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6년 8월 2일 06시 59분 등록

옆부서의 모과장이 차를 샀습니다. 외제차라네요. 꽤 좋은가 봅니다. 역시 외제차가 다르긴 다르다고 하네요. 요즘 제 책 <불황을 이기는 월급의 경제학>을 읽고 있는 저희 부서 김과장이 그 얘기를 듣더니 제게 와 조용히 묻습니다. 저런 얘기 들으면 어떠냐고요. 아마도 절약을 모르고 사는 모습이 한심(?)하지 않냐는 그런 의미겠지요.

 

얼마 전 큰 처형 둘째딸의 결혼식이 있었습니다. 식이 끝난 후 자리를 옮겨 처가 식구들이 모여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큰 처남이 제게 묻더군요. 차 바꿔야 하지 않겠냐고요. 나름 대기업의 부장이라면 그 정도 급에 맞는 차를 타야하지 않겠냐며 말이죠. 그러자 제 대신 아내가 득달같이 항변(?)을 합니다. 우리 차 아직 멀쩡하다고요.^^

 

사실 좀 오래되긴 했습니다. 2000년식 누비라2거든요. 올해로 17년째, 사람 나이로 따지면 환갑쯤 되었겠죠? , 그래도 아내의 말처럼 멀쩡합니다. 지난 금요일, 정기검사도 거뜬히 통과했습니다. 합격도장이 찍힌 차량 등록증을 건네주며 검사원이 한마디 하더군요. 2년 후 다시 보자고요. 그 말인 즉슨, 앞으로 2년 동안은 괜찮다는 얘기겠죠?^^

 

저도 가끔은 조금 심한가(?) 하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아마 저 같은 사람이 많다면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벌써 망했겠죠?^^ 차가 없던 시절, 좋은 차들이 부럽긴 했습니다. 차를 소유한다면, 어느 급 이상의 차가 좋겠다는 생각도 했었고요. 하지만 막상 가져보니 차는 그저 차일 뿐이더군요. 어떤 사람은 차에 대한 사랑이 넘쳐 매주 세차는 물론 정비에 튜닝까지 한다고 하지만, 저는 웬일인지 차에 대한 그 이상의 욕심이 생기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왜 그럴까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았죠.

 

그 이유를 한마디로 정리한다면, 차가 제 욕망을 끌어낼 만큼 가치를 가지지 못했기 때문이라 말할 수 있을 듯 싶습니다. 조금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3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째로 차는 단순 소모품을 넘어 돈 먹는 하마(?)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흔히들 차를 자산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한데요, 뭐 틀린 생각은 아니지만 사자마자 그 가치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정자산으로써의 가치는 낮다고 봐야 합니다. 게다가 차를 운용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인 유류대, 자동차세, 보험료, 수리비, 각종 할부금 등을 따져 본다면 차는 가치의 하락과 더불어 계속해서 돈을 잡아 먹는 그런 불가사리 같은 물건이자 불가피한 낭비를 조장하는 소모품이라 할 것입니다.

 

둘째로 차는 엄밀히 따져 이동수단입니다. 이동수단은 이동수단으로써의 역할을 문제없이 잘 해낼 때 그 가치가 있을 뿐, 그 이상의 가치는 사실 부가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승차감이 좋고, 커서 안락할 뿐만 아니라 각종 최신식 전자장치와 값 비싼 옵션들이 달려져 있으며, 그래서 남들에게 자랑까지 할 수 있는 그런 부분들은 모두 부가적 가치로 봐야만 합니다. 그렇게 본다면 우리는 차를 살 때 이동수단으로써 반드시 지불해야 하는 가격에 더해 부가적 가치에도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요, 가격분석을 해보진 않았지만 아마도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차의 활용에 따른 효율성 부분입니다. 일을 위해 매일 차를 필요로 하는 분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차는 운행하는 시간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주차장에서 보내게 됩니다. 소유를 위해 수천만원을 투자한, 그리고 1년에 몇 백만원 이상을 추가로 들여야만 하는 그런 귀한 차를 많은 시간 주차장에 세워만 둔다는 건 효율성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아주 큰 낭비 아닐까요? 차라리 이럴 바에는 과감하게 차를 없앤 후, 요즘 뜨고 있는 카 쉐어링(Car Sharing) 서비스를 이용하는게 오히려 이득 아닐까요? 듣기로는 몇몇 발빠른 기업들은 법인차량을 없애고, 카 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경비도 절감하고 오히려 이용에 따른 만족도까지 올렸다고 하는데 말이죠.

 

 

자가용에 대한 제 생각을 얘기했지만, 저는 사실 외제차를 사는 것에 대해 반대를 하진 않습니다. 다만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전제사항은 붙습니다. 하나는 외제차가 정말 자신이 바라던, 거의 버킷 리스트 중 하나에 해당될 정도의 가치가 있다면 사도 된다고 봅니다.

 

얼마 전 회사 내 결혼을 얼마 남기지 않은 여직원의 남자 친구가 외제차를 샀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남자친구가 평상시에는 항상 절제된 생활을 하는데, 그 외제차(*)만큼은 꼭 사고 싶어 했다네요. 뭐랄까요, 삶의 유일한 로망 중 하나라고 할까요? 뭐 그렇다면, 사야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 저 또한 외제차가 제 버킷 리스트에 있었다면, 그리고 우선 순위에서 높은 순위에 있었다면, 당연히 질렀을 겁니다. 하지만 제 경제관에 차는 이동수단 그 이상의 가치가 없기 때문에, 아직도 17세 청년(?) 누비라2를 몰고 있는 거고요.

 

다른 하나는 경제적 관리 차원의 계획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외제차 소유에 대한 버킷 리스트도 중요하지만, 다른 경제적 목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에 목돈을 투입하는 것은 반드시 재고해 봐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앞에서 말씀드린대로 차는 소모품 이상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이죠. 목돈을 투자할 때는 차를 소유함으로써 얻게 되는 가치와 더불어 향후 들어가는 비용까지 잘 계산하여 해야만 합니다. 만약 그 가치가 덜하다면, 외제차가 아닌 그보다 낮은 급의 차를 살 수 있을 것이고, 그 가치가 적절하거나 이상(버킷 리스트 급으로)이라면, 미리부터 그에 해당되는 목돈을 준비해 놓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차의 구입은 물론, 유지비용까지 문제없이 감당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처럼 2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그리고 감당할 수 있다면 외제차를 사든, 고급차를 사든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반대로 그렇지 못하다면, 그저 욕망에 이끌리지 말고 다시 한번 잘 생각해 보는게 나중을 위해서라도 좋지 않을까요?

 

 

 

차칸양(bang_1999@naver.com) 올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출간소식> 인생은 소풍처럼, 김달국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꿈벗인 김달국님의 신간 인생은 소풍처럼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행복한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지혜를 짧은 글 150편에 담아 엮은 책으로, 남편 김달국님이 잠언시를 쓰고, 아내 서정애님이 찍은 사진으로 꾸몄다고 하네요.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나를 어떻게 키우고, 상대와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공부하면서 책도 쓰고 강연을 해 온 저자의 지난 10여 년간의 노하우가 다 녹아있는 책이라 하니 많은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http://www.bhgoo.com/2011/811956

 

2. <출간소식> 여행하는 인간, 문요한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1기 문요한 연구원의 신간, 여행하는 인간이 출간되었습니다. 정신과 의사라는 생업을 접고 안식년을 보내는 동안 떠났던 여행을 통해 느꼈던 내용들을 책으로 정리했다고 하는데요, 새로움, 휴식, 자유 등의 주제로 여행을 깊이 들여다보는 이 책은 스스로 삶의 속도를 조절하고 오롯이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http://www.bhgoo.com/2011/811639

 

 

 

 

 

 

IP *.122.139.253

프로필 이미지
2016.08.02 07:53:02 *.122.139.253
미국에 거주하고 계신 Michael Kim님의 답변 메일

미국의 중상류층에서 고급차 샀다고 으스대는 사람을 본 기억이 없습니다. (부모가 사 준 비싼 차를 자기차라고 자랑하는 젊은이들 –특히 한국인, 중국인들은 여러명 보았습니다.)
제 가족차들 중 하나가 1997년형 켐리 3.0 인 데, 현재 156,000 마일 (250,000킬로) 주행에 에어콘 완벽하고, 앞으로 얼마나 더 사용하게 될 지, 최소 5년 이상은 더 쓸 수 있을걸로 봅니다.
자동차의 부품, 소모품들 (generator, engine belt, absorber, window motor, etc.) 은 고장시에 바디샵에서 교환하여야하나, 자동차엔진의 내구성은 30년 이상 멀쩡한 것임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는 소모품이므로 투자한 만큼 그날로부터 감가상각되어 가치가 없어지므로, 주관적 자기만족도를 제외하면 투자가치는 없다고 봐야겠지요.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가 독립된 가정의 가장으로서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해 나가야할 젊은이들에게 자동차 구매에 대한 올바른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가용에 대한 여러 생각들"에 박수를 보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6 좋은 글은 객관성을 포착한다 file 연지원 2016.07.25 1252
1835 '자두'는 유년 시절의 추억이다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7.26 2237
1834 별미만두를 먹는 일요일 file 한 명석 2016.07.27 1316
1833 순정 유감 김용규 2016.07.28 1286
1832 고대 올림픽의 부침을 생각하며 연지원 2016.08.01 1238
» 자가용에 대한 여러 생각들 [1] 차칸양(양재우) 2016.08.02 1256
1830 마흔아홉, 오늘과의 동행 [1] 書元 2016.08.03 1094
1829 위대한 선물 한 명석 2016.08.03 1182
1828 그대와 내가 만나 숲이 되지 않는 이유 김용규 2016.08.04 1431
1827 예순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휴가단상 file 재키제동 2016.08.05 1425
1826 아날로그 소금의 맛 차칸양(양재우) 2016.08.09 1674
1825 <여름독서1> 김현정의 내숭 file 한 명석 2016.08.10 1480
1824 저항해야 할 대상은 그것이 아니다 김용규 2016.08.11 1164
1823 예순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프로그램 재키제동 2016.08.12 1487
1822 마흔아홉, 출발의 설렘 [1] 書元 2016.08.15 1124
1821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1편) 차칸양(양재우) 2016.08.16 1351
1820 <여름독서2> 너무 잘 읽히고 깜찍하고 야무진- 나의 토익만점 수기 한 명석 2016.08.17 1238
1819 타인의 평가 김용규 2016.08.18 1452
1818 예순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 선물 재키제동 2016.08.19 1447
1817 인문 고전 읽기를 위한 7가지 조언 file 연지원 2016.08.22 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