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야
- 조회 수 396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버팀목에 대하여
복효근
태풍에 쓰러진 나무를 고쳐 심고
각목으로 버팀목을 세웠습니다
산 나무가 죽은 나무에 기대어 섰습니다
그렇듯 얼마간 죽음에 빚진 채 삶은
싹이 트고 다시
잔뿌리를 내립니다
꽃을 피우고 꽃잎 몇 개
뿌려 주기도 하지만
버팀목은 이윽고 삭아 없어지고
큰바람 불어와도 나무는 눕지 않습니다
이제는
사라진 것이 나무를 버티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허위허위 길 가다가
만져 보면 죽은 아버지가 버팀목으로 만져지고
사라진 이웃들도 만져집니다
언젠가
누군가의 버팀목이 되기 위하여
나는 싹 틔우고 꽃피우며
살아가는지도 모릅니다
-----
누군가가 단식하고 있는 문재인님께 복효근 시인의 시집을 선물했다고 하기에 어디선가 본듯하여 뒤지니 이 시가 나오네. 지금의 상황에 매우 적합한 내용이다 여겨진다. 그 시집에도 용기에 용기 더하는 내용 가득하리라.
이른 봄, 한 뼘 됨직한 토마토, 고추 모종은 거세지 않은 비바람에도 잘 쓰러진다. 농부는 버팀목을 세워 고정시킨다. 버팀목에 비해어린 모종은 너무나 가냘퍼 안쓰러워 보일 정도다. 그러나 그런 걱정도 잠시, 얼마 후면 모종은 허리 깨까지 무성하게 자라 그렇게 커 보이고 든든하던 버팀목은 작은 나무꼬챙이가 되어 있다. 꼬마농부는 초록가지 사이로 꼬챙이가 된 버팀목을 발견하고 놀란 목소리로 변한 모양을 생중계 한다. 물론 버팀목의 고마움을 찬양하기보다 잘 자란 모종을 기특해한다. 스스로 자란 듯 보이지만 한때 곁을 지켜 준 버팀목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걸 생각하지 못한다.
나는 언제 누군가의 버팀목이 되었던 적이 있었던가? 생각나지 않는다. 다시 생각해봐도 기억나지 않는다.
아, 내 초라한 삶이여!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69 | [버스안 시 한편] 희망은 한 마리 새 | 정야 | 2014.09.20 | 2459 |
3868 | [버스안 시 한편] 별, 아직 끝나지 않은 기쁨 | 정야 | 2014.09.19 | 3801 |
3867 | [버스안 시 한편] 문득 [1] | 정야 | 2014.09.18 | 3067 |
3866 | [버스안 시 한편] 살다가 보면 | 정야 | 2014.09.18 | 3482 |
3865 | 이풍진세상에서 | 이수 | 2014.09.17 | 2155 |
3864 | [버스안 시 한편] 늙어 가는 아내에게 [1] | 정야 | 2014.09.16 | 3155 |
3863 | [버스안 시 한편] 한마음 | 정야 | 2014.09.15 | 2471 |
3862 | [버스안 시 한편]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 정야 | 2014.09.13 | 4923 |
3861 | [버스안 시 한편]사랑에 빠질수록 혼자가 되라 | 정야 | 2014.09.13 | 4092 |
3860 | [버스안 시 한편] 보름달 | 정야 | 2014.09.11 | 2464 |
3859 | [버스안 시 한편] 아버지의 그늘 [2] | 정야 | 2014.09.03 | 2544 |
3858 | [버스안 시 한편] 치자꽃 설화 | 정야 | 2014.09.02 | 2393 |
3857 | [버스안 시 한편] 우화의 강1 | 정야 | 2014.09.01 | 2460 |
3856 | [버스안 시 한편] 스미다 | 정야 | 2014.08.30 | 2507 |
3855 | [버스안 시 한편] 상처가 나를 가둔다 | 정야 | 2014.08.29 | 2314 |
» | [버스안 시 한편] 버팀목에 대하여 | 정야 | 2014.08.28 | 3967 |
3853 | [버스안 시 한편] 흰 바람벽이 있어 | 정야 | 2014.08.27 | 2490 |
3852 | [버스안 시 한편]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정야 | 2014.08.26 | 2553 |
3851 |
기계를 좋아해~ ![]() | 타오 한정화 | 2014.08.26 | 2359 |
3850 | [버스안 시 한편] 바람의 말 | 정야 | 2014.08.25 | 21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