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종종
  • 조회 수 2161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14년 12월 22일 11시 55분 등록

결정적이고 장기적인 곰탕의 효용에 관하여

2014 12 22

강종희

 

4일간 집을 비운다. 남편은 4일간 자유부인이 되려는 마누라도 그렇고 아침부터 아이들 밥을 챙긴 후 회사에 가야 하는 일정이 못마땅한 눈치였지만, 말리지는 않았다. , 아침밥은 먹을 거 있어? 그럼 점심꺼리는 있어?를 끊임없이 되묻는 그의 태도에 나의 준비는 밥에 집중되어야 한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치밀하게까지는 아니어도 어떻게든 불만을 누그러뜨릴 한 방, 그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준비했다, 신토불이 한우 사골 곰탕!

 

출발 전날 도착하도록 ***마트에서 질 좋은 사골과 사태살을 주문했다. 그것마저 남편을 시켰다. 왜냐하면 남편은 대한민국 최대의 신토불이 유통업체인 ***마트를 계열사로 거느린 **의 본사에서 근무했던 지라, 좋은 농축산물을 역시 좋은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루트가 있다. 그러고 보면 남편의 전 직장 **은 참, 좋은 곳이다. 퇴사한 직원도 할인가로 질 좋은 우리 농축산물을 구입할 수 있으니. 일단 도착한 사골은 참으로 기골이 장대한 우리 한우의 그것이었던지 제일 큰 냄비를 가득 채우고도 모자라기에 높이가 내 무릎을 넘는 뚜껑 달린 거대 양동이를 꺼냈다. 고기와 뼈를 한차례 물에 헹군 뒤 반나절을 찬물에 담궈 두었다. 찬물에 핏기를 제대로 빼지 않으면 사골은 끓어오르며 온갖 불순물을 피와 함께 끓여 올리기 때문에 볼썽이 사납고 맛도 탁해진다. 빨래며 설거지며 아이들 이불 정리를 마치고 볼거리로 학교에 가지 않은 둘째랑 좀 놀아주다 하교한 큰 놈에게 간식 먹이고 시장에 다녀오고 저녁을 해먹이고 식탁을 정리하고 나니 어느새 밤 열한 시, 시간은 역시나 가차없는 놈이다.   

 

이제 투명한 붉은 빛으로 변한 양동이의 물을 쏟아내고 사골을 한번 부르르 끓인다. 그리고 애벌 삶아내기를 한 뒤 사골을 고아야 국물이 맑다는 엄마의 잔소리를 이번에는 잊지 않았다! 한번 끓여낸 뒤 그 물을 버리고 다시 찬물을 한 양동이 가득 부어 끓이기 시작한다. 처음엔 센 불로 시작한다. 그 센 불에 양동이 뚜껑이 들썩들썩, 와글와글 소리에 고양이 귀가 쫑긋거릴 때쯤 불을 중간불로 낮춘다. 새벽 한 시. 이제 사흘간 세 남자의 식탁을 채워줄 먹을만한 곰탕의 분량 확보까지는 시간과의 싸움이다. 그러나 이때 잠이 들면 정성 들여 우려낸 사골 국물이 죄다 증발되고 뼈 속까지 스며든 탄 맛에 땅을 치게 된다. 가장 약한 불로 낮추고 졸음을 참을 수 있을 데까지 참아본다고 했지만 더는 참을 수 없게 되었다. 알람을 맞춘다. 새벽 4시 반에는 한번 일어나 불을 보아야 한다. 나흘간의 자유인 놀이를 뒷받침해줄 곰국은, 새벽잠보다 소중하고 무엇보다 결정적인 요소다. 까무룩 잠이 들었다 깨니 알람이 울리기 직전. 이 정성으로 공부를 했으면 사법고시도 붙었겠다 궁시렁대며 불을 보고, 뽀얗게 우러났지만 아직도 양동이 4/5의 지점에서 3/5 정도밖에 졸아들지 않는 국물을 그냥 불 위에 그냥 둔다. 이제 양동이의 절반 높이로 줄어야 입 안에서 둥글게 맴돌다 목을 타고 묵직하게 넘어가는 든든한 사골국물을 맛볼 수 있을 것이므로.

 

이제 와서 잠이 들면 끝장. 절대 제 시간에 깰 리가 없음을 알기에 코끼리와 벼룩을 손에 든다. 몇 장 읽다 보니 눈꺼풀이 묵직해져 온다. 할 수 없이 세수를 하고 머리를 감고 추운 새벽 공기 가득한 베란다에서 빨래를 걷는다. 이제 아이들이 일어나기까지는 한 시간 남짓, 서둘러 서울 갈 짐을 챙기고 밥상을 본다. 김치에 김, 계란말이를 놓고 밥을 퍼 담은 후 양동이의 뚜껑을 연다. 화악, 얼굴로 올라오는 뜨거운 훈기에 진한 사골 내음이 덮쳐온다. 대파를 썰어 국 그릇에 담고 국을 퍼 올린다. 굵은 소금과 후추로 간한 국물을 한 그릇, 밥 한 술을 말았다. 오늘은 서울서 오전 일정이 있어 아이들이 일어나기 전, 집을 나서야 기차시간에 댈 수 있다. 부시럭대는 소리에 남편이 깼다. 국은 잘 됐어? 잘 됐지. 탕반의 민족인 우리, 밥과 국으로 하루를 마감하거나 시작해야 제대로 하루를 살았다 싶은 동이의 후예답게 나는 국 한 그릇에 새벽잠을 설친 고단함을 보상받는다. 국은 입에 델 만큼 뜨겁고, 밥은 국밥에 적당하게 고슬하다. 여기에 친정엄마가 보내준 김장김치와 총각김치를 곁들이면 한 끼가 아니라 세 끼도 내리 먹을 수 있는 든든한 식사가 된다.

 

남편에게 사골 국물의 보관 방법과 곁들여 먹을 사태 수육의 간 하는 법을 코치한 후 나는 짐을 싸들고 유유히 집을 빠져 나온다. 그는 이제 시야에서 멀어져 가는 아내의 뒷모습에 조용히 끓어오르는 사골양동이가 오버랩되며 이제부터 엄마 없는 집안에서 두 아들을 깨워 학교로 보내야 하는 사흘 간의 아침 전투가 시작됐음을 깨달을 것이다. 이제 뭔가 당한 듯한 느낌에 당혹할 남편을 뒤로 하고 최대한 후딱 아파트를 빠져 나와 굿럭!’을 날리며 부산역으로 향하는 나의 마음은 존재감 만빵인 사골 곰탕으로 인해 날아갈 듯 가벼웠다. 한 양동이로 나흘, 한 사흘 전부터 끓여서 두 양동이 정도 확보해두면 세 명이 며칠 간 먹을 수 있을까? 갑자기 곰탕 한 양동이에 남편두고 유럽여행도 간다는, 꽃꽂이 강좌에서 만난 오십 대의 초고수들이 떠오른다. 그렇다. 사흘을 끓여도 맹탕만 나오는 수입 사골과 달리 반나절만 끓여내도 국물도 뽀얗게 맛나는 신토불이 한우 사골, 그의 역할은 세탁기와 청소기 따위의 하드웨어적 인프라를 넘어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길을 가려는 주부에게 절대적이고도 장기적인 소프트웨어적 지지기반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역시,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이 글은 마감이 닥쳤으나 소재가 떠오르지 않는 절망적 상황에서 문득 가스렌지 위 부글대는 사골양동이가 눈에 들어왔다는 사실 때문이 아니라, (남편이 요새는 내 글을 읽지 않고 있다는 확신 하에 쓴... ^^;) 신토불이 우리축산물 한우사골에 대한 객관적이고 관찰적인 효용분석기...입니다... ^^

IP *.104.212.174

프로필 이미지
2014.12.22 14:59:59 *.196.54.42

사골곰탕 한 통이면 4일 외유가 그저 프리패스....^^

어찌 하겠는가? 아내 자랑하고 싶어 안달난 마르셀인데..

사골 때문이 아니고 종종이 이뻐서리 막 퍼 준 것이지요 ㅎㅎ

여튼 그 사골 함 먹고싶네...글 맛에 군침이 동하누마^^

프로필 이미지
2014.12.22 17:37:14 *.104.212.174

프리패스는 아니고 의무방어용 글러브 정도... 될까요? ^^;  집에 돌아왔더니 사골로 나흘 내리먹고 더 이상 사골은 싫다며 고개를 흔드는데, 그래도 담날 아침에 그걸로 만두국 끓여주니 또 잘 먹는 우리집 남자들 좀... 입맛으로 봐서 는... 쉬운 남자들인 듯 함다! 다행이지욤.  

프로필 이미지
2014.12.22 15:54:24 *.201.146.182

사골 국물을 낼 수 있는 아줌마였군요.

난 내 엄마만 가능한 신공인 줄 알았...가마솥에 이틀씩 잠안자고 고아주시는...ㅎㅎㅎ

아침에 우유맛 나는 사골곰탕에 밥 한 그릇 말아먹었더니 이글이 땡기나 보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12.22 17:40:17 *.104.212.174

사골국물, 어렵지 않아요~ 그냥 시간 들여 피 빼고 오래 오래 끓이기만 하면 맛나는 훌륭한 음식이죠. 하지만 어머니가 가마솥에 끓여주신 사골국물은 그 중에서도 특상급... ㅎㅎㅎ 또 다른세계가 아니겠습니까? ^^ 나중에 키울이랑 국밥이나 먹으러 오세요. 제가 범일동에 맛난 집 하나 봐뒀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4.12.22 22:59:21 *.70.52.168
우와~~~종종에게서 주부9단의 모습이 보이네. 곰탕을 다 끓이고 나보다 낫군. 졸음을 참아내며 끓인 곰탕과 맛바꾼 자유가 완전 꿀맛이었겠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2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7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2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1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