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34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4월 14일 17시 28분 등록

 

지난주 편지에서 나는 공부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누구를 지배하지도, 또 누구로부터 지배받지도 않기 위한 것이라 했습니다. 어느 독자로부터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느냐는 물음이 있었습니다. 공유하자면 나의 대답은 이랬습니다. ‘누구를 지배하지도, 또 누구로부터 지배받지도 않는 나를 이룬다는 것은 자기 자신의 회복을 의미합니다.

 

간명하게 언급하고자 시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삶은 상처입니다. 대부분의 우리는 그래서 훼손되고 일그러진 상태로 살아갑니다. 누군가가 세워놓은 규범과 질서를 따르며 살아가야 하는 삶의 운명 속에서, 혹은 어떤 체제가 만든 이념과 규칙을 이 땅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조건 없이 받아들이도록 강요받으면서 우리의 영혼은 수많은 생채기를 입어왔습니다. 우리에게 상처를 남긴 그 누군가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누군가의 자식이 되고 그 인연으로 인해서 받는 것은 사랑만이 아닙니다. 그렇게 부모와 가족 속에서 나라는 존재가 일그러집니다. 산업과 체제의 질서 안에 박혀있는 학교의 학생으로 살면서 그 시스템과 교사와 다른 학생들을 통해 우리는 또 다시 일그러집니다. (사내의 경우 특히) 군대가, 그리고 삶을 지속하기 위한 밥벌이의 터전이 본래의 나를 가혹하리만치 무너뜨려버립니다. 때로 내가 사랑한 사람과 이룬 가정에서조차 우리는 상처를 받습니다.

 

내가 이끄는 자연스러운삶연구소의 연구원들이 공부하는 이유는 성장하고 싶어서일 것입니다. 공부를 통해 도달해야 할 성장의 중요한 지점은 바로 그 일그러진 자기 자신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훼손된 존재요 일그러진 상태로 살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 채 살아갑니다. 그들은 부모와 가족과 학교와 군대와 직장 등의 경로 위에서 자신이 얼마나 훼손되고 상처 입은 존재가 되었고 그 결과 자신 아닌 자신으로 그저 버텨내며 살고 있는지를 모릅니다. 누군가는 그림자를 보면서 그것이 실체라고 믿고 심지어 우기면서 살고, 나아가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조차 그 그림자를 추구하며 살라고 요구하고 강요하기도 합니다. 자신을 회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래서 끔찍한 일입니다. 일그러진 채로 절뚝이며 살고 있는 자신을 본래의 자신으로 일으켜 세우지 못한다는 것은 또한 불행한 일입니다.

 

그래서 진정한 공부를 통한 성장이란 더는 누군가로부터 지배받지 않는 내가 되어간다는 것입니다. 시인 고은 선생님은 이것을 누군가의 혹은 무엇인가의 노예로 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는 것이라 했습니다. “우주에 빛나는 고독한 별 하나가 되는 것이라 했습니다. “내가 태초이고, 시작이며, 빅뱅입니다. 내가 인생을 시작하고 내가 인생을 살고, 그러다 실패하는 것 또한 나입니다라고 일러주고 계십니다. 실존의 존엄성을 그 누구로부터도 모독 받지 않는 것이라 했습니다.

결국 이 과정을 통해 자기를 회복해 가면서 그는 그 누구도 지배하려 들지 않는 삶을 추구하게 될 것입니다. 내가 그만큼 귀한 존재임을 알아채고 회복한 자는 결국 내가 마주하는 모든 타자 역시 누구도 범할 수 없는 귀한 별임을 알게 되니까요. 심지어 나를 통해 찾아온 자식조차 말입니다.

 

요컨대 성장을 꿈꾸는 이들이 만나야 할 첫 번째 대상은 일그러진 나입니다. 직면해야 하는 아픈 존재일 것입니다. 거기서 출발하여 끝없이 자기의 상처를 극복하고 자기를 회복하면서 멈추지 않고 나가는 것이 성장의 요체라는 것이 나의 대답이었습니다.

IP *.62.215.2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96 얼마나 재미있으려고 그리 심각한가 장재용 2020.09.01 1347
2795 300년을 살면 얼마나 좋을까 연지원 2015.09.14 1348
2794 어쩌다 아내, 어쩌다 남편, 어쩌다 부모 김용규 2016.09.23 1348
2793 [용기충전소] 인생의 갈림길에 선 당신에게 [1] 김글리 2021.06.25 1348
2792 삶은 어디에 있는가? 한 명석 2016.06.15 1351
2791 아, 이런 기분이구나. 짤린다는 게.(전편) [9] 차칸양 2017.11.28 1351
2790 [화요편지]하고 싶은 대로 하면 그게 네 길일 것이니 file 아난다 2020.04.28 1351
2789 일흔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운동 코칭 재키제동 2016.11.04 1352
2788 사업계획서와 영업일지의 비밀 이철민 2017.05.18 1352
2787 매우 중요한 끼적임들 연지원 2015.12.21 1353
2786 사장님이 말하는 사장이 되는 법 [4] 차칸양 2017.08.29 1353
2785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치즈를 찾아 달로 간 사람과 개 2 file [1] 알로하 2019.04.20 1353
2784 최고의 지성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연지원 2016.01.04 1354
2783 출가(出家) 2 김용규 2016.02.11 1354
2782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1편) 차칸양(양재우) 2016.08.16 1354
2781 사진 연지원 2015.08.31 1355
2780 임원이 되면 얻는 것 그리고 놓치는 것들(후편) [4] 차칸양 2017.11.14 1355
2779 마음의 전쟁을 그치려면 로이스(旦京) 2016.06.06 1357
2778 예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다섯번째 토크쇼 [2] 재키제동 2016.06.24 1360
2777 월급쟁이, 그 처지를 규정하는 것들 [2] 장재용 2020.08.25 1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