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야
- 조회 수 221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부지깽이
- 서툰 것이 아름답다
이재무
일곱 살 때였던가
뒤꼍 울 안 가마솥 옆
부지깽이 하나로
엄닌 내게 쓰기를 가르치셨다
다리엔 몇 번이고 쥐가 올랐다
뒷산 밟아온 어둠이
갈참나무 밑동을 돌며
망설이다 지쳐
모자母子의 앉은키
훌쩍, 뛰어넘을 때까지
그친 적 없었다 우리들의 즐거운 놀이
몇 해를 두고
화단 채송화꽃 피었다 지고….
내 문득 그날의 서툰 글씨 그리워
그곳으로 내달려가면
내 앉은키와 나란했던
그 시절의 나무들
팔 벌려야 안을 수 있게 되었고
그 자리
반듯하게 그을수록 더욱 삐뚤어지던
그날의 글자들이
얼굴 환한 꽃으로 피어
웃고 있었다
--------
내 어린 시절 풍경과 너무나 닮아 반가운 시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부뚜막의 고운 그을음에 부지깽이로 낙서를 했었다. 주로 쓴 글씨는 내 이름이다. 한글로 썼다가 한자로도 쓰고 초가지붕 집도 자주 그렸다. 골세양바드레의 우리집은 내려앉아 풀이 무성한지 오래고 터만 남았다. 거기가 우리 집이었다는 걸 바로 알 수 있는 건 우리아버지 키만했던 은행나무가 하늘을 찌를 듯 자라 있기 때문이다. 갈 때마다 반가운 은행나무다.
이제는 부지깽이 하면 우리 스승님부터 생각나니 그래서 또 반가운 시다. 새벽에 부지깽이 스승님이 수업하는 꿈을 꾸었다. 스승님은 옆 모습으로 사뭇 진지하게 내가 아는 그에게 이야기하고 있었다. 좋은 사람보았으니 오늘은 명당복권집에나 들어가 볼까?
진짜로 그렇게 스승님과 수업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언제나 스승님의 부재는 서럽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09 | [영원의 시 한편] 히말라야의 독수리들 [1] | 정야 | 2014.11.15 | 2760 |
3908 | [영원의 시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승을 만나라 | 정야 | 2014.11.13 | 2521 |
3907 | [영원의 시 한편] 꽃씨 | 정야 | 2014.11.12 | 2860 |
3906 | [영원의 시 한편] 그리움의 시 | 정야 | 2014.11.11 | 2957 |
3905 | [영원의 시 한편] 사람은 사랑한 만큼 산다 | 정야 | 2014.11.10 | 2809 |
3904 | [영원의 시 한편] 멀리 있어도 사랑이다 | 정야 | 2014.11.08 | 2561 |
3903 | [영원의 시 한편] 시간 | 정야 | 2014.11.07 | 2308 |
3902 | [영원의 시 한편] 보이지 않는 파동 | 정야 | 2014.11.06 | 2435 |
3901 | [영원의 시 한편] 환영사 | 정야 | 2014.11.05 | 2342 |
3900 | [영원의 시 한편] 추모집에 제題 함 | 정야 | 2014.11.04 | 2302 |
3899 | [영원의 시 한편] 내가 만난 사람은 모두 아름다웠다 | 정야 | 2014.11.03 | 3049 |
3898 | [영원의 시 한편] 충만한 힘 | 정야 | 2014.11.02 | 2137 |
3897 | [영원의 시 한편] 한 여자 한 남자 | 정야 | 2014.11.01 | 2451 |
3896 | [영원의 시 한편] 날아라 병아리 | 정야 | 2014.10.31 | 2150 |
3895 | [영원의 시 한편] 추일서정 秋日抒情 | 정야 | 2014.10.30 | 2436 |
3894 | [영원의 시 한편] 행복 | 정야 | 2014.10.28 | 2518 |
3893 | [영원의 시 한편] 새를 살려야 해 | 정야 | 2014.10.27 | 2349 |
3892 | [영원의 시 한편] 가을에게 | 정야 | 2014.10.25 | 2230 |
3891 | [영원의 시 한편] 어느 대나무의 고백 | 정야 | 2014.10.24 | 3416 |
3890 | [영원의 시 한편] 가을 | 정야 | 2014.10.23 | 25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