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나의

일상에서

  • 한명석
  • 조회 수 2651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0년 2월 3일 18시 46분 등록

앵무새가 말을 배울 때 평상적인 말보다 욕을 먼저 배운다고 하네요. 사람들이 욕이나 저주에 쏟아 붓는 엄청난 에너지를 앵무새가 감지한다는 얘기일 텐데요. 한낱 미물이 그럴진대 우리가  글을 쓴 사람이 어떤 마음으로 썼는지 느낄 수 있는 것은 당연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저는, ‘내가 가장 하고 싶은 바로 그 말’을 글로 쓰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기쁨과 슬픔, 희망과 좌절, 도약과 망설임, 생의 절정과 나락, 향유와 빈곤, 도취와 권태... 그 무엇이 되었든 요즘 나를 점령하고 있고, 내가 빠져있는 ‘그것’에 대해 쓸 때, 나의 모든 것이 글에 실릴 것이니까요.  많은 사람들이 이것 때문에 글쓰기를 힘들어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고 싶은 말은 따로 있는데 차마 그 말을 하지 못하는 거지요. 이렇게 쓰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자기검열 속에 이리저리 말을 돌리다보니, 글을 쓰지 못하거나 무난하긴 해도 새로울 것이 없는 글이 나오는 것은 아닐지요. 


경험에 의하면 나에게 그렇게 오래도록 신경 쓰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내가 내 생각에 골몰해 있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도 자기 생각에 몰두해 있을 뿐인 거지요. 그러니 솔직하게 자신을 드러내자, 글이라는 것은 언제나 ‘나’에 대해 쓰는 것인 만큼 글쓴이가 오롯이 드러난 글이 좋은 글이다, 문법적으로 올바르거나 미사여구로 포장되어 매끄러운 글, 어려운 전문용어로 치장한 글이 아니라, 글 쓴 사람이 살아있는 글이 좋은 글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나탈리 골드버그는 솔직함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강박증을 이용하라고까지 말합니다.  작가란 결국 자신의 강박관념에 대해 쓰게 되어 있다. 당신을 가장 괴롭히는 강박증에는 힘이 있다. 당신이 글을 쓸 때마다 언제나 같은 곳으로 돌아가게 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바로 이 강박증의 변두리에서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들을 창조해낼 수도 있다.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에서-


자신을 억압하고 있는 것들에 대해 쓰고 났을 때의 해방감을 맛보면 오래도록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엑스터시를 조금 알 것 같기도 합니다.^^

                                  글쓰기를통한삶의혁명.jpg 

IP *.209.239.32

프로필 이미지
2010.02.04 04:22:14 *.106.7.10
'앵무새 이야기'  곰곰히 되씹어봅니다...
지난번 자기검열에 대해 저에게 말씀해 주신 것이 이번에 개인사 쓰기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려요^^
저도 빨리 그 엑스터시를 맛보고 싶어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02.04 08:54:06 *.251.229.87
도움이 되었다니 제가 더 고맙네요.
선님은 이미 그 엑스터시의 맛을 알고 있습니다.
글을 사이트에 올릴 때의 설레임,
누군가 내 글의 의도를 정확하게 읽어주고 반응해 주었을 때의 희열과
같은 것일 테니까요.^^
프로필 이미지
동건친구
2010.02.04 07:40:05 *.120.80.243
이제와서 수줍게 고백하자면 말입니다.
매번 명석님의 글을 읽을 때마다, 허걱 놀랍니다. 생각과 기질이 일치하는 것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거든요.
'나는 무엇을 잘 할 수 있는가'에서 명석님 편을 읽을 때도 그랬었죠.
오늘 이 글은, 오늘 제가 눈떠서 출근하기 전까지 생각했던 것과 정확히 일치하네요. ^^.
그래서 작년 송년 모임을 참석할 때 명석님이 어떤 사람인가 굉장히 궁금했었고, 그 날 명석님을 오랫동안 바라보았답니다. 명석님은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인기가 매우 좋으셔서 제가 대화를 나눌 시간은 없었지만 말이죠.  ^^;;
그래도 이렇게 생각이 일치하는 글을 읽을 때마다 앞으로 어떤 연으로든 만나게 될 거라는 믿음이 생기는 건, 제 오바일까요?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02.04 09:01:51 *.251.229.87
동건친구님, 저와 언어와 기질이 많이 비슷하신가 보네요. 반갑습니다.^^
송년모임에서는 모인 분들과 담소를 나누는 대신
혼자 너무 뛰어논 것이 두고두고 뻘쭘했는데,
님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보였군요.
그 날은 특수상황이기도 했구요.

그럼요, 이렇게 소통이 시작된 것이 이미 만난 것 아니겠어요?
제게는 직접 대면과 글로 만나는 것의 비중이 거의 같답니다.
많이 바쁘시겠지만 님의 글도 읽고 싶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6 가까운 사람을 칭찬하기 그리고 가까운 사람에게 칭찬받기. file 햇빛처럼 2008.10.24 3513
615 베토벤 바이러스, 훌륭한 선생 vs 위대한 스승 [1] 이기찬 2008.10.24 3756
614 그림공부를 시작하며 [2] 햇빛처럼 2008.10.24 2913
613 창조적 부적응자들의 천국 - 블로그 이기찬 2008.10.27 2838
612 누구나 댓글의 황제가 될 수 있다 [1] 이기찬 2008.10.28 3227
611 [잡담]죽음의 풍광 그리고 삶에 대하여. 햇빛처럼 2008.10.29 2758
610 재능세공사가 만난 자기다움 실천가 (2) - 아름다운 길 연... 이기찬 2008.10.29 2711
609 베토벤 바이러스, 불타는 갑판위에 선 강마에 이기찬 2008.10.30 4597
608 강점과 강점을 연결하다. file [6] 맑은 2008.10.31 3594
607 베토벤 바이러스, 인생의 멘토로 손색없다 [2] 이기찬 2008.11.01 3577
606 1월에 시작한 댄스 맑은 2008.11.06 2450
605 베토벤 바이러스, 대선율을 찾아가는 사람들 이기찬 2008.11.06 3737
604 68세 목사님이 빨간양복을 입는 이유 이기찬 2008.11.09 3713
603 '명령' 재능의 화신 강마에 따라잡기 이기찬 2008.11.11 3044
602 상처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9] 맑은 2008.11.13 3428
601 오늘 처음으로 모닝페이지를 쓰다 [3] 송대광 2008.11.14 2975
600 변화의 역설적 이론 [3] 백산 2008.11.17 8918
599 현실이라는 괴물과 맞짱뜨는 법 이기찬 2008.11.18 2814
598 추운밤 단상 [1] 맑은 2008.11.19 2725
597 미쳤어, 미쳤어~ (미침에 대한 고찰까지야...흐..) file [2] 미친양 2008.11.19 4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