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433
  • 댓글 수 0
  • 추천 수 1
2016년 8월 4일 23시 56분 등록

 

1970, 내가 아직 글도 모르고 제대로 뛰지도 못하는 어린 아이일 때 정희성 시인이 한 신문에 <>이라는 시를 기고했습니다. 그 시는 1978창비에서 발행한 저문 강에 삽을 씻고라는 시집에 실려 있습니다. 나는 선생님의 그 시, <>을 참 좋아합니다. 허락을 받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출처를 명확히 하고 여기 전문(全文)을 옮겨 보겠습니다.

 

 

숲에 가보니 나무들은

제가끔 서 있더군

제가끔 서 있어도 나무들은 숲이었어

광화문 지하도를 지나며

숱한 사람들이 만나지만

왜 그들은 숲이 아닌가

이 메마른 땅을 외롭게 지나치며

낯선 그대와 만날 때

그대와 나는 왜

숲이 아닌가

 

나무들은 제가끔 서 있으면서도 숲을 이루는데, 인간으로 사는 당신과 나는 왜 이 메마른 땅을 외롭게 살아가면서도 숲을 이루지 못하는가 묻고 있는 저 시는 내가 숲을 텍스트로 삼아 나의 갈 길, 인간의 갈 길을 참구하는 데 있어 늘 염주나 묵주 같은 노릇을 하고 있는 시입니다.

 

당신도 고독이 싫어 누군가를 사랑하고 하지만 다시 그 사랑으로 인해 고독해 진 적이 있겠지요? 당신도 혹 숲처럼 푸르고 깊고 다채롭고 향기로운 주변을 만들고 싶어 여럿이 무엇인가를 도모하였지만 다시 그 도모 때문에 부딪히고 깨지고 마침내 메마르고 진력(盡力)난 적이 있는지요? 나는 그러해서 저 시를 화두처럼 붙들고 살았습니다. 풀과 나무가 메마른 땅에서 시작해서 끝내는 촉촉하고 그윽한 숲으로 깊어가는 그 비밀스러운 원리를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내가 알아낸 이 은미한 이야기의 전체 생각은 언젠가로 작정하고 있는 책을 통해 소개하기로 하고 오늘은 다만 가장 기본적인 지점에 대한 나의 생각 한 가지만을 전하겠습니다. 당신과 내가 만나 숲이 되지 못하는 첫 번째 이유는 아마도 당신과 나 둘 중 한 쪽이, 아니면 둘 다 아직 각자 제 삶의 주인이 되지 못한 채로 만나서 일 것입니다. 제 삶에 주인이 아닌 생명이 숲의 일원을 이루는 모습을 나는 본 적이 없습니다. 또한 누군가를 노예로 삼아 제 삶을 지탱하려는 존재 역시 숲에 없었습니다. 누군가를 주인으로 섬기며 살려는 노예 또한 없었습니다.

그러니 사랑해서 고독해지지 않고 사랑을 통해 숲을 이루고 싶다면 어느 시인의 오래된 시구처럼 홀로 선 둘이 만나야 할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

여우숲 8월 인문학 공부모임 안내

 

얼마 전 누군가가 당신과 나를 개와 돼지에 비유했습니다.

우리는 백성으로 사는지, 시민으로 사는지, 내 삶과 이 사회와 국가의 주인으로 사는지, 예속된 존재로 사는지, 근대 이후 등장한 시민법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장했는지, 우리의 헌법은 우리를 무엇이라 규정해 주고 있는지, 우리가 제 삶의 주인이 되는 것을 가로막는 부정의의 실체는 무엇인지 등이 궁금해졌습니다. 이러한 배경과 문제의식을 담아 8월 인문학 공부모임을 아래와 같이 준비했습니다.

 

1. 이번 공부를 이끌고 강의해 주실 선생님은

법조인입니다. 하지만 더 없이 편하고 균형감 있으면서도 유머러스한 강의로 유명하신

최강욱 변호사 입니다. 참여자들과 함께 위에 제기한 문제의 답을 찾아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최강욱 변호사 소개

: 서울법대, 동 대학원 법학과 졸업. 전 국방부 수석검찰관, 대한변협 인권위원, 민변 사법위원장 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한국투명성기구 이사, 뉴스타파 자문위원)

 

2. 강의 제목은 <법과 인권, 그리고 정의>입니다.

 

3. 일자 : 201686() 15:00 ~

 

4. 상세 안내 및 신청 : 여우숲 홈페이지(www.foxforest.kr) ‘여우숲 소식참조

 

IP *.120.7.3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6 알피니즘에 관하여 장재용 2021.11.02 1432
2635 경제/경영/인문의 균형이 중요한 이유(이론편) 차칸양(양재우) 2015.06.09 1433
2634 월화수일금토일 연지원 2015.08.10 1433
2633 [용기충전소] 한계가 가능성이 되는 순간 [1] 김글리 2021.10.22 1433
» 그대와 내가 만나 숲이 되지 않는 이유 김용규 2016.08.04 1433
2631 [화요편지] '요가'가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file 아난다 2020.12.01 1434
2630 나의 기준 [1] 어니언 2021.11.04 1434
2629 공포의 4교6비 [2] 차칸양(양재우) 2015.09.08 1435
262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로마네 콩티 살인 사건 2 file [4] 알로하 2019.05.18 1436
2627 [화요편지]일상, 지속가능한 성장을 꿈꾸는 생활인을 위한 LIFE MBA [2] 아난다 2021.11.23 1436
2626 당신들의 사랑에 보내는 태클 김용규 2016.03.10 1438
2625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51] J 수석의 고민, 이놈의 회사 당장 옮기던지 해야지 [1] 습관의 완성 2021.03.21 1438
2624 불황시대의 리더십이란 차칸양(양재우) 2015.10.13 1439
2623 여든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커리어 로드맵 [6] 재키제동 2017.02.10 1439
2622 못 생겨서 감사합니다! 한 명석 2015.10.21 1440
2621 아흔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여성 리더 [4] 재키제동 2017.03.17 1440
2620 이름에 하늘을 담은 자 [1] 장재용 2021.05.25 1440
2619 [월요편지 130] 50대 이상 퇴직자들의 현실 [1] 습관의 완성 2022.12.11 1440
2618 여든한번째 편지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 프로젝트 file 재키제동 2016.12.02 1442
2617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3편) 차칸양(양재우) 2016.09.06 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