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녕이~
  • 조회 수 200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5년 3월 27일 08시 05분 등록

솔직히 졸업여행까지 숙제가 있다는 공지를 보고 ‘제발 졸업여행이라도 마음 편하게 가게 해주세용!’ 이라는 투정이 절로 튀어나왔다. 이전보다는 많이 나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오프모임 과제에 큰 부담감이 있는 나에게는 당연한 반응이었을지 모른다. 사실 내게는 특히 연구원 과정이 쉽지 않은 날들이었다. 시작 전부터 각오는 단단히 했지만, 항상 욕심 보다 질 낮은 결과물과, 마음처럼 확보되지 않는 넉넉한 시간에 대한 심적인 압박이 컸던 것 같다. 그래서 지난 일년여의 여정을 돌아보며 가장 아쉽게 느껴지는 것은 바로 이 시간을 마냥 즐기고 또 몰입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구원을 통해 분명 나는 긍정적으로 변화했음을 느낀다.


우선 재충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마음의 소리를 듣고 과감히 휴직을 실행한 것이 그 첫 번째 이다. 지난 몇년 간, 계속해서 바쁜 일상에 매몰되어, 나만의 길을 찾고 싶다는 생각을 실천하지 못했다. 그리고는 나와 달리 결단을 내리고 새로운 길로 향한 친구, 동료들을 보며 자책을 하는 일이 비일비재 했다. 하지만, 신화를 읽고, 또 모험에 돌입하는 영웅의 이야기에 흠뻑 취한 나는, 소심한 평소의 나로서는 하기 힘든 결정을 내렸고, 마침 하늘에서도 의도한 때가 맞았는지, 나중에는 내가 컨트롤 할 수 없을 정도로 순식간에 진행되었다. 그 때를 돌이켜보면 무슨 용기가 나서 그렇게 무모한 결정을 실행했는지 모르겠다. 아마 데카상스들의 더욱더 자유롭고 나에 가까운 삶을 동경했는지도 모르겠다. 이 과정을 통해 나는 의외로 과감한 행동주의자이구나 라는 것을 깨닫기도 했고, 어떤 일이든 모험을 해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알기도 했다. 또 일단 어떤 길이든 선택하면 그 뒤에 또 다른 세상들이 연이어 펼쳐지기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두번째로는 나 자신에 대해서 조금은 잘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아직 나의 꿈과 미래는 보이지 않지만, 적어도 연구원 과정을 통해 나는 나에 대해서 이해하는 부분이 많아졌다. 또한 마냥 미운 부분만 보이던 이전과 달리 이제는 나와 조금 더 친해진 것 같다. 그렇게 내 삶에 대해서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자 이전보다 더 많이 더 많이 웃고 또 더 많이 자유로워 진 것을 느낀다. 가까이에 있는 남편도 그렇고, 오랫만에 본 친구들 모두 예전과 달리 더욱 밝아져 보인다는 말을 하는 걸 보면, 정말 그렇게 변한 것 같기도 하다. 앞으로 계속해서 나만의 소명을 찾는 일에 더 매진해야 하겠지만, 어쨋든 현재로서 나를 더 좋아하게 된 것 자체가 나에게는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장례식의 과정을 통해 내 인생에서 정말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던 것도 큰 소득이라고 하겠다. 여전히 나는 과업 중심의 성향이 강하지만, 그래도 내 인생의 중요한 것들을 놓치며 살지 않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세번째로는 더욱 넓어진 시야를 갖게 되고, 내가 잘못 알고 있던 것들에 대해 바로잡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나는 유난히 행복을 추구하고 또 완벽을 추구하던 사람이었다. 그래서 늘 '나는 왜 이렇게 안 행복하지?'라며 스스로를 닥달하는 일이 많았다. 그런 질문을 던지다 보면 행복한 상황도 불행해지기 십상이었다. 하지만 인생은 고통 그 자체라는 것, 그래서 행복은 작은 일상에서 우리가 마음을 열고 느껴야 한다는 것,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나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 등을 깨닫게 되면서 나는 더 행복해지고 더 완벽해져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물론 여전히 내가 잘 못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청하거나, 그것을 마음 편하게 임하는 부분은 쉽지 않지만, 그래도 예전보다는 마음이 많이 편해졌음을 느낀다.


마지막으로는 여전히 잘 되고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그저 열심히 하고 즐기는 법을 나는 특히 데카상스 동기들로 부터 배운 것 같다. 경쟁적이고 완벽주의자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힘들어 보이는 상황은 회피하는 성향이 강한 하나는, 늘 우리 연구원 모임을 소풍과 축제의 장으로 만들어버리는 열정적인 데카상스들의 모습을 조금은 닮게 된 것 같다. 그래서 학교 생활에서도 늘상 여러가지 시험에 드는 일이 많지만,  그저 도전하고 또 회피하려 하지 않는 내가 되었다.

IP *.124.78.13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0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5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