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31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5년 10월 15일 11시 43분 등록

 


 

 

 

잠시 기쁜 상상을 해볼까요? 그대 아버지는 많은 것을 이루어낸 분입니다. 다양한 사업부문이 한국의 기업순위 상위를 차지하는 재벌기업을 이루어냈습니다. 그 중에 호텔도 있습니다. 다른 부문 다 빼고 호텔 영역 하나만 가지고 상상을 좁혀 봅시다. 전국에 한 열 개쯤 같은 이름으로 운영되는 호텔이 있는데 늘 성황이라고 상상해 보는 겁니다. 그렇게 사업을 일으켜 놓으신 아버지가 연로하고 쇠약해지셨습니다. 이제 더 이상 일선에서 이끄실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대 형제자매는 모여앉아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아직 살아있는 전통적 문화를 따라 맏형이 그대에게 말했습니다. ‘동생아, 동생은 열 개 호텔 중에 서울에서 가장 멀지만 가장 아름다운 섬에 있는 호텔 하나를 맡아 운영하는 것으로 상속을 정리하자. 나머지 아홉은 아버지의 뜻을 이어 내가 잘 키워가마.’ 만약 그대가 이 집안의 동생이라면 이런 정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내가 한 열 명쯤에게 똑같이 물어보았더니 그중 한 명 정도만 받아들이고 나머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습니다. 더 달라고 요구하겠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유를 물어보았습니다.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공평하지 않다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이건 공평하지 않은 배분이라는 데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진짜 자기 삶을 살려고 하는 사람의 시선에서 보면 이 논의 자체가 이미 그릇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첫째, 왜 아버지가 이룬 것을 꼭 자식들이 나눠서 운영해야 하는 것인가요? 내가 이룬 것이 아니므로 그것은 애초 내 것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멋진 사람 아닐까요? 그 멋진 사람은 나보다 더 잘할 수 있는 사람들이 그 조직 안팎에 있을 수 있으므로 그들에게 아버지의 성과를 더욱 잘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승계를 개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공평에 대한 자기 정의가 빈약해서 불행해 집니다. 얼마를 가지면 공평할 수 있을까요? 타자와 나 사이에 대한 비율의 공평성으로 돈의 기준을 삼지 않고 진짜 내 필요와 열망을 돈에 대한 기준으로 삼으면 호텔의 방 열 개에 대한 운영권만 준다고 해도 나는 황송할 것 같습니다. 그것으로 먹고 살 수 있을 테니까요. 그리고 일 년에 한두 번은 가까운 친구들과 존경하는 사람들을 그 객실로 초대해 인심을 나누며 기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테니까요.

 

유년 시절에 나의 또래 대부분의 집은 참 가난했습니다. 그래도 그 시절이 가장 따뜻했던 시절이었음을 이제 압니다. 개인사도 가족사도 인류사도 돈이 모자라 불행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어쩌면 우리는 돈을 가지고 무엇을 채우고, 그 돈을 가지고 어디에 닿고 싶은지를 생각하지 않아 불행한지도 모르겠습니다.


IP *.120.7.3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16 알랭 드 보통 되어보기 한 명석 2014.10.01 2670
2315 그 삶은 언제 살아보려 하는가? 김용규 2014.10.02 2429
2314 당신의 지금 사랑, 그 사랑을 죽도록 사랑하세요 [4] 박미옥 2014.10.03 2487
2313 차칸양의 차카지 않은 소개 [4] 차칸양(양재우) 2014.10.07 2682
2312 사랑하는 것이 더 낫다 한 명석 2014.10.08 2959
2311 자기 정의가 있는 삶 김용규 2014.10.09 2795
2310 정말 그대로일까? 박미옥 2014.10.09 2131
2309 스페인 세비야에서 보내는 편지 로이스(旦京) 2014.10.11 2948
2308 직장인은 시간제 노예다! 차칸양(양재우) 2014.10.14 3066
2307 요란하게 중년을 건너는 법 한 명석 2014.10.15 2712
2306 영웅을 죽일 수 있어야... 김용규 2014.10.16 2546
2305 사랑이 노동으로 변해갈 때 박미옥 2014.10.17 2587
2304 사랑, 그 어수룩함의 집착 書元 2014.10.18 2554
2303 지금은 구조조정(Restructuring)의 시대 차칸양(양재우) 2014.10.21 2223
2302 삶은 뒤가 아니라 앞에 있다 한 명석 2014.10.22 2514
2301 두려운 날 있으십니까? 김용규 2014.10.23 2332
2300 살아남기 위하여 박미옥 2014.10.24 2352
2299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보내는 편지 로이스(旦京) 2014.10.25 2801
2298 나는 중산층입니다 [3] 차칸양(양재우) 2014.10.28 2124
2297 전에 한번도 되어본적이 없는 내가 된다는 것 [2] 한 명석 2014.10.29 2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