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나의

일상에서

  • 한명석
  • 조회 수 2402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0년 2월 9일 23시 53분 등록
 

김연아 선수의 연기력은 정말 놀랍지요.  수줍은가 하면 황홀경에 빠진 모습, 때로 도발에 이르기까지 자신 있게 감정을 표현하는 그녀를 보면 저절로 감탄이 나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어린 시절의 김연아는 아주 내향적이었다고 하네요. 공연을 할 때 웃느라고 웃었는데도, 좀 웃으라는 소리를 숱하게 들었다고 합니다. 그런 소리를 듣고 다시 실황을 보면 정말 표정이 굳어있었다구요.


그런 김연아의 연기력을 획기적으로 바꿔놓은 데에는 안무가와 코치의 힘이 컸던 것 같습니다. 자료화면을 보다가 안무가인 데이비드 윌슨의 말에 깜짝 놀랐습니다.


“훈련을 끔찍하다고 생각하면 성취감이 적어서 오래 가지 못합니다. 큰 성취를 이루려면 즐거워야 해요. 처음 연아를 만났을 때,  훈련보다도 연아를 웃기는 데 집중했습니다.”


김연아를 지도하는 윌슨의 표정과 동작은 거의 신들린 사람처럼 과장되어 있었습니다. 여기에 발맞추어 브라이언 오서 코치역시, 표현하는 데 부끄러움을 없애기 위해 주력했다구요. 이런 드림팀과의 훈련을 통해 오늘날 김연아의 명품연기가 탄생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글쓰기가 두렵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저 내 식대로 꾸려나가면 되는 블로그에서도 망설여진다거나, 글을 써 보면 참 좋겠다 싶은데도 시작하는데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봅니다. 이들에게 어떤 말을 해 줄까 곰곰 생각해 보았습니다. 두 가지가 떠올랐습니다.


첫째, 일기나 모닝페이지, 부치지 않을 편지 등을 쓰면서, 자기를 표현했을 때의 즐거움을 맛보라는 것입니다. 하고 싶은 말을 다 토해냈을 때의 쾌감과, ‘어! 내가 어떻게 이런 멋진 표현을 했지?’ 하는 경이로움을 맛본다면 글쓰기가 점점 즐거워질 것입니다.


둘째, 자기표현 수위가 높으면서 만족하게 사는 사람들을 접해보자는 것입니다. 주위에서 직접 만날 수 없다면, 글을 통해 찾아보는 것도 좋겠지요. 내가 신뢰할 만한 사람 중에서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냄으로써 기꺼이 행복하고, 나날이 성장해가는 사람을 접한다면, 나의 표현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적극적으로 나의 드림팀을 찾는 것이지요.


무슨 일이든 두려움보다 즐거움이 커야 오래 갈 수 있습니다. 김연아가 스케이팅에서 만족감을 못 느꼈다면 13년간의 훈련을 거쳐 세계 정상에 우뚝 설 수 있었을까요? 오서코치가 지은 책 제목처럼 ‘한 번의 비상을 위한 천 번의 점프’를 할 수 있었을까요? 만일 글쓰기나 그림이 즐겁지 않다면 우선 그 이유를 찾아서 수정해 보기 바랍니다. 저는 ‘천재란 자기가 하는 일이 좋아서 오랜 세월 몰두한 사람’이라는 말을 믿습니다.

IP *.209.239.32

프로필 이미지
동건친구
2010.02.10 05:47:31 *.180.96.4
제 생각에도
"남이 알아주던 말던 스스로 느끼는 자아도취적 즐거움"이란 게 있어야 글이던 뭐든 몰입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 블로그에 방문하신 흔적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남이 읽어주면 또 한 번 즐겁죠. ㅋㅋ
프로필 이미지
동건친구
2010.02.10 22:56:14 *.180.96.4
아, 제 닉네임이 말입니다.
말하자면 "간절히 원하는 꿈은 이뤄진다"..는 의미입니다.
저희 꿈벗 동기(23기)들은 다들 아는 의미인데요. 왜냐면 10대 풍광에 그 이유가 있거든요. ㅋㅋ
하여간 여기서 밝히긴 좀 거시기 하여... 여기까지만요. 헤헤..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02.10 09:38:46 *.209.239.32
저는 한동안 제가 너무 '자기중심적'인 것 같아서 민망했는데요.
동건친구님이-그러고보니 닉네임이 좀 특이하네요, 무슨 뜻일지요?
말씀하신 대로 꼭 필요한 영역이더라구요.
바로 그것이, 아이들이 모두 시인인 이유이기도 하구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6 가까운 사람을 칭찬하기 그리고 가까운 사람에게 칭찬받기. file 햇빛처럼 2008.10.24 3513
615 베토벤 바이러스, 훌륭한 선생 vs 위대한 스승 [1] 이기찬 2008.10.24 3762
614 그림공부를 시작하며 [2] 햇빛처럼 2008.10.24 2913
613 창조적 부적응자들의 천국 - 블로그 이기찬 2008.10.27 2838
612 누구나 댓글의 황제가 될 수 있다 [1] 이기찬 2008.10.28 3227
611 [잡담]죽음의 풍광 그리고 삶에 대하여. 햇빛처럼 2008.10.29 2759
610 재능세공사가 만난 자기다움 실천가 (2) - 아름다운 길 연... 이기찬 2008.10.29 2711
609 베토벤 바이러스, 불타는 갑판위에 선 강마에 이기찬 2008.10.30 4597
608 강점과 강점을 연결하다. file [6] 맑은 2008.10.31 3595
607 베토벤 바이러스, 인생의 멘토로 손색없다 [2] 이기찬 2008.11.01 3578
606 1월에 시작한 댄스 맑은 2008.11.06 2450
605 베토벤 바이러스, 대선율을 찾아가는 사람들 이기찬 2008.11.06 3737
604 68세 목사님이 빨간양복을 입는 이유 이기찬 2008.11.09 3713
603 '명령' 재능의 화신 강마에 따라잡기 이기찬 2008.11.11 3044
602 상처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9] 맑은 2008.11.13 3429
601 오늘 처음으로 모닝페이지를 쓰다 [3] 송대광 2008.11.14 2975
600 변화의 역설적 이론 [3] 백산 2008.11.17 8919
599 현실이라는 괴물과 맞짱뜨는 법 이기찬 2008.11.18 2815
598 추운밤 단상 [1] 맑은 2008.11.19 2725
597 미쳤어, 미쳤어~ (미침에 대한 고찰까지야...흐..) file [2] 미친양 2008.11.19 4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