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녕이~
  • 조회 수 186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4년 9월 8일 00시 56분 등록

대학생 시절, 늘 만나면 서로가 저지른 사건 사고들을 나열하기에 바쁜 친구들의 무리가 있었다. 나 또한 허당답게 친구들과 나눌 에피소드가 무궁무진했고, 그래서 우리는 금새 친해질 수 있었다. 우리는 만나기만 하면 서로의 엉뚱한 무용담을 자랑하느라 바빴고 때로는 배꼽 잡도록 함께 웃고 때로는 서로를 깊이 위로하며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었다. 몇 번의 공모전 도전도 같이 하며 함께 밤을 지새는 날들이 늘어갈수록 우리의 우정은 깊어져 같다. 졸업을 앞둔 어느 날 우리는 본격적으로 모임의 이름을 정하고,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마치 도원결의를 하는 것 마냥 평생 함께 하기를 맹세했었다. 우리가 왜 거기까지 갔었는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이순신 장군 동상을 보며 느꼈던 감정은 아직도 생생하다. 당시 얼마 전의 실연으로 인해 상처 받은 마음으로 괴로워하던 나는 왠지 그 날 도로 한 복판에서 늠름하게 우뚝 서 있는 그의 모습이 나에게 용기를 주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차들이 쌩쌩한, 그리고 차가운 바람이 코끝을 스치는 삭막한 도시 위에서, 그는 나에게 말하는 것 같았다. 내가 지켜줄테니 힘을 내라고 말이다.

 

난중일기를 읽으면서 그 때의 생각이 많이 났다. 왠지 용기가 나는 듯 했고, 기운이 났다. 이순신 장군은 어렸을 적 위인전을 읽으며 내가 기억하고 있던 것 보다 더욱더 인간적인 사람이었다. 그는 뛰어난 계책과 용맹함으로 왜군이 그 이름을 듣고 벌벌 떨 지경이었고 일부는 이순신을 숭배할 정도였다. 늘 전장의 앞 단에 서서 진두지휘 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았던 용장이었으며, 때로는 군졸들을 엄히 다스릴 줄도 아는 단호한 지휘관 이었다. 그러나 늦은 밤 잠자리에 들기 전 적었던 그의 기록들을 보면 그는 때로 눈물을 짓고, 잠을 설치며, 가슴을 치며 통탄해 한다. 또 점을 치면서 긍정적인 상황을 예상해보기도 한다. 몸이 아프다고 하소연 하기도 하며, 피곤한 날은 다음에 그 일을 쓰겠노라 미루기도 한다. 사실 그의 인생 자체도 순탄치가 않다. 늦은 나이에 무과에 급제 하였으나, 백의종군을 당하기도 하고, 중상 모략을 당하기 일 쑤며, 결국 성치 않은 몸으로 많은 지원을 받지도 못한 채 죽음을 각오하고 수 많은 해전들을 진두 지휘하게 된다. 알고 보면 약한 한 사람의 인간이었기에, 그는 고뇌를 잠재우고자 오랜 기간 일기를 썼을 것이다. 그리고 그 일기는 전장 중의 위태한 그의 마음을 다독여 주는 가장 좋은 친구였을 것이다. 안네의 일기가 그러했듯 말이다.

 

다시금 학생으로서 일상을 시작하며, 나는 내가 더 자유로워질 수 있을 줄 알았다. 조금 더 가벼운 마음으로 나를 알아나가는 것에, 내가 만들 수 있을 새로운 미래에 집중하고자 했다. 그러나 더 힘든 상황에서 투쟁해야 함을 알게 되었고, 기대 했던 바와는 전혀 다른 점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덕분에 다시 나를 남들과 비교했고 자꾸 초라해져만 갔으며 내가 왜 여기있을까 라는 부정적인 생각들 속에 갇혀 버렸다. 그래서 나는 더 난중일기에 위안을 받았는지도 모를 일이다. 다시 한 번 광화문의 시원한 바람이 생생하게 느껴지며 용기를 내라고 외치는 이순신 장군의 음성이 들리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몇 달 전 구매했던 새 일기장이 눈에 들어온다. 빠르게 지나는 시간을 붙잡고 싶어서, 또 예전의 추억들이 제대로 생각 나지 않는 걸 보며, 나는 기록의 중요성을 실감했고 일기를 쓰기로 결심했. 또 쓰다 보면 나의 침잠하는 감정을 조금은 끌어 올릴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기도 했다. 큰 기대와 포부를 안고 삼십 분여를 서성이며 성심껏 골랐던 일기장이지만, 들쳐보니 거의 일기를 쓰지 못했다. 펜을들고 써내려 가는 느낌이 낯설다는 핑계로 책장에 쳐 박아 둔 탓이리라. 어느덧 컴퓨터 자판에 익숙해서 그런가 하고 가끔은 블로그에 끄적 거려 보기도 했다. 그렇지만 나는 그날 한 일들을 쓰다가 갑자기 앞으로 해야할 일을 나열하며 고민하기에 바빴고, 과감 없이 나와의 대화를 하기 보다는 마치 파워 블로그가 되는 냥 누구에게 보여주기라도 할 듯이 글을 쓰고 있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아마 더 그래서 일기 쓰기에 재미를 붙이지 못했을 것이다. 그저 이순신 장군처럼 한 줄이라도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를 적어 내려가면 되는 것이었는데 말이다. 꼭 써야 할 목적이랄 것도 없이, 꼭 따라야 하는 형식도 없이 그저 내 마음대로 하면 되는 것이었는데 말이다. 나름의 전쟁을 겪고 있는 이 시점에서 나만의 난중일기를 시작해보려 한다. 우선 9 7, 오늘의 날씨, 마치 여름이 다시 온 듯 후끈 하다. 로 첫 포문을 열었다.

IP *.124.78.13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7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1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0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