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4년 11월 22일 14시 54분 등록

나이 들면서 단순한 삶을 더 사모하게 된다. 내가 단순한 삶을 사모하는 이유 역시 단순하다. 삶에 더 이상 끌려다니고 싶지 않아서다. 50년의 내 인생을 돌아보면 내가 삶을 이끈 것보다 삶이 나를 끌어온 분량이 훨씬 크다. 일을 잘 저지르고 앞에 나서길 좋아한 나였지만, 삶의 내막을 면밀히 뒤져보면 얼마나 수동적인 삶을 살았는지가 보인다. 꽤나 주도적인 삶을 살았다고 자부했는데 그건 착각이었다. 그래서 결론은 남은 인생은 좀 더 주도적으로 살자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삶이 나를 끌고 가지 못하도록 단순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 때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덕목이 '절제'라는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나는 가장 작지만 민감한 절제 목표를 세웠다. 그건 사고 싶은 것을 덜 사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가장 내 절제를 필요로 하는 '책'을 덜 사는 것이었다. 여러 가지 시행착오 끝에 지금은 책을 정말 이전에 비하면 덜 산다. 그러나 한 가지 절제를 일부러 하지 않는 아이템이 있는데 그건 노트다.


나는 노트'광'이다. 나에게 노트는 창조적 사치의 영역이다. 어떤 소비가 기분을 좋게 하고 삶의 질을 조금이라도 높인다면 그건 창조적 소비라 할 수 있다. 내게는 노트가 그렇다. 사실 여행을 많이 하는 나로서는 어디서든 괜찮은 노트와 만나게 된다. 공 들여 잘 만든 노트는 가격이 제법 나간다. 거기에 브랜드까지 알려진 것이면 사실 쉽게 살 수 있을 정도의 가격은 아니다. 그런 노트는 정말로 특별한 선물을 하고 싶을 때나 가끔 산다. 그러나 나는 디자인과 질감이 괜찮다면 언제나 예외 없이 노트 몇 권을 사들고 돌아온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온 오프라인 팬시 용품점이나 대형 문고에서 내가 가장 자주 들르는 곳이 문방구 코너다. 요즘은 종류와 사이즈, 가격, 질감, 그리고 용도 별로 실로 다양한 노트들이 출시되고 있다.


노트를 다 쓰지도 못하면서 '절제'하지 않고 사는 이유는 한 가지다. 나 자신이 쓰기 위해서고, 더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선물하기 위해서다. 누구를 만나러 갈 때 가볍고 부담없는 선물로 노트만한 게 없다. 더구나 쓰기의 효용을 누구보다 삶에서 오래 체험해온 나로서는 '쓰기'까지 상대에게 강권(?)할 수 있어서 노트 이상으로 유용한 게 없다. 나름의 안목으로 꼼꼼히 고른, 각기 특색있는 노트를 싫어할 사람이 있을까. 아직 나는 그런 사람을 만나본 적이 없다. 이번 스페인 여행에서도 아침마다 모닝페이지를 같이 한 친구들에게 프라도 미술관 기념품코너에서 구입한 명화 노트를 일일이 선물했고, 여행지에서 하나 둘 사모은 노트를 교회 셀 모임 식구들에게도 선물했다. 함께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여행한 분에게도 바르셀로나의 한 서점에서 산 플레임트리 노트를 선물했다. 그리고 이번에 우리 셋째 생일을 맞아서도 조금 특별한 컨셉의 노트를 선물했다. 아래는 아이에게 노트를 선물하면서 그 노트 속에 끼워준 편지의 내용이다. 여기 공개하는 이유는 내가 노트를 선물하는 이유를 조금 더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아서다.


여러분은 어떤 창조적 소비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가. 나에게 공개해주시라. 정말 듣고 싶다. 

 

행복 프로젝트, 한 문장, 5년 일기 (The Happiness Project One-Sentence Journal: A Five-Year Record Diary)

365일, 5년, 1,825개의 사건을 담을 수 있는 일기장이야. 손에 쏙 들어오는 아담한 사이즈라 좋고, 일기를 길게 써야하는 부담도 없으니 더 좋고. 엄마가 이 일기장을 뉴욕공립도서관 기념품 가게에서 발견했을 때 아, 하고 감탄했어. 이런 식의 일기도 있을 수 있구나. 잠들기 전에 날마다 하루를 마감하는 하나의 의식(ritual)으로 네가 이 일기장을 채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일기쓰는 네 모습을 상상하면서 이 일기장을 샀으니 잘 쓰길 바래. 그렇지만 이 일기를 어떻게 이용할지는 온전히 너의 자유야. 다만 네 생일에 이 일기를 너에게 선물할 수 있어서 기뻐. 긴 일기를 날마다 쓰라고 하는 건 일종의 압박일 수 있지. 글쓰는 걸 좋아하는 엄마에게도 일년 다이어리를 꾸준히 채우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니까. 그러니 이런 한 문장 일기는 아주 멋진 대안이라고 할 수 있지.


이 일기장은 같은 제목의 책(The Happiness Project)을 먼저 낸 그레첸 루빈(Gretchen Rubin)이 만든 거야. 아마 이 일기를 다 마칠 때쯤이면 네 안에서도 아이디어가 탄생하겠지. 그녀보다 더 창의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일기장 아이디어가.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계기도 별다른 게 없어. 어느 비오는 날 오후 시내버스를 타고 가는데 ‘하루는 이리 더디 가는데, 돌아보면 일 년은 왜 그리 빨리 가는거지’ 하는 의문이 들었다고 해. 하루라는 긴 시간을 잘 보내면 1년이란 시간이 그렇게 허망하게 흘러가버리지는 않겠지 하는 생각이 들었고, 돌아보니 진짜 자신에게 중요한 일에 대해서는 제대로 관심도 가져보지 않았다는 걸 알게 되었대. 그래서 시작한 게 ‘1년 행복 프로젝트’였고, 그 결과 삶이 많이 달라졌다고 해. 동명의 책까지 내고 이후 작가로 데뷔해 계속 책을 내고 있고.


일기장은 오늘 날짜를 펴서 거기부터 시작하면 돼. 앞으로 5년 동안 하루 한 가지씩 기억할 만한 순간이나 혹은 머리에 떠오르는 좋은 생각을 꾸준히 적는다고 생각해봐. 5년 후에는 네가 기록한 너만의 역사가 너만의 방식으로 완성되는 거잖아. 더구나 특정한 날짜를 열면 5년 동안 그 날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어떤 생각을 했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으니 얼마나 멋지니.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감탄하며 빠져들게 될거야. 일기장 제목대로 엄마는 네가 이 일기장과 더불어 네 삶의 ‘행복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좋겠어. 노트 매 페이지마다 행복프로젝트에 어울리는 인용문이 하나씩 소개되어 있어. 영어공부도 할 겸 번역문과 원문을 동시에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같은 곳에 날마다 올리는 것도 좋을 것 같아.


1월 1일의 인용문은 What you do every day matters more than what you do once in a while 이네. 너도 알겠지만 ‘날마다 무엇을 하느냐가 가끔 무엇을 하느냐 보다 중요하다’는 뜻이야. 인생을 잘 살려면 ‘날마다’의 힘을 경험해야 해. 어느 것 한 가지를 정하면 조금씩이라도 날마다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해. 이 일기장을 5년 동안 채우는 것 역시 그런 일 중의 하나가 되겠지.


사랑하는 딸의 22번째 생일을 축복하며 엄마가



5년 행복 프로젝트 2.jpg


5년 행복 프로젝트1.jpg

IP *.139.103.19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36 완벽주의와 이별하기 위한 노력 file 연지원 2014.11.17 2374
2135 인문학으로 맛보다, 와인, 치즈 빵 file [3] 알로하 2020.11.29 2375
2134 교통사고가 내게 준 선물 [4] 단경(旦京) 2014.01.10 2381
2133 오늘의 수확 file 한 명석 2014.08.06 2387
2132 65세에 내가 하고 싶은 일 차칸양(양재우) 2015.07.28 2388
2131 미래를 포기할 때 현재가 행복해진다 차칸양(양재우) 2015.02.17 2395
2130 제 생긴 대로 살게 되었다 해피맘CEO 2014.11.21 2397
2129 저것이 아무것도 아니라면 김용규 2015.01.29 2400
2128 출사표 [2] 해언 2014.02.01 2401
2127 탁월한 해석의 첫 걸음 연지원 2015.01.19 2404
2126 [월요편지 62] 나의 4번 째 습관 [2] 습관의 완성 2021.06.06 2405
2125 고향(故鄕)에 가시나요? [1] 書元 2014.09.27 2411
2124 당신은 어떤 삶을 살고 있느냐는 질문 1 김용규 2014.11.20 2422
2123 좋은책을 쓰려면 내삶부터 베스트셀러가 되어야 한다 [1] 한 명석 2015.01.28 2422
2122 그 삶은 언제 살아보려 하는가? 김용규 2014.10.02 2429
2121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3편 차칸양(양재우) 2016.05.10 2430
2120 22명의 사람들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당신도 같이 쓰지 않을래요 file 로이스(旦京) 2015.02.02 2434
2119 죽기 위해 숲으로 찾아온 청춘 김용규 2015.01.01 2435
2118 나의 원초적 경험 한 명석 2015.01.07 2438
» 나의 창조적 소비, 노트 file 로이스(旦京) 2014.11.22 2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