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6년 7월 5일 07시 38분 등록

영국이 지난 6월 24일 국민투표를 통해 브렉시트(Brexit)를 결정한 지 이제 열흘 정도가 지났습니다. 브렉시트 결과 발표가 난 금요일은 ‘블랙 프라이데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전 세계가 출렁였었죠. 각 국가별 주가는 당일 하루만 최소 3% 이상, 일본과 프랑스는 무려 8%가 하락했습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2조 달러 정도가 주식시장에서 사라졌다고 하는데요, 1달러당 1,000원 환율을 적용하더라도 무려 2천 조원에 해당됩니다. 미국 블룸버그에서 2015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주식시장 규모는 약 1.3조 달러 수준으로 세계 11위에 위치하고 있는데, 그렇게 따진다면 한국을 포함한 2~3개 신흥국가의 주식시장이 단 하루(!) 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졌다고 보면 될 듯 싶습니다.


환율 또한 대단했습니다. 하루 동안 원달러는 2.3% 급등한 27원 상승했고, 최근 달러에 버금가는 안전자산으로 대변되는 엔화는 무려 5.9%, 63원이나 상승했습니다. 당시 엔화 상승을 넋 놓고 지켜볼 수 밖에 없었던 일본의 아베 총재는 그 동안 엄청난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코자 했던 아베 노믹스 정책이 한순간 물거품이 되자 꽤나 당혹스러워 했다고 하네요. 반대로 브렉시트의 주인공 영국의 파운드화는 달러대비 6.2%나 가치가 폭락했죠.

하지만 이제는 언제 그랬냐는 듯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온 듯 해 보입니다. 주가는 물론이고 환율 또한 브렉시트 이전과 거의 유사하거나 오히려 더 나아졌습니다. 이로써 브렉시트는 전세계적인 우려에도 불구하고 단기성 이벤트로 끝난 듯 보여집니다. 하지만 두 나라 만큼은 그렇지 않은 듯 합니다. 주인공인 영국은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EU와의 협상은 물론 앞으로 혼자 걸어가야 할 길들이 매우 험난해 보입니다. 일본은 이번 브렉시트의 최대 피해자라 할 수 있는데요, 아마도 일본만큼 막막한 나라도 없을 듯 싶네요. 추가 부양책을 고심하고 있다지만 글쎄요, 쉽지 않아 보입니다.

---------------------------------------------------

브렉시트가 결정되고 나서 향후 전망에 대한 엄청난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는데요, 저는 이를 보며 한가지 생각이 계속 머리에 남았습니다. ‘신자유주의의 종말’까지는 아니더라도 이제 드디어 ‘신자유주의의 균열’이 시작된 것 아닐까 하는... 조금 자세히 얘기해보죠.

‘신자유주의’는 한마디로 ‘세계화(Globalizaion)’로 대변된다 할 수 있습니다. 시카고 학파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자들은 국가권력의 시장개입은 경제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철저히 시장 중심의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관세장벽 철폐를 전제로 국가간 자유무역을 통한 시장개방을 주장하며, ‘세계화(Globalization)’ 혹은 ‘자유화’를 외쳤던 거고요. 이의 실행을 위해 왕성하게 활동했던 조직이나 제도가 바로 세계무역기구(WTO)나 우루과이라운드(UR) 그리고 최근에는 자유무역협정(FTA)입니다.

그렇다면 세계화란 무엇이며, 왜 미국을 비롯한 몇몇 거대 국가들은 전 세계를 글로벌촌(村)으로 묶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걸까요? 이렇게 보면 쉽습니다. 한 나라가 독자적으로 발전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A와 B, 두 나라가 있다고 가정해보죠. A에는 남지만 B에는 부족한 자원이나 재화, 상품이 있다면, 또 그 반대의 경우 서로 간의 교환 즉 무역을 통해 나누게 되면 A와 B는 서로 잘 살게 되겠죠. 이게 바로 세계화의 논리입니다. 하지만 국가간 무역을 위해서는 한가지 장애물이 있습니다. 바로 자국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가 그것이죠. 이 ‘관세’를 없애기 위해 WTO, UR, FTA가 동원되었고, 현재는 국가간 관세가 상당 부분 없어지거나 낮아짐으로써 무역이 많이 활성화된 것이 사실입니다.

자, 이러한 자유무역의 확대 즉, 세계화를 통해 과연 글로벌촌의 수많은 국가들은 모두 잘 살게 되었을까요? 글쎄요... yes라 대답하기 쉽지 않죠? 아래 글을 읽어 보시죠.

(세계화의 결과로) 세계 상류층의 20%가 세계 GDP의 86%를 얻고 있고, 하위 20%는 고작 1%를 얻으며, 중간의 60%는 겨우 13%만을 얻는다. 전 세계 200대 부자들의 수입은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수조 달러나 늘어나 두 배가 되었다. 세계 3대 부자의 자산은 가난한 48개국의 모든 소득을 합한 것보다도 더 많아졌다.     -- 『부도덕한 코끼리』(윌리엄 탭 지음) 중에서 --

즉, 세계화를 통해 미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들(거상들)만 부를 불려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향후로도 이러한 추세인 부익부빈익빈은 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부분에 대해 『철학, 삶을 만나다』의 저자, 강신주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아직도 세계화라는 것이 전 세계가 갈등과 분열을 벗어나 하나가 되는 길이라고 장밋빛 구호를 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세계화는 미국 산업자본들만의 잔치였던 셈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표방하는 신자유주의란 제3세계 약소국가들의 무장해제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국가가 경제에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신자유주의 이념은 결국 제3세계의 노동자들을 지속적인 실업의 위기와 그로부터 야기되는 고질적인 저임금의 고통에 시달리도록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미국발 ‘신자유주의’는 1980년대 이후 매우 굳건해 보였습니다. 미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들은 겨드랑이에 날개까지 단 격이었으니까요.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진짜 ‘위기’를 맞게 됩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제로금리와 더불어 엄청난 돈을 찍어 그 위기를 탈출함으로써 미국은 여전히 경제적 패권을 쥐고 있습니다. 아니 오히려 상황은 더 좋아졌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금리인상’이라 하는 전가의 보도를 계속 만지작거릴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이, 그것도 1980년대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과 함께 ‘신자유주의’ 노선을 주장했던 마가렛 대처 수상의 모국인 영국이 브렉시트를 결정한 것은 꽤나 큰 충격이라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과거 해가 지지 않을 정도의 위용을 자랑하던 대영제국의 향수를 잊지 못하는 중장년 층의 감성적 표와 민족적 대립이 절묘하게 맞물렸기 때문이란 해석이 있긴 하지만, 브렉시트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반기를 든 것이나 마찬가지라 볼 수 있는 큰 사건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큰 의의에도 불구, 브렉시트 이후 현재 보여지고 있는 모습은 신자유주의나 세계화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못한 듯 해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상태로 간다면 그저 해프닝 정도에서 끝날 가능성이 크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이것이 신자유주의에 대한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며,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이로 인해 신자유주의의 균열이 시작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영원한 것은 없으며, 가장 완벽한 시스템이라고 하는 자본주의 또한 계속해서 수정 자본주의로 그 모습을 바꿔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차칸양(bang_1999@naver.com) 올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출간소식> 『나에게서 구하라』, 구본형 지음
지난 2013년 우리의 곁을 떠난 구본형 선생님의 마지막 유고집이자 잠언집인 『나에게서 구하라』가 출간되었습니다. 1기 오병곤 연구원을 필두로 많은 연구원이 참여하여 만든 뜻 깊은 책이기도 합니다. 구본형 선생님의 저서 총 21권 중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내용만을 선별, 한권의 책으로 엮었다고 하니, 많은 분들의 일독 바랍니다.

2. <출간소식> 『완벽이란 놈에 발목 잡혀 한 걸음도 못나갈 때』, 김글리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2기 김귀자(필명, 김글리) 연구원의 첫 홀로서기 책 『완벽이란 놈에 발목 잡혀 한 걸음도 못나갈 때』가 출간되었습니다. 긴 제목도 매력적이지만, ‘갈팡질팡 인생길마다 펼쳐보고 싶은 매력적인 인생 오답’이라는 부제 또한 아주 상큼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성분은 ‘세계여행 10g + 이야기 10g + 사색 5g + 야매 5g + 충동질 3g + 방랑 2.6g + 한숨 0.5g’로 구성되어 있다네요. 느낌 확 땡기시는 분들, 일독 바랍니다.

3. <내 인생의 첫 책 쓰기> 10기 모집안내
변화경영연구소 1기 오병곤 연구원이 2016년 하반기 <내 인생의 첫 책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할 10기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오연구원은 책은 재능이 아닌 성실함이라 불리우는 ‘엉덩이(!)의 힘’으로 쓰는 것이라 강조합니다. 책쓰기를 통해 삶의 변화와 더불어 평생을 함께 할 벗들을 만나고자 하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IP *.122.139.25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96 인생 후반전을 ‘전성기’로 맞게 될 그를 응원합니다 차칸양(양재우) 2016.07.19 1533
2495 예순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여섯번째 토크쇼 [2] 재키제동 2016.07.15 1482
2494 몸 기억으로 채워지는 좋은 삶의 진수 김용규 2016.07.14 1194
2493 기록하지 않으면 시간은 까마귀가 된다 한 명석 2016.07.13 1334
2492 베트남 투자 한번 해보실래요? [2] 차칸양(양재우) 2016.07.12 1536
2491 마흔아홉, 일곱 개의 사다리 [1] 書元 2016.07.08 1188
2490 예순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험 재키제동 2016.07.08 1385
2489 좋은 삶은 무엇으로 채워지는가? 김용규 2016.07.07 1266
» 브렉시트, 과연 신자유주의 균열의 단초가 될 수 있을까? 차칸양(양재우) 2016.07.05 1248
2487 예순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상반기 결산 재키제동 2016.07.01 1179
2486 열 살에 삶의 길을 결단한 남자 김용규 2016.06.30 1272
2485 머스매같던 그녀가 블록버스터영화의 여주인공처럼 섹시해진 이유 file [1] 한 명석 2016.06.29 1301
2484 엔딩 노트, 당신의 정말 소중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6.28 5005
2483 마흔아홉, 대한민국 남자들에게 완장(腕章)이란? [1] 書元 2016.06.25 1294
2482 예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다섯번째 토크쇼 [2] 재키제동 2016.06.24 1363
2481 “나, 돈 안 벌 거야!!” 김용규 2016.06.23 1276
2480 생고생을 많이 하면 할수록 인생이 드라마틱해진다 차칸양(양재우) 2016.06.21 1619
2479 쉰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혼자 있는 시간 재키제동 2016.06.17 1687
2478 삶은 어디에 있는가? 한 명석 2016.06.15 1351
2477 사상 최저 기준금리 인하 조치, 어떻게 봐야 할까요? [2] 차칸양(양재우) 2016.06.14 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