10.25 | 2235 |
3891 | [영원의 시 한편] 어느 대나무의 고백 | 정야 | 2014.10.24 | 3426 |
3890 | [영원의 시 한편] 가을 | 정야 | 2014.10.23 | 25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