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6년 7월 8일 08시 04분 등록

며칠 전 헬스 트레이너 자격증(2급 생활스포츠지도사 - 보디빌딩) 취득을 위한 구술 및 실기 시험을 치뤘습니다. 하필이면 비가 억수같이 오는 날을 골라서 시험장까지 가는데 2시간 반이나 걸렸지 뭡니까. 거기다 2시간을 대기하고 시험은 2분 남짓, 집에까지 오는 시간도 2시간이나 걸렸습니다. 집에 오니 허무감과 피로감에 녹초가 되었습니다. 시험은 잘 봤냐구요?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시험장은 집에서 50km정도 떨어진 의정부의 한 대학 체육관이었습니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섰지만 폭우가 내려 길은 꽉 막혀있더군요. 설상가상으로 강이 범람해 동부간선도로가 폐쇄되었는데 네비게이션은 계속 그쪽으로 안내를 하더라구요. 결국 차를 유료주차장에 세우고 택시를 잡아 탔습니다. 초행길에 비까지 퍼붓고 긴장이 되어 운전할 엄두가 나지 않아서요. 대기장에는 체육대학에 다니는 것으로 추정되는 20대 젊은이들이 가득했습니다. 저보다 스무살이나 어린 친구들(?)이죠. 대기시간에는 에이미 커디가 <프레즌스>에서 소개한 떨리는 순간을 극복하는 3가지 방법을 써보았습니다. '나는 몸과 마음의 변화를 돕는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되뇌이고 '나는 흥분해 있다'고 생각하며 하이 파워 포즈를 취했습니다. 주요 동작도 복습하고 이미지 트레이닝도 했습니다.  


시험장에는 굳은 표정의 중년남성 세 명이 심사위원으로 앉아 있었습니다. 분위기는 경직되어 있었고 그들은 지쳐 보였습니다. 인사말도 없이 바로 '덤벨 체스트 프레스 해보세요'라고 하더군요. 머릿 속이 하애지면서 '그게 뭐더라?'싶었죠.(저는 그 동작을 '덤벨 프레스'로 외웠거든요.) 제가 동작을 하자 심사위원이 '덤벨 체스트 프레스 해보라고 했어요.'라고 나무라듯 말했습니다. 정신을 차려보니 저는 덤벨 쇼울더 프레스를 하고 있더군요. '죄송합니다'라고 말하고 주문한 동작을 했습니다. 이어 풀스쿼트를 해보라고 했습니다. 풀스쿼트는 처음 들어봐서 그냥 스쿼트를 했더니 심사위원이 '풀스쿼트는 더 깊이 앉아야 합니다'라고 하더군요. 실기항목 두 개를 망친 것입니다. 결과는 오는 월요일에 나옵니다. 저는 합격했을까요, 탈락했을까요?


이번 시험을 보면서 면접관의 자세에 대해서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공공기업 채용에 전문면접관으로 활동하면서 항상 내가 맡은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지원자들에게 나의 판단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며 일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저도 인간인지라 가끔은 해이해지기도 하지요. 너무 떨어 제대로 답변을 하지 못하는 지원자를 보면 답답하기도 했는데 그들의 마음을 이번에 다시 알게 되었습니다. 면접관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그들에게는 큰 힘이 된다는 것도요. 어쩌면 신이 저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어 이번 시험에 시련을 주셨는지도 모르겠네요. 역시 어떤 경험이든 버릴 건 없네요. 


이번 시험에 합격하면 이어 연수를 받습니다. 일반 수업과 현장 실습을 90시간 하면 11월에 자격증이 나오죠. 4월에 접수를 시작해 자격증이 11월에 나오니 정말 긴 여정이지요? 만약 떨어지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1년을 기다려 내년에 실기 및 구술 시험에 다시 응시해야 할까요? 


1인 기업가 재키는 어떤 성적표를 받게 될까요?

기쁜 소식이라면 마음편지 독자들과도 나누겠습니다. 

탈락이라도 너무 좌절하지 않겠습니다.

그대도 너무 좌절하지 마세요. 이미 잘 하고 있으니까요.


      

[알림1] 오병곤 연구원이 진행하는 <내 인생의 첫 책 쓰기> 10기를 모집합니다. 그저그런 책이 아니라 좋은 책을 내고 싶은 분이라면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자유마당 <내 인생의 첫 책 쓰기> 공지


[알림2] 제가 진행하는 커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안내해 드립니다. 자신에게 꼭맞는 커리어맵을 그리고 싶으신 분, 회사에서 중요한 경력계발 상의 결정을 앞두고 있는 분, 취업이나 이직 등의 커리어 전환은 계획 중인 분이라면 도움이 될 겁니다. 나비앤파트너스 커리어 컨설팅 서비스 안내

 

IP *.170.63.2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6 길은 묻지 않는다 [1] 장재용 2021.08.24 1383
2715 [화요편지]통찰은 어떻게 일상이 되는가? [2] 아난다 2021.08.31 1384
2714 [월요편지 30] 도미노 효과, 성공이 쌓이는 비밀 file 습관의 완성 2020.10.18 1385
2713 [용기충전소] 커밍아웃; 나는 000입니다 [4] 김글리 2020.10.23 1385
2712 다 사는 것 [1] 장재용 2021.11.09 1386
2711 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켓 file 재키제동 2015.05.29 1387
2710 첨단의 변증법 [2] 장재용 2021.04.27 1388
2709 가슴 철렁하게 부러운 한 명석 2016.01.06 1389
2708 이 아이를 어쩌면 좋을까요? 김용규 2016.01.21 1390
2707 온 더 로드 file 한 명석 2015.09.09 1392
2706 소유하지 않고 향유하기(제주에서의 실험) ) file 한 명석 2017.01.25 1392
2705 [수요편지] 인턴이라는 야만 [3] 장재용 2019.02.27 1393
2704 [화요편지]세상에서 가장 친절하고 부드러운 혁명 아난다 2021.08.17 1393
2703 마흔아홉, 생긴 대로 살기 5 [1] 書元 2016.03.03 1394
2702 전입신고 어니언 2021.07.15 1394
2701 [용기충전소] 잡초에게 배우는 생의 전략 김글리 2021.08.27 1394
2700 관광객 말고 여행자로 살기 김용규 2015.11.19 1395
2699 [목요편지] 세계관 최고 훈남의 조건 [1] 어니언 2021.01.28 1395
2698 [화요편지] 가난한 부모의 돈걱정 모르는 아이 file 아난다 2020.06.02 1396
2697 나이만 먹은 어른들 연지원 2016.10.03 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