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98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5년 4월 16일 09시 17분 등록

 

열흘 만에 해남을 다시 찾았습니다. 갈 때 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해남은 정말 특별한 곳입니다. 도처에 역사가 살아 있고 사람다운 삶의 향기를 만날 수 있는 곳이 해남입니다. 그곳은 행정단위가 군인데 고등학교가 세 개나 있습니다. 도서관도 무려 두 곳이나 있습니다. 원래는 고등학교가 다섯 개나 있었는데 최근 통폐합을 거쳐 세 개로 줄었다고 합니다. 도서관은 군립이 하나, 교육청 산하의 공공도서관이 하나입니다. (같은 군 단위인 우리 동네에는 도서관이 겨우 하나 있고 그 속사정도 부실한데) 이번 방문은 공공도서관의 초대였고 열흘 전의 방문은 한 고등학교의 초대였습니다.

 

고등학생을 위한 인문학 강연에 초대받은 그 학교는 학생 수가 무려 8백 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강연에 참석한 학생들은 모두 자발적으로 수강을 신청했다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곳 대강당을 채운 학생 수가 무려 180여 명에 이르렀습니다. 저녁 7시부터 밤 10시까지 제법 긴 시간을 강연했는데 참석한 학생 중에 이따금 조는 학생은 겨우 다섯 명도 되지 않았고 모든 학생들은 시종 진지한 태도로 함께 호흡했습니다. 강연이 끝나고 기숙사와 집으로 돌아가야 하는 시간인데도 여러 명의 학생들이 남아 자신들이 읽은 책에 저자의 사인을 받겠다고 줄을 섰고 또 다른 몇 명의 학생들은 질문을 던지기 위해 남아 있었습니다. 이런 강연회를 매달 연다고 하니 그 역시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나는 그날 강연에서 일부 시간을 할애해 참된 공부란 무엇인가에 대한 나의 견해를 이야기했습니다. ‘참된 공부란 참된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이다. 자연을 보라! 장미가 비싸게 팔리는 꽃이라고 해서 장미가 되려는 냉이가 있던가? 수선화가 되기 위해 애쓰는 구절초가 있던가? 하늘은 모든 생명에게 제 본연의 모습을 고이 접어 담고 이 세상에 오도록 했다. 좋은 삶이란 그 접혀 담겨 있는 자신을 활짝 피어내는 것이고, 훌륭한 삶이란 그 삶으로 자신을 누리고 또한 타자를 일으켜 세우는 삶이다. 공부는 그 좋은 삶, 훌륭한 삶에 이르기 위해 하는 모든 학과 습이다. 그 방법에는 책 안에서 찾아보는 작업과 일상에서 마주하는 모든 사태에서 찾아보는 작업이 병행 포함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스스로 묻고 사유하고 성찰하는 노력이 중심에 있어야 한다. 우리는 자주 물어야 한다. 이것이 나를 향해 가고 있는 길 맞는가? 하늘이 고이 접어 내게 주신 그 모습을 향하고 있는 것이 맞는가? 나는 지금 그 위대한 포텐셜을 잘 펼쳐가고 있는가? 이 시대의 많은 사람들은 이 질문 없이 공부를 해왔다. 그래서 소위 공부를 잘한 사람들이 이상한 모습으로 뉴스에 등장하는 일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긴 이야기를 모두 포괄할 수는 없지만, 나는 학생들이 참된 자신에 이르고 그것으로 자신을 꽃피우고 또 그 꽃으로 벌과 나비와 나방과 새와 다른 생명들을 일으켜 세우듯 타자를 일으켜 세우는 삶을 위해 공부하자고 역설했습니다. 강연이 끝나고 남았던 학생 중 한 명이 맑은 눈빛으로 나를 바라보며 버거운 질문 하나를 던졌습니다. “선생님, 저는 언제부터인가 선생님 말씀하신 것처럼 수시로 이게 나 맞을까?’ 라는 질문을 던져왔어요. 일기를 쓰는 일로 주로 해왔지요. 반성과 성찰이 그때마다 참 좋더라고요. 그런데 종종 회의감이 들어요. 예컨대 고등학생이 된 지금 생각해 보면 중 2때 찾아낸 참된 나라는 모습이 진짜 참된 나였나 하는 생각이 드는 거죠. 생각해 보면 앞으로도 이런 회의가 반복될 텐데, 그렇다면 진짜 나는 누구인가요?”

질문을 하는 표정이 어린 아이처럼 맑았습니다. 하지만 질문의 수준은 참으로 놀라웠습니다. 나는 이 버거운 질문에 대답을 해야 했습니다. 그대가 나라면 그대는 무엇이라 답해 주셨을까요? 다음 주에는 소녀에게 내가 건넨 대답과 함께 해남의 또 다른 하룻밤 이야기를 담아보겠습니다.

 

    


 

-----------------

오늘은 분통한 날입니다. 이 눈부신 봄날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의 곁을 차마 인사도 남기지 못하고 떠나야 했던 날입니다. 며칠 전 해남에는 팽목을 향해 도보로 순례의 길을 떠나온 일군의 사람들이 오래된 느티나무 아래서 잠시 몸을 쉬고 있었습니다. 그들과 함께 걷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공부를 잘한 사람들이 만든 이 끔찍한, 부조리한 질서가 분통함을 대신하여 침몰하고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소중한 이들이 하루 빨리 가족의 곁으로 돌아올 수 있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IP *.20.202.23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56 [용기충전소] 내가 잘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1] 김글리 2021.09.03 1991
2255 열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사보투어 [2] 재키제동 2015.07.31 1992
2254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4편) 차칸양(양재우) 2016.09.13 1999
2253 디톡스 프로그램 ‘더비움’ 좌충우돌 수행기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7.02.14 2004
2252 효율성만으로는 부족하다 연지원 2014.11.24 2006
2251 [화요편지]'비움', 열망과 저항의 황금률을 익혀가는 수련 [2] 아난다 2021.04.19 2007
2250 뉴욕에서 쓰는 감사일기 로이스(旦京) 2015.03.01 2026
2249 마흔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두번째 토크쇼 file 재키제동 2016.03.25 2028
2248 [월요편지 47] 아내, 내 인생의 로또(2/2) [1] 습관의 완성 2021.02.14 2030
2247 2015년, 15란 숫자에 얽힌 사연 차칸양(양재우) 2015.01.06 2031
2246 生(생)과 剋(극)이 함께 있는 이유 김용규 2015.03.19 2033
2245 적당히 벌고 잘 살기 한 명석 2015.12.09 2033
2244 먹어 주십시오 file 한 명석 2015.04.15 2040
2243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6] 희생, 엄마의 두 번째 이름 [2] 습관의 완성 2020.11.29 2050
2242 [화요편지] 당신에게 '자기돌봄'이란 무엇인가요? file [3] 아난다 2020.12.15 2055
2241 [화요편지] 빗 속의 화양구곡에서 생긴 일 [4] 아난다 2021.05.18 2056
2240 <10년의 법칙>을 관통하며-셀프인터뷰 한 명석 2015.03.11 2057
2239 내가 너무 많은 문제를 가져 왔어요. 한 명석 2014.11.26 2060
2238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2편 차칸양(양재우) 2016.05.03 2062
2237 [일상에 물든 그림]-고갱<아아 오라나 마리아> file 정재엽 2017.07.05 2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