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65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5년 7월 16일 11시 52분 등록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나의 SNS 프로필에 나는 생명과 영혼의 소리를 듣고 살지라고 써 두었습니다. 그것은 내가 하루를 대하는 자세고 내 전체 삶이 품은 지향을 축약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여우숲에서 있었던 오종우 선생님의 생명을 살리는 예술수업두 번째 시간이 나를 더욱 들뜨게 한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을 것입니다. ‘생명을 살리는

 

우리는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를 다이제스트 해서 듣고 읽고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러시아 혁명의 시대, 그 혁명을 환영했던 시인이 정작 혁명이 만들어내는 세상에 환멸을 느끼며 11년간 몰래 써내려간 작품이 바로 그 소설입니다.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세계로 퍼져나가며 번역된 소설, 그러나 정작 러시아에서는 1992년까지 금지됐던 작품이라고 합니다. 작품 그 자체만으로도 주옥같았지만 선생의 해석과 통찰은 화룡정점이었습니다.

 

공부가 후반부를 향해 달려갈수록 선생이 첫 시간에 통념을 핵심 단어로 꺼내든 이유가 더욱 분명해졌습니다. 지난주 보내드린 편지에 담았듯 선생은 앞서 모네의 <양산을 든 여인>을 통해 예술이 왜 아름다운 인간 행위인지를 들려주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닥터 지바고에서 가려 뽑아 오신 문장을 함께 읽으며 선생은 사랑을 이야기 했습니다. 유교적 통념을 가진 우리 문화에서는 종종 불륜으로 읽히는 주인공 라라와 지바고의 사랑이 왜 아름다운 사랑인지를 알아채게 했습니다.

 

강의를 마무리하시며 선생은 두 단어를 칠판에 썼습니다. ‘general’‘universal’ 두 단어 모두 보편적인’ ‘두루 통하는과 같은 통념을 뜻으로 담고 있는 것 같지만 그것은 근본적으로 판이한 뜻임을 적시했습니다. 예컨대 철수라는 사람은 많다. 그러나 그 철수는 오직 하나라는 것입니다. ‘general’수많은 철수를 뜻하지만 ‘universal’은 오직 그 철수, 즉 하나로서 전체인 철수를 가리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지요. ‘general’은 어원에 종(, gene)이 확산되다(-rate)’라는 뜻이 있지만, ‘universal’에는 유일하고 고유하다는(unique) 뜻이 담겨 있다는 것입니다. 이념과 논리는 어느 쪽일까요? 당연 ‘general’입니다. ‘universal’한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선생은 생명사랑예술만이 그렇다고 했습니다.

 

이 대목에서 3년 전 딸 녀석이 내게 했던 말이 떠올랐습니다. 딸은 자신이 다니는 중학교 전교생 중에 스마트 폰이 없는 사람이 몇 명인 줄 알아?” 라고 내게 말을 걸었습니다. “몇 명인데?” “나하고 딱 한 명 더 있어.” “스마트 폰 사달라는 뜻이야?” “아니, 난 이 2G폰이 유니크 해서 좋아. 내 말은 우리 소녀들이 모두 스마트 폰만 들여다보고 그 속에 있는 연예인 이야기로 쉬는 시간을 채우는 게 너무 안타깝고 허전하다는 말이야. 다시 오지 않을 이 소녀의 시절이 그렇게 스마트 폰 속의 이야기만으로 채워진다는 게

 

나는 그때 내 딸 녀석이 차라리 나의 스승이라는 생각을 굳혔습니다. 저 놈이 그저 나와 제 어미의 몸을 빌려 이 세상에 찾아온 유일무이한, 우주적 존재라는 생각을 더 굳건히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나는 더욱 녀석을 꽃처럼 대했습니다. 내가 이미 꽃다지나 질경이 한 포기, 찔레나무나 느릅나무 한 그루에서 보았던 그 생명의 고유성과 유일성, ‘아 우리 모두가 각자 꽃이요 별인 것이구나. 하나이며 전체인 것이구나.’ 그 경지를 그때 딸에게서도 본 것입니다.

 

여우숲에서 함께 한 예술수업을 통해 참가자들은 생명과 사랑과 예술이 오직 유니버셜하다는 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공부를 하면할수록 우리 각자 역시 본래는 유니버셜한 존재임을 알아갈 것입니다. 그 훼손의 과정을 거슬러 자신을 복원하고, 다시는 누구도 내 고유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자신을 지켜내는 삶을 살고자 애쓸 것입니다. 자신의 삶이 예술이 되고 사랑이 되고 참된 생명이 되고자 할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여우숲이 인문학공부모임을 계속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8월 여우숲 인문학공부모임 안내

 

81~ 2일에는 인물을 통해 역사를 만나는 강좌를 기획했습니다.

절망을 꽃으로 피워낸 사람들

우리는 이 주제를 통해 역사가 빚어낸 삶의 질곡으로 자신의 고유성과 생명성, 예술성을 훼손 받게 된 인물들이 어떻게 자신의 절망을 꽃으로 피워냈는지 들여다 볼 작정입니다.

자세한 안내는 여우숲 소식에 올려두겠습니다.

IP *.120.7.2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1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8
433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94
4333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94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7
4331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5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8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21
4328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23
4327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4
4326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28
4325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29
4324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30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3
4322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5
4321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6
4320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6
4319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8
4318 케미가 맞는다는 것 [1] 어니언 2022.09.15 740
4317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