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5년 8월 14일 00시 04분 등록

제가 살고 있는 판교에는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름이 너무 길어 외우겠다는!) 이곳에는 경기콘텐츠코리아랩이라는 정부 기관(?) 있는데 매주 목요일, 콘텐츠 창작자들을 위한 세미나가 열립니다. ‘창의세미나S’라고 이름 붙여진 세미나에는 유명인들도 연사로 많이 초대됩니다. 저는 진중권 교수, 양준혁 야구해설위원, 그리고 어제 변영주 감독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변영주 감독은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 <낮은 목소리>, <화차>, <밀애>, <발레교습소> 연출했는데 독립영화와 상업영화를 넘나들면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강의 주제는 소설과 영화 사이 영화의 스토리텔링’. 그녀는 영화 시나리오를 직접 쓰는 감독입니다. <밀애> <화차> 그녀가 직접 원작 소설을 시나리오화했습니다. 그녀는 통이 넓은 낡은 청바지에 헐렁한 청색 티셔츠를 입고 있었습니다. 키도 크고 체구도 남자 못지 않습니다. 1시간 동안 강의를 하면서 땀을 없이 흘리네요. 그러면서도 검은 뿔테 안경 속의 눈빛이 반짝반짝합니다.

 

변감독은 글을 제일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정답은 무거운 엉덩이’. 글은 재능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 훈련으로 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창작자가 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태도와 온전히 결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소비자의 태도란 취향이 아니다 이유로 자신에게 익숙한 것만을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창작자는 취향이라는 방어기제를 내려놓고 많이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작가들이 강조하듯,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많이 읽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변감독은 또한 창작자가 하지 말아야 말은 그냥이라고 말합니다. 창작자의 작품에는 숨겨진 주제의식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변감독은 좋은 문장에 대한 정의를 하루키의 대답을 빌어 말했습니다. ‘이세상에 좋은 문장이란 없다. 글을 쓴다는 것은 스스로 어떻게 사느냐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녀는 어떻게 것인가를 고민한 결과물이 이라고 말했습니다. 자신의 시나리오 쓰기 노하우도 밝혔습니다. 그녀는 쓰고 싶은 말이 목까지 때까지는 취재와 메모만 합니다. 그러나 이상 참지 못할 때가 오면 노트북을 열고 시퀀스가 끝날 때까지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진도가 나가지 않더라도 자리를 지킵니다.

 

강의 말미에 그녀는 자기 연민을 갖지 않는 창작자로서 갖추어야 최고의 덕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세상에는 하고 싶은 , 해야 하는 , 있는 일이 있는데 하고 싶은 일을 하려면 일이 풀리지 않더라도 내가 제일 불행해라는 생각을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랫동안 축의금이 없어 지인의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했는데, 그녀는 나는 호주제와 한국의 결혼제도에 동의하지 않아서 결혼식에 참석할 없어라고 생각했답니다.

 

저는 요즘 블로그에 매일 편씩의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글은 아니지만 읽은 책에 대한 소감이나 인상 깊은 신문기사 요약, 좋은 전시회 후기 등등입니다. 그리고 매주 편의 방송 원고와 마음편지 통을 쓰고 있습니다. 요즘 이런 생각이 듭니다. ‘일주일을 알차게 살지 않으면 좋은 글이 나오지 않는구나글은 작가의 삶이니까요. 알차게 하루를 일구어 좋은 글을 써야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또한 자기연민 따위는 개나 줘버려야겠습니다. 남편 덕분에 하고 싶은 공부도 하고 쓰고 싶은 책도 맘껏 있으니 행운아지요. 여러분은 어떤가요? 좋은 글을 있는 삶을 살고 있나요? 자신이 제일 불행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겠지요?

 

[알림] 1인 기업가 재키의 일상이 궁금하다면! http://blog.naver.com/jackieyou


IP *.170.63.2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36 [화요편지]나에게 가장 친절하고 편안한 선택을 할 수 있는 힘 [2] 아난다 2021.09.14 1604
2435 기립박수하고 싶은 책 한 명석 2016.04.27 1605
2434 [월요편지 63] 아내는 외계인 [1] 습관의 완성 2021.06.13 1605
2433 스물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브라보 마이 라이프 재키제동 2015.11.06 1606
2432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지적 허영심과 중이병의 콜라보 [1] 알로하 2021.09.26 1606
2431 [월요편지 132] 은퇴자들이 퇴직 후 가장 많이 하는 후회 5가지 [1] 습관의 완성 2022.12.25 1607
2430 세월과 한 평의 공간 연지원 2015.05.04 1610
2429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한달 만에 끝내는 영어 [1] 알로하 2021.11.21 1610
2428 여자의 젖가슴은 그 존재 자체로 아름답다 차칸양(양재우) 2016.12.13 1612
2427 [화요편지] 마지막 한 스푼의 용기가 필요한 순간 file [7] 아난다 2020.11.17 1615
2426 [용기충전소] 변화의 시기에 물어봐야할 질문 [1] 김글리 2021.01.29 1615
242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아프니까 프로다 [2] 알로하 2021.01.17 1616
2424 어느 하루의 감사일기와 5기 모집 안내 file 로이스(旦京) 2015.05.25 1618
2423 [용기충전소] 인생이 각색되는 순간 김글리 2020.07.30 1618
2422 생고생을 많이 하면 할수록 인생이 드라마틱해진다 차칸양(양재우) 2016.06.21 1619
2421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5] 경제적 자유 얻으면 일 안해도 행복할까? 습관의 완성 2021.01.31 1619
2420 [화요편지]군더더기를 덜어내는 수련 [1] 아난다 2021.10.05 1621
2419 가짜 백수오 사태와 개인들의 광기 차칸양(양재우) 2015.05.19 1622
2418 열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오디션 재키제동 2015.08.28 1623
2417 여름을 끝내주는 책- 문요한, 여행하는 인간 한 명석 2016.08.31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