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한 명석
  • 조회 수 101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10월 19일 18시 07분 등록

매일 하루를 시작할 때 그날이 저무는 시점으로 날아가서, 하루가 다 지나갔을 때 성취하고 싶은 세 가지 일이 무엇인가 자문하고 그 일만 한다. 주간 단위로도 같은 원칙을 적용한다.

 

하루 동안 에너지와 집중력이 최고조에 이른 황금시간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업무를 처리한다.

 

장보기, 청소, 면도, 빨래...처럼 가장 하기 싫은 허드렛일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양만큼 쌓아 놓았다가 한 번에 처리하는 것이 가장 생산적이다.

 

한 주에 90시간 일했을 때 성취한 것이 20시간 일했을 때보다 고작 쥐꼬리만큼 많을 뿐이다. 너무 오래 일하지 마라.

 

도전과제가 작을수록 성공적으로 성취할 가능성이 높다. 하루 운동 시간을 5분으로 제한해보라. 한 주가 지나는 사이 더 열심히 운동하려고 혈안이 될 것이다.

 

뭔가를 성취하는 것이 없다면 분주함은 게으름과 전혀 다를 바 없다. 멀티태스킹이 더 생산적이라는 것은 오해다. 뇌는 동시에 두 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두 가지 일 사이를 빛의 속도로 오갈 뿐이다. 한 번에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 싱글태스킹이 훨씬 생산적이다.

 

마음챙김이나 명상이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는데, 마음챙김은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의식적으로 해내는 기법이다. 명상을 하면 주의력(더 나아가 뇌)에 대한 통제력을 회복하고 원하지 않을 때 생각이 방랑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운동이 뇌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나면 분명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싶어질 것이다. 운동은 뇌 기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가져야 할 단 한 가지 강력한 도구라고 말한 이도 있다.

 

 

생산성에 대한 책을 하나 읽었다. ‘크리스 베일리<그들이 어떻게 해내는지 나는 안다>. 보통 생산성은 내 관심 밖의 주제인데 이 저자는 너무 매력적이었다. 위의 글귀들은 이 책에서 뽑은 것인데 어떤가? 상식으로 알고 있었지만 실천하지 못하는 것도 있고, 직장인으로서 그림의 떡인 내용도 있을 것이다. 저자는 10대 시절부터 생산성에 꽂혀 있었다고 한다. 대학을 졸업하면서 이 주제에 집중하기 위해 취업을 마다하고 독자적인 방법을 택했다.

 

숱한 실험을 하며 생산성에 관해 체득한 것을 블로그에 올리는 작업이었는데, 어찌나 빠르게 주목을 받았는지 1년 목표의 실험을 겨우 절반 진행한 201310월에 TED에서 인터뷰 요청을 받는다.

 

그가 한 실험에는, 몇 주일을 거의 뜬 눈으로 지새우기, 카페인과 설탕을 식단에서 배제하기, 열흘 동안 철저하게 고립된 채 생활하기, 3개월 간 휴대전화 사용을 하루 1시간으로 제한하기, 순수 근육량 4킬로그램 늘리기, 매일 아침 530분에 기상하기.... 온갖 것이 들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생산성의 양적 질적 면모를 몸으로 체득하기 위한 것이었는데나는 이 부분에 강하게 끌린다.

 

평소에 이론적인 공부보다는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연구에 쏠리는 편인데 그래서인지 책쓰기의 방법론으로도 늘 실험을 염두에 두어 왔다. 브랜드가 없는 저자지망생들이 쓰는 책이 단기간에 성과를 내고 주목을 끌기 위해서는 직접 해 보는 것이 최고라는 생각이었다. 그런데 이 저자가 멋들어지게 나와 비슷한 생각을 구현한 것이다.

 

저자의 실험이 더욱 매력적이었던 것은 저자가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이유 때문이다. 저자는 이윤극대화 같은 것을 위해 생산성을 연구한 것이 아니라 인생을 통째로 구상하고 통제하는 데 흥미가 있음을 거듭 밝히고 있다. 책의 곳곳에서 업무와 프로젝트, 책무로부터 뛰어올라 1만 피트 상공에서 내 삶을 내려다보는 희열을 언급할 때마다 나도 덩달아 창공으로 치솟는 느낌을 받았다. 이렇듯 시야가 넓고 높으며, 상상한 것을 실천에 옮기는 실행력까지 갖추고 있으니 아주 크게 될 것 같다.

 

저자는 이 책을, 생산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가장 가치 있는 일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말로 시작해서, 생산성 프로젝트의 결론이 자기 자신에게 관대해지기라는 것으로 끝낸다. 생산성에 대한 모든 연구를 섭렵하되 일일이 몸으로 실험하며 자기 이론을 만들고, 스스로 판을 만들어냈다. 아직 젊은 친구가 뇌과학은 그렇다치고 명상이나 마음챙김에도 일가견이 있는 것을 보니 그 탐구심에 경외심까지 생기려고 한다. 나에게 너무 관대한 나머지 생산성에 빵꾸가 난 내 행태에 빨간 불이 켜졌다. 꼭 해야 하는 업무는 생산적으로 해 내고, 그럼으로써 확보된 나머지 시간에 더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일을 많이 하고, 이 모든 것이 내가 그린 그림 안에서 서로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일, 멋지지 않은가!


IP *.153.200.10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16 ‘시’로 말해요 – 두번째 이야기 [4] 제산 2017.04.24 1029
3315 [수요편지] 주인과 노예 장재용 2019.05.01 1029
3314 [용기충전소] 한글날, 쉬어갑니다 file 김글리 2020.10.09 1029
3313 [월요편지 90] 유튜브 구독자 3,000명이 되면 생기는 일 [4] 습관의 완성 2022.01.16 1029
3312 새로운 여행이 시작되었다 연지원 2016.10.17 1030
3311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신들의 자손이 먹는 치즈-페타(Feta) [3] 알로하 2019.03.02 1030
3310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김용규 2016.11.17 1031
3309 [수요편지] 일상과 여행, 가을을 보내며 [1] 불씨 2022.11.23 1031
3308 [수요편지] 인생은 B와 D사이의 C [1] 불씨 2023.04.18 1031
3307 다시 회사로 [2] 어니언 2023.03.02 1032
3306 [용기충전소] 자신만의 사막을 건너는 법 [4] 김글리 2020.08.28 1033
3305 일상에 스민 문학-대통령 후보 토론회와 고골의 <외투> file [2] 정재엽 2017.05.03 1034
3304 글쓰기 공간 <브런치>에서의 3년을 돌아봅니다 [2] 차칸양 2018.07.10 1034
3303 [화요편지]책, 엄마를 위한 '어디로든 문' file [3] 아난다 2019.04.02 1034
3302 [수요편지] 멀리서 보면 비극, 가까이서 보면 희극 불씨 2023.07.12 1035
3301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최종편) [6] 차칸양 2017.08.22 1036
3300 내 수익은 변화수용력에 숨어 있다 file 이철민 2017.09.14 1036
3299 목요편지 - 대나무 이야기 [1] 운제 2020.07.09 1036
3298 어쩌다 그것이 된 우리는 김용규 2016.10.07 1037
3297 우리가 ‘흙수저’라고? - 첫번째 이야기 [6] 제산 2017.02.26 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