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연지원
  • 조회 수 141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2월 29일 23시 45분 등록

여유, 향유, 자유, 공유! 내가 좋아하는 단어들이다. 어제는 한 곡의 팝송을 통해 네 가지 단어들을 모두 누렸다. 카카오톡 단체창에서 조지 이즈라(George Ezra)의 <Budapest>가 링크되었다. 음악 감상은 3분 36초가 요구되는 일이었다. '들어볼까? 하던 일이나 할까?' 여유가 없으면 후자로 귀결된다. 휴식이나 예술을 향유하려면 잠깐의 여유가 필요하다. 시간적 여유만이 아니다. 때때로 마음의 여유가 더욱 중요하다.

 

하루 중 3분 36초를 내지 못할 만큼 바쁜 사람은 아무도 없다. 나는 그리 믿는다. 3~4분은 엉뚱한 활동으로 쉽사리 소비되는 짧은 시간이다. 시시콜콜한 카톡으로, 전화 통화로, 인터넷 서핑으로, 물건을 찾는 일로, 딴 생각이나 멍 때림으로 수십 분을 시간을 낭비하면서도 5분을 내지 못하는 여유의 빈곤은 놀랍다. 나는 3분 36초를 투자하기로 했다. 딱 5분만 여유를 누리고자 마음 먹었다.

 

 

 

음색을 듣고 1993년 생의 젊은 가수라고는 상상치 못했다. 컨트리송 느낌과 어쿠스틱 사운드에 반해 하루를 보내면서 틈날 때마다 음악을 향유했다. 첫 소절의 가사에도 마음이 동했다. "부다페스트의 나의 집, 비밀 보물상자와 황금 그랜드 피아노, 나의 아름다운 요새!" 노랫말 속의 화자는 이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다고 말한다. 연인을 위해서라면! 젊은 날의 사랑, 그 맹목적 아름다움에 미소를 머금게 된다.

 

늦은 오후, 나는 다시 3분 36초를 할애했다. 이번에는 순간적으로 울컥했다. 노래가 시작되기 전의 반주 소리에 눈물이 찔끔 났다. 내 취향의 곡이기도 했지만, '지금 내가 자유를 누리고 있구나' 하는 인식이 가슴을 쳤기 때문이다. 마음의 여유 한 조각이 팝송 한 곡을 향유하도록 이끌었고, 작은 여유와 순간의 향유를 통해 잠시나마 자유를 경험했다. 나는 미래와 과거 사이의 좁은 틈, 현재 속에서 짧고 깊게 존재했다.

 

조지 이즈라가 누구나의 마음에 들진 않을 것이다. 취향은 개인적이다. 나는 존 콜트레인의 재즈곡 <Say it>을 무지 좋아하지만, 어떤 이는 끈적거린다고 싫어한다. 감상은 개인의 취향을 쫓아야 한다. <Budapest>는 나와 음악 취향이 비슷한 이의 추천곡이었다. 덕분에 3분 36초 투자는 수월하게 결정되었다. 어제 저녁에는 조지 이즈라의 음색과 <부다페스트>의 분위기를 좋아할 법한 친구를 만났다. 그에게 음악을 들려 주었다.

 

친구는 듣고 좋아했다. 집으로 가는 길, 그가 카톡을 보냈다.

"오늘 즐거웠네. 지금 <Budapest>를 들으며 가고 있어."

음악 권유가 혼자만의 '강권'이 아닌 기분 좋은 '공유'가 되는 순간이었다.

오늘은 내가 좋아하는 단어들이 아로새겨진 하루였다. 좋은 날이다.

 

 

 

[여행공지] 로이스가 기획하고 김홍근 교수가 안내하는 <교토 문화유산답사 여행 4일(4.14-17)>에 변경연 식구 세 분을 초대합니다.

사부님이 친히 부탁하여 '보르헤스강의'를 해주셨던 김홍근 교수님이 안내하는 <교토의 정원여행>입니다. 유홍준 일본문화유산답사기 4편에 소개된 천년고도 교토의 유명사찰과 명원(名園)을 4일 동안 모두 돌아보며 일본미의 정수와 일본 정신의 해답을 찾아가는 여행입니다. 일본 정원에는 인류정신문화의 꽃이라 불리는 선(Zen)의 정신이 그대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교토를 여러번 다녀오신 분도 교토를 완전히 새롭게 이해하게 되실 것입니다. 밤마다 '철학자의 길'을 비롯하여 교토 봄의 밤 정취를 만끽하는 산책과, 다도 체험도 진행됩니다. 이 여행의 멋진 덤은 참여하는 이의 정신적인 키가 훌쩍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15명으로 제한된 이번 여행에 감사하게도 김홍근 교수께서 변경연 식구들을 위해 몇 자리를 내어주셨습니다. 관심있는 분은 가급적 빨리 로이스에게 연락 주십시오(010-9876-6719) 
 

IP *.73.143.9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16 여름을 끝내주는 책- 문요한, 여행하는 인간 한 명석 2016.08.31 1624
2415 [화요편지]나는 왜 그리 빠르고 싶어하는가? [2] 아난다 2021.08.03 1624
2414 열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정체성 재키제동 2015.09.04 1625
2413 서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돈과 행복에 대한 생각 재키제동 2015.11.20 1625
2412 열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여름휴가 재키제동 2015.08.07 1626
2411 수틀리면 터져버리는 그녀, 에트나처럼 [1] 장재용 2021.01.13 1626
2410 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일과 휴식 재키제동 2015.06.05 1627
2409 미셸 몽테뉴와 유시민의 <어떻게 살 것인가> [2] 차칸양(양재우) 2017.01.10 1627
2408 사는 게 재미가 없어서 한 명석 2016.02.17 1628
240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2029년 2월, 하와이에서 [4] 알로하 2021.03.07 1629
2406 타자의 삶을 감히 왜곡하지 않기를 김용규 2015.07.30 1630
2405 마흔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창립기념일 재키제동 2016.02.05 1630
2404 마흔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독창성 재키제동 2016.03.04 1631
2403 오십, 두 번째 스물 다섯의 시작 차칸양(양재우) 2017.01.03 1631
2402 가을 예찬 연지원 2015.09.21 1633
2401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험난한 글쓰기의 여정이 시작되다 알로하 2021.06.20 1635
2400 두 선생님 이야기 [1] 장재용 2021.10.19 1636
2399 [용기충전소] 한 발짝, 더 나아가게 하는 마법의 주문 [8] 김글리 2021.04.16 1637
2398 목요편지 - 헤민스님 [1] 운제 2020.11.26 1638
2397 위대한 일은 언제나 작은 것들의 합 [4] 김글리 2021.10.29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