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6년 1월 22일 05시 03분 등록
아버지가 묻습니다. "우리 덕선이는 꿈이 뭐데? 어떤 사람이 젤로 되고 싶어. 아빠가 보라 언니 보다 팍팍 밀어줄텡게 말해봐잉." 

덕선이 말합니다. "없어. 나 꿈이 없어, 아빠. 한심하지. 나 정말 멍청한가봐." 

아버지가 말합니다. "멍청하긴 뭐가 멍청해. 꿈은 앞으로 가지면 되지. 아빠도 니 나이 땐 아무 생각없이 살았어. 너만 그런거 아닌게 한나도 걱정하지말어." 



꿈이 없다던 덕선이는 커서(?) 무엇이 되었을까요? 그녀는 멋진 유니폼을 차려입고 하늘을 나는 스튜어디스가 되었답니다. 강인한 체력(!)과 다정다감한 성격을 살려 직업을 참 잘 선택했지요?   

 

많은 직장인들이 덕선과 같은 고민을 들고 저를 찾아 옵니다. 이들은 자신이 뭘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고 말합니다. 사실 이런 고민은 하루이틀 된 것이 아닙니다. 대학 전공은 성적에 맞추거나 부모님의 뜻에 따라 정했습니다. 직장 역시 별 고민없이 오라는 곳을 선택했죠. 하는 일은 물론 회사에서 정해줬구요. 그러니 오랫동안 뭘 하고 싶은지 생각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문제는 더 이상 그 일을 하기 싫거나, 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이 곳을 떠나야 하는데, 떠나고 싶은데 어디로 가야할지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저에게 묻습니다. "저는 무엇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런 질문을 받으면 참 난감합니다. 제가 무릎이 닿기도 전에 모든 걸 꿰뚫어 보는 무르팍 도사면 좋을텐데요.  

 

고민 끝에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자기가 하고 싶은 걸 찾은 사람들이 어떻게 했는지 알아보면 되잖아!" 저를 몸짱 아줌마로 변신시켜준 하이찬 트레이너는 스물 다섯에 늦깍이 대학 신입생이 되었습니다. 대학원에 진학에 교수가 되고 싶었지만 아내에게 생활비를 가져다 줄 수 없어 중도 포기했습니다. 교수님의 소개로 국회의원 비서를 잠시 했지만 그것은 그에게 맞는 옷이 아니었습니다. 보건소 일은 좋았지만 보수가 적어 가족을 건사하기 힘들었습니다. 지금 그는 제가 사는 아파트 단지에서 최고로 인기있는 퍼스널 트레이너입니다. 그는 말합니다. "저도 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은 못했어요. 하지만 '건강'이란 키워드로 사람들을 돕고 싶다는 꿈이 있었죠. 이런저런 일을 하다 보니 제가 제일 잘 하고, 제일 하고 싶은 일을 찾은 것 같아요."  

 

그대가 만약 꿈이 없는 직장인이라면 그 답을 남이 아닌 자신에게 찾고 구하기 바랍니다. (아무리 용한 선녀보살이라도 답을 줄 수 없어요!) 조금 생각하다 귀찮다고 밀쳐두어서는 안됩니다. 회사 일에 치여 생각할 여력이 없다고 핑계를 대서도 안됩니다. (그렇게 한다면 영영 꿈을 찾지 못할 수도 있어요!) 하고 싶은 일을 찾으려면, 자신이 무엇을 잘 하는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합니다. 몇 가지가 떠오른다면 그것을 직접 해보세요. 그러면서 가짜 욕망을 걸러내고 진짜 하고 싶은 것을 남겨야 합니다. 만약 간절히 찾고 구한다면 귀인이 나타나 그 곳으로 가는 길을 알려줄 것입니다. (그러면 덕선이처럼 될 수 있어요.) 

 

저는 이 땅의 직장인들의 가슴 속에 꿈이 하나씩 있으면 좋겠습니다. 남들이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정한 것으로, 정말 하고 싶은 일이 하나씩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리얼리스트가 되면 좋겠습니다. 막연한 낙관주의를 벗어던지고 현실적인 시각으로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지 차근차근 짚어보면 좋겠습니다. 아, 힌트 한 가지 드릴게요! 자신의 과거를 꼼꼼히 살펴보세요. 자신의 삶의 키워드를 발견한다면 그대의 꿈이 어렴풋이 보일 겁니다.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알림1] 토크쇼 <재키가 만난 구본형의 사람들>의 첫번째 시간이 오는 2월 18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 마련됩니다. 첫번째 손님은 운영하던 병원을 과감히 정리하고 남미와 히말라야 등지로 여행을 떠났던 문요한 선생님인데요, 그에게 궁금한 이야기가 있다면 저에게 알려주세요. 더욱 알찬 토크쇼가 되도록 참고하겠습니다.


[알림2] 구본형 선생님의 차녀이자 10기 연구원인 구해언 양이 오는 1월 23일 토요일 시집을 갑니다. 축하의 글은 다음 링크에 달아주세요. 

http://www.bhgoo.com/2011/805974#1    

IP *.170.63.2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96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9편) - 메타포의 세계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0.18 1640
2395 빛나는 일상에서 나다움 발견하기 [1] 어니언 2021.04.29 1644
2394 마흔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빅뉴스 재키제동 2016.02.26 1647
2393 같이 오른다는 것에 관하여 (데날리 이야기) [2] 장재용 2020.12.22 1647
2392 [월요편지 24] 야옹 거리며 우는 고양이는 쥐를 잡을 수 없다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9.06 1650
2391 삶을 멈춰버린 매화나무 김용규 2015.09.03 1652
2390 [월요편지 42] 미래에서 온 아버지의 첫 편지 [1] 습관의 완성 2021.01.10 1652
2389 [라이프충전소] 올해의 화두, 피보팅 [2] 김글리 2021.01.22 1653
2388 [용기충전소] 제 최고의 친구를 소개합니다 [4] 김글리 2021.06.04 1654
2387 [월요편지 67] 50살 내가 5년 동안 새벽 기상에 성공한 방법 [2] 습관의 완성 2021.07.11 1657
2386 니가 가라, 하와이 file 한 명석 2015.05.27 1658
2385 노후대책 없이도 잘 살기 한 명석 2016.02.24 1659
2384 [월요편지 80] 나다운 삶을 사는 방법 [1] 습관의 완성 2021.11.08 1659
2383 생명을 살리는 예술수업 2 김용규 2015.07.16 1661
2382 [월요편지 84] 누구나 언젠가는 사장이 된다 [4] 습관의 완성 2021.12.06 1664
2381 항상 제자리만 맴도는 당신에게 차칸양(양재우) 2015.12.01 1665
2380 [라이프충전소] 끝은 또 다른 시작 [15] 김글리 2023.03.24 1667
2379 어느 날 문득 꽃이 피었다 연지원 2015.05.18 1668
2378 스물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말에 대한 생각 재키제동 2015.10.02 1668
2377 어제 월급쟁이, 오늘 히말라야 [1] 장재용 2020.11.24 1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