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27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8월 26일 00시 04분 등록

 

전북 순창. 군립도서관의 강연 초대는 이곳이 처음입니다. 인구가 3만 명밖에 되지 않으니 내 고장 충북 괴산보다도 작은 군입니다. 하지만 고등학교가 세 개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우리 군에는 겨우 하나의 고등학교가 있습니다. 우리 군에는 군이 설립한 도서관은 아예 없습니다. 다 낡고 허름한 건물과 시설에 장서도 별로 없어 아이들이나 군민으로부터 사랑이라곤 전혀 받지 못하는 공공도서관이 하나 있을 뿐이지요.

 

군이 설립한 도서관은 크지 않았습니다. 작지만 아름다웠고 활력이 넘쳤습니다. 약속한 저녁 식사 시간에 조금 늦게 도착했지만, 문화관광과를 책임지고 있는 과장과 지역 문인협회장 등이 마중을 하고 함께 밥을 먹었습니다. 얼마나 이 도서관의 운영에 관과 민이 함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군수는 올해를 문화융성의 해로 선포했고, 문화 융성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확충하고 활성화시키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했습니다. 올해 순창군은 영화관과 미술관을 건립했다고 합니다. 광주로 나가서 놀던 청소년들이 방학 동안 읍내에 머물며 영화관이 매진 행진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함께 식사한 고등학교 선생님 말씀에 따르면 도서관이 활성화되면서 PC방을 전전하던 아이들의 숫자가 확연히 줄었다고 했습니다.

 

군립도서관은 올해만 700여회의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준비했고 절찬 진행 중이라고 했습니다. 그 중의 한 프로그램으로 내게 총 3회에 걸친 강연을 부탁해 왔던 것입니다. 2층의 강연장을 둘러본 뒤 예의 그렇듯 강연을 시작하기에 앞서 나는 담배 한 대를 피고 싶었습니다. 도서관 뒤 안을 거쳐 밖으로 나왔습니다. 근대를 품고 있는 양식의 가옥과 건물들이 좁고 긴 골목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골목 어느 지점에서 담배에 불을 붙이고 주변을 찬찬히 둘러보았습니다. 오래되었지만 익숙하고 정겨운 풍경을 따라 시선을 주다가 오래된 가옥의 대문 위에 걸린 간판에 눈길이 머물렀습니다.

 

금산여관

반듯한 네모 모양의 나무 판자에 하얀색 페인트를 칠하고 그 위에 검푸른 색 페인트를 써서 한글로 눌러쓴 간판이었습니다. 하얀색 배경 페인트의 일부 구석은 제멋대로 일어서 있었고 글씨의 일부도 슬며시 지워져가고 있었는데 그 모습이 마치 70년대의 풍경처럼 느껴졌습니다. 간판 아래 대문은 반쪽만 열려 있었습니다. ‘여관인가 여인숙인가?’ 호기심이 일어 슬며시 안을 들여다보았습니다. 대문 안쪽 벽에 붓으로 눌러쓴 제법 긴 글이 하얀색 벽을 시처럼 채우고 있었습니다. 호기심이 더욱 커져 슬며시 안쪽으로 고개를 드밀었습니다.

 

‘-반대-

가고싶어 / 가는 길이니

 

어두워도 / 돌부리에 넘어져 / 피가 흘러도

툴툴 털고 씨익 웃으며 /걸어가리라.

가고싶어 가는 길이니.

 

넘덜네가 안간다 / 돌아서던 길이라 / 분명 외로울 터이지만 / 난 가야지

가고싶어 / 가는 길이니

이천십사년 오월 금산여관의 반대를 겪으며 씀이렇게 쓰여 있었습니다.

 

강연 시간이 급해 더는 살피지 못하고 강연장으로 들어갔고 두 시간을 기쁘게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인문정신에 대한 이야기로 1강을 마무리지으며 나는 군민들에게 저 반대라는 글을 읽어주었습니다. 살고 싶은 삶의 그림을 그리고, 그 삶을 향해 자신을 투신하는 것이야 말로 얼마나 아름다운 인문정신인가 강조했고, 이 고장에 그런 사람들이 넘쳐나니 얼마나 자부심을 가질만한 곳인가 역설했습니다.

돌아와 검색을 해보니 금산여관은 1930년대에 만들어진 여관이었고 순창은 고추장보다 금산여관이라는 어느 여행자의 글을 비롯해 많은 여행객들의 칭송이 쌓여 있었습니다. 두 번의 기회가 더 있으니 나는 금산여관을 더 깊게 느끼고 순창의 또 다른 인문주의자들을 만날 날이 있는 셈입니다. 기다려집니다.



IP *.120.7.3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6 머스매같던 그녀가 블록버스터영화의 여주인공처럼 섹시해진 이유 file [1] 한 명석 2016.06.29 1295
2855 [수요편지] 번즈 나이트 [2] 장재용 2019.02.21 1297
2854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삶이 그대를 속일 때... file 알로하 2020.07.12 1297
2853 讀書如遊山 [1] 장재용 2021.10.12 1297
2852 [화요편지] 스승이 그리운 시간 [2] 아난다 2021.05.11 1298
2851 마흔아홉, 그리운 이를 만나다 3 書元 2016.02.06 1299
2850 책, 세심하게 읽지 마라 연지원 2016.01.25 1300
2849 누군가의 무엇 書元 2015.09.19 1301
2848 [월요편지 131] 노후자금 얼마나 필요할까? [1] 습관의 완성 2022.12.18 1301
2847 지정의는 매혹적인 목표다 연지원 2016.04.18 1302
2846 [화요편지] 오늘 내게 허락된 글 [2] 아난다 2021.04.27 1302
2845 [월요편지 65] 내 아이의 인성과 공부습관, 이것에 달려있다 [1] 습관의 완성 2021.06.27 1302
2844 [화요편지]'어떻게 보여지는가?'와 '어떻게 느끼는가?' 아난다 2021.07.05 1302
2843 저는 선택했습니다! 한 명석 2015.12.16 1303
2842 [용기충전소] 보고도 보이지 않는 배 [1] 김글리 2021.08.06 1303
2841 마지막까지 길에 있으라 [2] 장재용 2021.11.16 1304
2840 [화요편지]엄마의 세상이 열리는 순서, 愛身愛家愛國愛天下 file 아난다 2020.03.23 1305
2839 노래 한곡이 내 맘으로 무찔러 들어왔다 [1] 차칸양(양재우) 2016.11.08 1309
2838 [라이프충전소] 하나가 바뀌면 모든 게 바뀔 수 있다 [6] 김글리 2022.01.14 1309
2837 언제나 당신이 옳다 한 명석 2016.04.06 1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