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5년 2월 16일 16시 14분 등록

2월오프수업후기_구달칼럼#45

 

이번 마지막 오프수업에는 기라성 같은 한명석, 문요한, 양경수 작가님들을 모시고 출간기획의 프레전테이션을 하고 조언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제목_자전거 여행의 황홀

부제_자전거 여행이 내게 준 선물

주제: 자전거 여행의 재미와 즐거움과 유익함

차별화 포인트: 하나, 개성 있다.  , 재미있다.

목차
서문 (자전거 여행이 준 선물)

1. 자전거 여행길에 오르기 까지

2. 자유
3

4신명과 재미
5
. 자연

6. 인생전환

7. 흐름

8.

9. 길 위에서 너는 이미 풍요로워졌나니

맺는 말 (자전거 여행을 권유함)

 

내 출간기획서의 뼈대는 상기와 같다. 무엇보다도 컨셉이 문제였다. 자전거 여행의 재미를 8개의 키워드를 가지고 에세이로 풀어 놓겠다는 내 생각에 대해, 초보저자가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에세이 쓰기가 가장 힘들다고 한선생님은 지적한다. 이번 책은 연습게임으로 삼고 두 번째 책 가족 캠핑카 여행이 책이 될 것 같다는 말씀은 그만큼 에세이가 어렵다는 방증이다. 에세이가 문학 장르에 들어가는 것만 보아도 알 것 같다. 어쨌던 나 같은 초보는 컨셉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 말이 일리가 있다. 눈에 명확하게 보이는 것을 가지고 글을 써도 책 한 권 분량이 쉽지 않을 텐데, 보이지 않은 형이상학적인 개념을 가지고 책쓰기를 한다는 것은 가히 언어도단이 될 수 있다. 우선 우중라이딩 같은 돋보이는 키워드를 가지고 코스별 라이딩을 하고 여행기를 쓰는 방식으로 글을 써가면서 컨셉을 찾아보자.

 

문선배는 책을 쓸 때 연두에 두어야 할 요소로 다음을 손꼽았다.

1) 쓰고 싶나?

2) 쓸 수 있나?

3) 읽힐 수 있나?

나의 책은 1)은 긍정이 신호를 보내지만 2) 3)은 잘 모르겠다. 그래서 일단 써 보는 것이 중요하다. 자기 나름의 글쓰기 방식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글쓰기 습관을 유지하는 것일 게다. 연구원 시작할 때부터 잘 다져온 새벽4시 글쓰기 습관이 어느 순간부터 흔들리기 시작했다. 새벽에 일어나도 읽기와 과제에 치중하다 보니 글쓰기에 등한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 글을 쓰고 있어야 작가라 할 수 있다. 글쓰기를 손에서 놓는 순간 그는 작가를 갈망하는 자는 될 수 있을지언정 작가는 아닌 것이다. 다시 그때의 붉은 첫 마음으로 돌아가서 글쓰기 습관을 불러와야 한다. 그래야 책쓰기가 꿈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다.

 

오프 수업은 마지막이라 하나 이제부터 고독한 책쓰기 장도에 올라야 한다. 책을 써야 졸업이라는 연구원 제도이니 실상 본격적인 공부는 지금부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행히 같은 길을 가는 데카상스 동지들이 있으니 힘이 될 것이다. 일 년간 심혈을 기울여 수고하신 교장샘을 비롯한 교육팀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여기까지 길 안내를 잘 해 주셨으니 이제는 홀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스승들의 은혜에 보답하는 길은 자기 책을 쓰는 것뿐일 것이다.

 

좋은 책은 좋은 삶에서 나온다고 했으니 내가 보다 멋진 삶, 가슴 뛰는 삶을 살아야 책도 세상의 빛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데카상스여 좋은 책 이전에 가슴 뛰는 삶을 사시길

 

IP *.196.54.42

프로필 이미지
2015.02.17 12:48:10 *.230.103.185

옙!  아마 초여름이었을 꺼에요. 

구달님 사무실에서 수업하던 장면이 지금도 떠올라요.


성실할 뿐만 아니라 멋과 풍류까지 곁들여 재미있게 연구원 과정 하시는 모습이

멀리서도 보기 좋았어요.


자전거여행의 황홀은 개론이고 기본전제잖아요,

여기서 한 걸음 더 들어가서

초보자들이 모르는 코스를 가 본다든지,

많은 사람들이 생각만 하는 것을 실행에 옮겼다든지... 해야  편집자의 눈을 사로잡을 수 있다는 제 말을

잘 받아들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쉰 살에 살던 지역을 떠나 올 때 후배 하나가

"이제 무슨 일을 더 겪겠어요?" 했는데

그 뒤로 진짜 인생이 열리고

갈수록 더 좋네요.


그럴 수 있었던 데는 당연히 연구소가 있고, 책쓰기가 있었지요.


자전거의 황홀을 통해, 살아있음의 지복을 누리시길 기원합니당!

프로필 이미지
2015.02.23 17:49:00 *.196.54.42

와우, 이젠 확실히 알겠네요. 왜 한샘이 그리 심한(?) 말씀을 하셨는지...

"자전거의 황홀을 통해, 살아있음의 지복을 누리시길" - 와~ 시인의 멘트에요, 감사^^


50이후 샘의 진짜인생이 더욱 날개를 달아 훨훨 하소서^^

프로필 이미지
2015.02.17 13:34:21 *.124.78.132

가슴뛰는 삶을 살아야만 좋은 책이 나온다는 사실을 뼈져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

멋드러진 삶의 행로로, 그리고 그 삶이 담긴 책으로 동기들에게 많이 배웠어요~~

인디언 이름 지음받으러 플라자호텔 함 놀러갈께요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5.02.23 18:24:21 *.223.26.177
언제든 환영^^ 레몬처럼~
프로필 이미지
2015.02.17 16:07:35 *.255.24.171

맞아요. 이제는 진짜 글 쓸 시간이 되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말 쓰고 싶은가?’에 대해 의문이 들 정도로 게으른 시간을 보냈더라구요.

이제 공식적인 과제도 없으니 스스로의 과제에 충실할 때….

이 과제에서 벗어나기는 힘들 것 같아요. 같이 파이팅해요.

프로필 이미지
2015.02.23 18:28:07 *.70.50.46
파이팅 참치!
그대의 파이팅은 나의 파이팅^^
프로필 이미지
2015.02.18 00:47:43 *.222.10.82

1년동안 늘 힘이 되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텃밭까지 와주셔서 같이 막걸리 먹던 지난 봄날이 생각납니다.

올해 그만 둘까 생각했었는데 텃밭도 계속해야 할까 봅니다.

5년동안 한일이니 이것도 안하면 하고 싶은 그런일이 되었네요.

봄에 쌈채소 잘 자라면 한박스 잘싸서 택배로 보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5.02.23 18:36:30 *.252.237.18
나도 그때 생각이 알알하네요^^
텃밭 가꾸는 희동일 보니 모든 일에 질서 정연한 그대 모습이 보이네요. 웨버 맡아서 그대가 정말 수고하셨소. 텃밭 하시면 날 좋은날 소풍 함 가야겠네^^
프로필 이미지
2015.02.19 16:22:51 *.109.162.52

자전거를 타며 온 몸으로 써내려가는 글.

왠지 묵직함이 느껴지면서 기대가 됩니다!!

지난 한 해 수고많으셨습니다.

이제 다시 연구원 2년차 새롭게 시작하시길~~^^


프로필 이미지
2015.02.23 18:38:44 *.252.237.18
고마와요 양선배님, 2년차가 진짜죠^^
진력하겠슴다.
프로필 이미지
2015.02.20 21:33:46 *.94.41.89

 

지금 글을 쓰고 있어야 작가라 할 수 있다. 글쓰기를 손에서 놓는 순간 그는 작가를 갈망하는 자는 될 수 있을지언정 작가는 아닌 것이다. 다시 그때의 붉은 첫 마음으로 돌아가서 글쓰기 습관을 불러와야 한다. 그래야 책쓰기가 꿈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다.

 

 

어느 순간 쓰기가 멈추어지는 것 같은 느낌인데, 그것을 구달님이 다시 깨워주셔서 넘 감사해요.

이제 다시 시작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5.02.23 18:40:14 *.252.237.18
그래요, 찰나 파이팅^^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