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5년 10월 30일 08시 38분 등록

아버지가 남북이산가족 상봉을 마치고 무사히 돌아오셨습니다. 오늘은 아버지의 입을 빌어 재키의 가족상봉 후기를 들려드리려 합니다.

 

"속초 한화리조트에서 하룻밤 자고 다음날 금강산행 버스에 올랐어. 북한으로 들어가니 온통 산이 벌거숭이야. 나 어릴적 보던 산 같았어. 길에는 고등학생 같은 앳된 얼굴의 북한병사 몇몇이 보이더구나. 금강산은 웅장한 돌산이야. 돌병풍을 쳐놓은 것 같은 장관이었어. 남쪽 가족은 현대에서 지은 외금강호텔에, 북한 가족은 북에서 지은 금강산호텔에 묵으며 상봉을 준비했지. 우리 가족은 48번 테이블을 배정 받았어. 정해진 시간이 되자 북쪽 가족이 하나 둘 상봉장으로 들어서더구나.

 

작은아버지와 꼭 닮은 유봉열이랑 웃는 얼굴이 고운 유영옥이 나왔어. 내겐 사촌동생들이지. 작은 아버지가 아들을 셋, 딸을 둘 두셨는데 봉열이는 함경도에서 도라꾸(트럭) 운전사를 한대. 유숙렬이는 제철공장 기술자이고 유광열이는 제철공장 사무실에서 일한대. 영옥이 신랑은 탄광 막장장이고 영옥이는 집에서 가축 몇 마리 키우고 텃밭 일구며 소일한대. 맨 위에 있던 누나는 다섯 살 때 죽었다는구나. 영옥이는 아주 싹싹한 성격이야. 나한테 생글생글 웃으면서 '큰 오라버니, 약주 좀 하시라요'하면서 잘도 권해. 작은아버지는 2003년에 돌아가셨대. 생전에 가족들에게 '충북 청주 복대리에 가면 내 집이 있다. 통일이 되면 큰할아버지 유근창과 큰조카 유흥열을 꼭 찾아가라'고 말씀하시곤 하셨대. 명절이면 고향 생각이 나는지 더 자주 이야기하셨대. 

 

공개상봉이 끝나고 호텔방에서 만나 준비해간 선물을 전해줬어. 걔네들도 정로환이나 정관장 같은 거 다 알더라구. 시계 사용법도 알려주고 미화도 전해줬지. 네 할아버지가 "미화를 이것밖에 준비 못했다"하니가 영옥이가 "아넵니다. 경애하는 김정은 어버이께서 잘 해주셔서 우리 잘 먹고 잘 삽네다"하더구나. 정말 그렇게 생각하는 것같았어. 우리는 북한 정부가 마련해준 술 3병과 손수건 3개를 봉열이한테 받았지. 네 할아버지가 "근호가 북한에 일가친척도 없고 배운 것도 없어서 고생을 많이 했지?" 하니까 봉열이가 "아넵니다. 아버지는 사교성도 좋고 부지런해서 인기가 높았습니다. 전쟁에서 옆구리에 파편이 박혀 병원생활을 2년 했디만 제대 후에 대학을 두 군데나 다녔습네다. 그리고 제철공장에서 일하다 오마니를 만났습네다. 외할마니가 개를 키웠는데 피 많이 흘린 사람은 개고기를 먹어야 한다고 아바디를 많이 챙기셨습네다". 아마 장가를 잘 가서 북에서 자리를 잘 잡으셨던 모양이야. 참 다행이지?

 

20년 넘었지. 테레비에서 이산가족 있으면 신청하라고 해서 했지. 그런데 감감무소식이야. 그 후에 네 큰삼촌이 또 신청을 했지. 10년 전 어느 날 네 할아버지한테 적십자사라며 전화가 왔대. 확실하지는 않지만 유근호씨가 북한에 살고 있는거 같다고. 그러곤 또 소식이 없다가 최근에 연락이 온거야. 이번에 상봉한 사람들은 다 아흔이 넘은 고령자였어. 조금만 더 일찍 만났으면 어땠을까 안타까운 마음이 들더라. 봉열이랑 영옥이도 알만 하니까 헤어져서 너무 아쉬웠어. 그래도 둘 얼굴에 고생한 흔적이 그리 많이 보이지는 않아서 마음이 놓였어. 작은아버지가 북한에서 결혼도 잘 하고 잘 사셨던 것 같아 위안이 되더라구. 그리고 네 할아버지 말이다. 이번에 보니까 너무 야위었어. 계단 10개를 못올라 가시더구나. 네 삼촌이랑 나랑 옆에서 부축을 했는데 팔이 성냥개비같았어. 측은지심이 들어서 오늘 모시고 가서 한약 지어드렸다."

 

아버지는 이번 상봉에 별로 가고 싶어하지 않으셨습니다. 할아버지와 사이도 좋지 않은데 며칠을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것도 부담스럽고, 이제 와서 북쪽 가족을 만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나 생각하셨답니다. 그런데 이번 상봉을 통해 북쪽 가족뿐 아니라 아흔이 넘은 아버지의 뒷모습을 발견한 것입니다. 저는 이번 가족 상봉이 아버지의 남은 인생에 큰 영향을 줄거라 확신합니다. 그리고 역사의 한 장면에 서 계셨던 아버지가 참 부럽습니다. 혹여 다음 상봉이 있다면 저도 꼭 데려가 달라고 아버지께 말씀드렸습니다. 함경도 봉열 당숙부댁에서 하룻밤 머물며 북한의 밤하늘을 바라보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미소가 고운 영옥 당고모가 키운 채소는 고모를 닮아 달큼한 맛이 나겠지요? 그 날이 어서 오기를 바래봅니다.

 

 

[알림] 1인 기업가 재키의 아버지와 북쪽 가족 얼굴이 사진기자의 카메라에 우연히 포착되었습니다. 궁금하다면 클릭! http://blog.naver.com/jackieyou

IP *.219.66.8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16 알랭 드 보통 되어보기 한 명석 2014.10.01 2672
2315 그 삶은 언제 살아보려 하는가? 김용규 2014.10.02 2430
2314 당신의 지금 사랑, 그 사랑을 죽도록 사랑하세요 [4] 박미옥 2014.10.03 2487
2313 차칸양의 차카지 않은 소개 [4] 차칸양(양재우) 2014.10.07 2685
2312 사랑하는 것이 더 낫다 한 명석 2014.10.08 2961
2311 자기 정의가 있는 삶 김용규 2014.10.09 2796
2310 정말 그대로일까? 박미옥 2014.10.09 2133
2309 스페인 세비야에서 보내는 편지 로이스(旦京) 2014.10.11 2950
2308 직장인은 시간제 노예다! 차칸양(양재우) 2014.10.14 3067
2307 요란하게 중년을 건너는 법 한 명석 2014.10.15 2713
2306 영웅을 죽일 수 있어야... 김용규 2014.10.16 2548
2305 사랑이 노동으로 변해갈 때 박미옥 2014.10.17 2588
2304 사랑, 그 어수룩함의 집착 書元 2014.10.18 2554
2303 지금은 구조조정(Restructuring)의 시대 차칸양(양재우) 2014.10.21 2225
2302 삶은 뒤가 아니라 앞에 있다 한 명석 2014.10.22 2515
2301 두려운 날 있으십니까? 김용규 2014.10.23 2335
2300 살아남기 위하여 박미옥 2014.10.24 2352
2299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보내는 편지 로이스(旦京) 2014.10.25 2803
2298 나는 중산층입니다 [3] 차칸양(양재우) 2014.10.28 2126
2297 전에 한번도 되어본적이 없는 내가 된다는 것 [2] 한 명석 2014.10.29 2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