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은
- 조회 수 3435
- 댓글 수 5
- 추천 수 0
일필휘지.
방향을 아는 손길은 힘이 있고 명쾌합니다. '저 길을 뚫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렸을까? 처음 부터 방향 아는 이 없고, 뚫려 있는 길 없다. 바늘로 우물 파자' 선생님은 형태를 만들고, 순식간에 이야기가 탄생했습니다.
결과물은 컨디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기획에서 표현', '머리에서 손끝', '구상에서 결과물'이라는 길은 콘텐츠를 생성할수록 넓어집니다. 길이 좁아지면, 입지(立地) 또한 좁아집니다. 갈 곳 없고, 불러 주는 사람도 없습니다. 매너리즘에 빠져도 길은 좁아집니다. 좁은 길에서 기득권을 지키는 모습은 추합니다. 겸손하게 배우고, 부단히 연습합니다.
난생 처음 누드를 그렸습니다. 전날 부터 설레였지만, 현장에서는 그리기 바빴습니다.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버티는 모델이 프로답습니다. 그 긴장감이 전달되어, 바쁘게 펜을 움직입니다. 오랜만에 경험하는 몰입입니다. 내가 주의(attention)를 집중하면, 삶은 자존감을 줍니다. 마음이 사업의 시작입니다.
2시간 동안 생각보다 많은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바빴지만, 서두르지는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왜 그렇게 조급했을까? 콘텐츠 생산자에게 조급함은 자살행위입니다. 엘빈 토플러를 비롯 미래학자와 경제학자, 경영자들이 '속도'를 강조합니다. 표면적으로만 본다면, 숨 돌릴 틈도 없이 빛과 같은 속도로 움직여야 생존할 것 같은 뉘앙스입니다.
빠른 속도는 완벽한 시스템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시스템 없는 빠른 의도에는 좌절만 있습니다. 정교함과 시간은 비례관계입니다. 정교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들어갑니다. 정교한 시스템과 시간은 반비례 관계입니다. 시스템이 정교할 수록 결과물이 나오는 시간은 줄어듭니다. 전문가는 빠릅니다. 일을 던져주면, '무엇을' '어떻게'라는 길이 순식간에 트입니다.
슈퍼마켓은 가격이 싸지만, 계산을 할 때 줄을 서야 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500원 짜리 아이스크림을 사기 위해서 5분 가까이 기다린다면 짜증 납니다. 아직 실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RFID기술을 이용한다면 카운터도 필요없고, 고객은 계산을 하기 위해 기다리지 않아도 됩니다. 각 물건에 RFID 칩이 내장되어, 고객은 물건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오기만 하면 됩니다. 위성으로 위치를 파악하고, 고객의 통장에서 자동으로 돈이 빠져 나갑니다. 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 겁니다. 하지만, 소비자가 시간적으로 누리는 혜택은 큽니다.
속도의 변화는 삶의 패러다임 변화라고 할 정도로 큰 변화입니다. 남들이 빨리 가길래, 덩달아 숨 가빴습니다. 그렇게 살아온 지금, 내세울 만한 '거시기(시스템)'가 없습니다. '빨리 끝내버리겠다'는 강박관념만 없어도 삶의 메모리가 늘어납니다. 그 주위(attention)를 모아서 기초에 기초를 다듬습니다. 그 기초가 무엇인지 모르지만, 일상에 더 정성을 쏟는 것이 제가 할 수 있는 일입니다.
미래를 걱정할 것이 아니라, 현재에 정성을 다 합니다.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해서 로드맵을 짜겠다는 것은 모순입니다. 강점은 행하지 않으면 드러나지 않고, 길은 시시각각 변합니다. 희망적인 사실입니다. 행하기 보다, 궁리만 하고, 도전하기 보다 성공 사례를 먼저 찾는 것이 인지상정이기 때문입니다.
기획하지 않고, 실행 합니다. 결과물이 더 큰 결과물을 위한 기획입니다. 길은 야금 야금 넓어집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6 | ' 하고싶은...' ' 하고 있는...' [6] | 백산 | 2008.12.13 | 2636 |
415 | 변하고 싶다. [3] | 초심자 | 2008.12.11 | 3340 |
414 |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저자소개 [2] | 이기찬 | 2008.12.11 | 2892 |
413 | 삶의 목적 [5] | 맑은 | 2008.12.11 | 2930 |
412 | 철학이 있는... [2] | 백산 | 2008.12.11 | 2722 |
411 | 우울의 시대에 필요한 것은? [2] | 맑은 | 2008.12.09 | 2737 |
410 | 문제에 몰입하다 [5] | 맑은 | 2008.12.08 | 2764 |
409 | 1월에 시작한 댄스를 마치며, [2] | 맑은 | 2008.12.04 | 2755 |
408 | 변화의 시작과 기준 | 은도끼 | 2008.12.01 | 2826 |
407 | 구시대적 불도저근성을 닮으라는 대통령 [1] | 이기찬 | 2008.12.01 | 2860 |
406 | 자존심 [7] | 맑은 | 2008.12.01 | 2893 |
405 | 베바속 캐릭터들에게 띄우는 편지 | 이기찬 | 2008.11.25 | 3975 |
» |
누드를 그리다. ![]() | 맑은 | 2008.11.25 | 3435 |
403 | 일상 생각 [1] | 은도끼 | 2008.11.21 | 2728 |
402 | 그림을 그리다. [3] | 맑은 | 2008.11.21 | 3122 |
401 | 생소한 직업 '재능세공사' 사용후기 (5) | 이기찬 | 2008.11.19 | 2694 |
400 |
미쳤어, 미쳤어~ (미침에 대한 고찰까지야...흐..) ![]() | 미친양 | 2008.11.19 | 4473 |
399 | 추운밤 단상 [1] | 맑은 | 2008.11.19 | 2917 |
398 | 현실이라는 괴물과 맞짱뜨는 법 | 이기찬 | 2008.11.18 | 3041 |
397 | 변화의 역설적 이론 [3] | 백산 | 2008.11.17 | 9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