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25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5월 26일 23시 38분 등록

 

어떻게,

지난주에 드린 화두는 잘 붙들고 깨보셨는지요?

 

()이 무엇이냐 물으시는 스님의 질문을 받고 홀로 되뇌인 나의 대답은 이랬습니다.

산사로 올라오는 길에 노란색 민들레 몇 포기를 보았습니다. 비를 맞은 모습이 청초했습니다. 주차장 곁에서는 막 피려는 수국도 보았습니다. 그 민들레와 수국이 피워내는 꽃 속에서 선()을 보았습니다. 그 속에서 또한 진()도 보았고 미()도 보았습니다.’

 

왜 그 민들레와 수국이 피워내는 꽃 속에 각각 진과 선과 미가 있느냐는 질문에 이어지는 나의 대답은 이렇습니다.

민들레는 수국으로 피려하지 않습니다. 수국 역시 민들레로 피려하지 않습니다. 노란색 민들레는 오직 제 노란빛으로 피어납니다. 수국의 순백이 되려하지 않습니다. 키 작은 민들레는 오직 그 간단한 크기의 키로 필 뿐 수국의 높이를 흉내 내는 법이 없습니다. 그 향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수국 역시도 제 빛깔 아닌 빛깔을 모사하지 않으니 그 각자가 곧 진()입니다.’

 

피어나고 있는 모든 꽃들이 오직 자신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으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니 그것이 바로 미()의 정수입니다.’

저 꽃들 모두 자신을 위해 피었건만 그것으로 또한 누군가를 불러 세우고 그들의 삶을 일으켜 세우니 그것이 바로 선()입니다.’

 

내가 그저 마음속으로 읊조리는 사이 스님은 선생님들의 대답을 다 들으시고 선()에 대한 당신의 가르침을 다음과 같이 전하셨습니다.

합장하고 따라합시다.” 모두는 두 손을 모아 합장하고 스님의 가르침을 따라 소리를 내뱉었습니다. “()이란 나도 이롭게 하고 남도 이롭게 하는 행위!” 모두는 입을 모아 따라했습니다. 스님이 합장을 한 채로 다시 말씀하셨습니다. “한 번 더 따라해 봅시다. ()이란 나도 이롭게 하고 남도 이롭게 하는 행위!”

 

당신의 대답은 어떤 것인지요? 동의가 되시는지요? 저 꽃이 선이고 진이며 미인 까닭에 대해서 말입니다.

IP *.120.7.3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36 "물은 셀프~~" [2] 이철민 2018.01.18 1246
2935 새로 배우는 글쓰기 [1] 어니언 2021.10.07 1246
2934 자녀에게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홈스쿨 철학논술 (1/2) 제산 2018.03.18 1247
2933 [월요편지 70] 슬픔은 나에게 시간을 달라고 했다 [2] 습관의 완성 2021.08.02 1247
2932 마흔아홉, 하루 6 書元 2016.03.19 1248
2931 이 쉬운걸 제가 해내지 말입니다 [4] -창- 2017.04.08 1249
2930 [월요편지 100] 부정적 생각에서 5초 만에 벗어나는 방법 [4] 습관의 완성 2022.03.20 1249
2929 가난한 결혼,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1편) [2] 차칸양(양재우) 2017.07.04 1250
2928 마흔아홉,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 8 書元 2016.04.16 1251
2927 선(善)이 무엇이냐 물으시는 스님의 질문에 김용규 2016.05.19 1251
2926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마지막편) 차칸양(양재우) 2016.10.25 1252
2925 좋은 글은 객관성을 포착한다 file 연지원 2016.07.25 1253
2924 두 나그네를 그리며 연지원 2015.11.23 1254
2923 산과 미운 나 [2] 장재용 2021.10.26 1255
2922 마흔아홉, 만남 그리고 진실 [2] 書元 2016.04.30 1256
» 저 꽃이 선(善)이요 진(眞)이며 미(美)인 까닭 김용규 2016.05.26 1255
2920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김용규 2016.09.08 1256
2919 페북 간 보기 한 명석 2016.09.28 1257
2918 마흔, 다시 시작하려는 그대에게 장재용 2020.07.07 1257
2917 [용기충전소] 자신을 비웃을 줄 아는 능력 [4] 김글리 2021.07.09 1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