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한 명석
  • 조회 수 151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5년 6월 3일 00시 55분 등록

파샤바.jpg


붓꽃.jpg  

 

KakaoTalk_20150524_103715089.jpg



전에는 풍경사진을 주로 찍었다. 특히 꽃과 나무, 넘실거리는 초록의 밀밭에 한 떨기 붉은 양귀비나 노란 들꽃을 배경으로 튀어나올 듯 진한 청남색은 내가 각별하게 좋아하는 조합이다. 이번에 풍경보다 사람을 많이 찍는 나를 발견했다. 딱히 우리 일행이 아니더라도 명백히 내 카메라는 사람을 더 좋아하는 듯했다. 몇 년 전 나를 터키로 이끈 것은 카파도키아의 사진 한 장이었다. 기기묘묘한 모양의 바위에 굴을 뚫어 생활한 기독교인들의 자취는, 역사와 자연과 문화가 힘을 합쳐 만들어낸 환상의 극치였다. 그러나 막상 내 발로 딛은 카파도키아는 환상이 지나쳐 CG가 되어버린 느낌이랄까, 영화 속에 들어 와 있는 것처럼 비현실적이고 덤덤하기 짝이 없었는데 이번에 가이드와 함께 로즈밸리를 트래킹하며 마음이 달라졌다.

 

잔잔한 들꽃이 깔린 우치히사르는 아늑했고, 버섯바위로 유명한 파샤바는 유머러스했고, 야생 포도나무와 산파(양념으로 쓰이는 그 파)가 깔린 로즈밸리 정상은 장엄했다. 우리는 그 곳에서 점프샷을 찍었다. 박자를 맞추기는 어려웠지만 그 또한 어떠리. 몇 번을 찍어도 음계처럼 엇갈리는 파고 덕분에 소리높여 웃는다. "이거 사과 나무에요" 가이드가 지나치며 무심히 한 말에 마침 나무에 대해 박식한 멤버가 이의를 제기하자 그 이후로는 가이드가 대폭 조심스러워졌다. 송편 모양의 어린 과실은 맛을 보아도 종잡을 수가 없었다. 결국 그녀는 과실을 잘근잘근 씹으며 살구라고 결론내렸다. 인근의 대학에서 한국어학과를 졸업한 그녀는 우리 드라마 <>을 보고 진로를 결정했다고 한다. 가수로는 빅뱅과 케이윌을 좋아한다니, 케이윌처럼 덜 유명한 가수까지 챙겨서 좋아해 주는 것에 고맙기도 하고, 문화의 파급력에 새삼 놀라다.


나는 특히 우치히사르가 좋았다. 내가 좋아하는 들꽃 카페트 사이에 지그재그로 난 조붓한 길이 아름다운데 그 길에 사람이 걸어갈 때 풍경이 완성되었다. 언제 봐도 신비로운 붓꽃더미 너머로 아롱대는 사람의 그림자가 좋다. 마침 TV에서 <삼시세끼>가 돌아간다. 박신혜가 게스트로 나온 분량이다. 때로 아무 대화도 없이 조용하게 밥을 먹는 출연진들.... 옥수수 모종 수 천 개를 심는 시간은 또 얼마나 힘들고 지루했을까. 드라마는 일상에서 지루함을 제거한 것이라고 했던가. 일상이 어찌 재미있기만 하랴. 반복되는 일상을 집약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고 재해석하는 편집력이 있어 이 프로그램이 돋보인다. 500여 평의 밭에 각 출연진이 옥수수 모종을 심은 면적을 나누어 대비해 주는 것에 소리내어 웃는다.


이번 글쓰기여행에 참여한 멤버들이 <삼시세끼>의 편집자가 되면 좋겠다. 유머감각있는 편집자가 되어, 서로의 기대치가 달라 서걱거리기도 하고, 가끔 미묘한 갈등이 맴돌았으나 종국에는 차분하게 초심의 의미를 되새기며 깊어져간 그 시간의 의미를 집약시킬 수 있으면 좋겠다. 살아간다는 것은 행복한 동행을 구하는 일이라는 말이 있는데, 여행의 도반처럼 그 말에 어울리는 사이가 어디 또 있으랴. 4주의 여행을 마치고 아타튀르크 공항에서 마무리멘트를 하는데 "사람이 천국인 것 같다"는 말이 흘러 나왔다. 원래 나는 다른 일은 모두 혼자 해도 여행만은 혼자 할 생각이 없었다. 늘 딸하고 같이 다니다가 이번에 확장시켜보니 소소한 갈등조차 재미있다. 아니, 애초에 그건 갈등이 아니라 표현방식의 차이였다. 앞으로 좀 더 유연하게, 좀 더 의미있게 글쓰기여행을 발전시켜 나갈 생각에 설렌다. 풍경은 그 자체로 아름답지만, 그 안에 사람이 들어있을 때 스토리가 생긴다. 보름달조차 휘영청 창공에 홀로 떠 있는 것보다 비스듬히 능선에 걸쳐 있는 것이 정답지 아니한가!


 

 

 

 

 


IP *.230.103.18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6 두려운 날 있으십니까? 김용규 2014.10.23 2334
2155 나를 기억해줘 (도대체 무엇으로?) file 한 명석 2015.06.10 2336
2154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5편)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6.09.20 2338
2153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4] 가난한 아빠가 해준 말, 부자 아빠가 해준 말 [2] 습관의 완성 2021.01.24 2342
2152 고1 때 동거를 시작한 친구 김용규 2014.12.04 2343
2151 재미있게 사는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 한 명석 2015.02.25 2344
2150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기 싫어요. 제산 2018.02.12 2345
2149 2015년에도 다사다난 하세요~ 차칸양(양재우) 2014.12.30 2351
2148 살아남기 위하여 박미옥 2014.10.24 2352
2147 참된 공부란 무엇인가? 김용규 2015.04.09 2355
2146 목요편지 - 건배사 운제 2020.04.23 2355
2145 세계인의 일상을 엿보다 - airbnb file 한 명석 2014.07.30 2356
2144 경제공부를 위한 4가지 중요 포인트 차칸양(양재우) 2014.12.02 2356
2143 부부는 부창부수하며 산다 연지원 2015.10.12 2358
2142 [용기충전소] 서울한달살이의 최고 맛집 file [1] 김글리 2020.12.18 2360
2141 사부님, 이제 저 졸업합니다! [14] 박미옥 2013.12.20 2368
2140 노년 (老年) 書元 2014.12.27 2368
2139 한달 감사노트 함께 쓰지 않을래요 file 로이스(旦京) 2015.01.04 2370
2138 리듬 위에서 펼쳐가는 삶 김용규 2015.02.12 2371
2137 적석산, 쌓는 자의 꿈 [1] 장재용 2020.12.15 2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