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6년 10월 28일 07시 19분 등록

저는 한 달에 한 번 코칭을 받습니다. 코치로 활동하는 사람이 코칭을 받는다니 의아하신가요? 코치들도 코칭을 받습니다. 셀프 코칭이 가능하면 좋겠지만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리고 누군가의 인정과 지지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코치들은 코칭의 힘을 알기 때문에 코칭에 투자합니다. 저 역시 그런 맥락에서 2년이 조금 안되는 기간이지만 코칭 받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얼마 전 있었던 코칭 세션에서 저는 큰 발견을 했습니다. 제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저의 어마어마한 문제를 말입니다.  


처음 생각했던 코칭 주제는 책쓰기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9월부터 매주 한 꼭지씩 '여성팀장 리더십'에 대한 글을 블로그에 올리고 있는데 이것들이 영 성에 차지 않습니다. 나비커리어맵 연구원들이 매주 월요일 정오까지 과제를 올리고 있어 고통분담 차원에서 시작한 일이었는데 (더 이상 책쓰기를 미루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도 있었죠) 갈수록 원고가 부실해지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주요한 이유는 책쓰기에 시간과 노력을 충분히 투자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쓴 글을은 그동안 블로그에 모아 놓았던 자료와 제 경험, 그리고 생각을 버무려 얼기설기 엮에 놓은 것들입니다. 하고 있는 일이 많다보니 책 주제에 대한 연구가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됩니다. 마감은 지켜야 하기에 가용한 정보들을 나열하는 수준의 글밖에 되지 않는 것입니다. 책에 대한 저의 기대수준이 높아진 것도 또 하나의 이유입니다. 예전에는 책쓰기가 무엇인지 모르고 '그냥 막' 썼습니다. 일주일에 책을 한 권 정도 읽고 한주동안 있었던 일을 떠올리며 책의 내용과 제 경험, 생각을 정리해 썼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책을 세 권 정도 쓰고 나니 이제는 기대수준이 한껏 높아졌습니다. 능력도 안되고 노력도 안하면서 눈만 높아진 제 모습이 부끄럽네요.       


그렇다면 해결책은 무엇일까요? 책에 더 집중하기 위해서 현재 하고 있는 활동들을 줄이는 것입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가장 소중한 것에 시간과 노력을 집중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첫째는 거절하기입니다. 이런저런 경로로 일이 들어오면 거절하지 못하고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는 핵심이 아닌 일은 과감하게 거절해야 할 때입니다. 둘째는 원칙 깨기입니다. 원칙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깨는 것이라니 이해가 안 되지요? 저는 제가 지킨 원칙을 어떤 일이 있어도 지키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이런 태도로 인해 많은 것을 성취하기도 했지요. 하지만 지금은 그 원칙(매주 월요일 글 올리기)이란 놈에 얽매여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습니다. 셋째는 지금껏 가지고 있던 기준을 점검하기입니다. 저는 일정 매출 이상을 올려야 한다는 강박이 있습니다. 일이 있으면 하고 없으면 노는 프리랜서가 아니라 1인 기업가는 일정 성과를 얻기 위해서 자신의 일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다 보니 '돈이 되는 일'을 거절했습니다. 매출 목표를 채워야 하니 억지로 하게 되는 것입니다.


코칭을 통해 새로운 원칙을 세웠습니다. 앞으로는 매출 목표를 낮추고 제가 추구하는 의미와 가치에 부합되는 일에 집중할 것입니다. 많이 벌지 못하더라도 삶에 더 많은 시간과 여유를 부여할 것입니다. 그래서 덜어내기 프로젝트를 실행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기고하던 원고를 정리 했습니다. 일주일에 한 번 있는 봉사활동도 중단했습니다. <재키가 만난 구본형의 사람들> 토크쇼는 12월까지만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수행 중인 프로젝트 하나는 11월 중으로 정리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책쓰기도 잠정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제가 세운 원칙에 끌려다니는 일을 더 이상 하고 싶지 않아서요.


곰곰이 생각해보니 저는 항상 '바쁘지 않은 삶, 쫓기지 않는 삶'을 원했습니다. 하지만 회사를 그만두고서도 항상 이런저런 일로 분주했죠. 여러가지 일을 하고 있지만 만족하지 못했고 더 잘하고 싶은 욕심이 저를 괴롭혔습니다. 그래서 회사를 떠나서도 저는 여전히 정신없는 삶을 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좀 한가하냐구요? 여전히 그리 한가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예전보다 책쓰기에 더 집중하고 있기는 합니다. 그렇게 조금씩 변화하는 것이지요.  


그대의 삶에서 막혀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그것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혹 저처럼 삶에서 덜어내야 할 것은 없는지요?

그대는 어떤 변화를 원하나요?  



[알림] 토크쇼 <재키가 만난 구본형의 사람들> 아홉번째 시간이 11월 18일 금요일 저녁 7시 30분 인플로우에서 마련됩니다. 오병곤 연구원과 '내인생 첫책쓰기'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니 책쓰기에 관심이 있는 직장인이라면 놓치지 마세요. 곧 공지하겠습니다.  

IP *.35.229.1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6 어기적거리며 걷고 있다면 연지원 2016.10.24 1019
1775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마지막편) 차칸양(양재우) 2016.10.25 1250
1774 학자나 문인이 아닌, 일반인이 쓴 책중 베스트 한 명석 2016.10.26 1319
1773 정의…2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0.27 948
» 일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덜어내기 재키제동 2016.10.28 959
1771 다시 걷습니다 書元 2016.10.29 986
1770 심장의 두근거림을 듣는 독서 연지원 2016.10.31 1141
1769 인공지능의 시대, 경제는 어떻게 변하게 될까? 차칸양(양재우) 2016.11.01 1408
1768 정의…3 사회적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1.03 1017
1767 일흔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운동 코칭 재키제동 2016.11.04 1350
1766 아뿔싸! 또 글이라니! 연지원 2016.11.07 996
1765 노래 한곡이 내 맘으로 무찔러 들어왔다 [1] 차칸양(양재우) 2016.11.08 1312
1764 선수들 - 최인아책방에 다녀와서 file 한 명석 2016.11.09 1280
1763 정의4-일어서야 할 시간 김용규 2016.11.10 5526
1762 일흔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 한 편 file 재키제동 2016.11.11 1122
1761 가을 뒤안길 書元 2016.11.12 1013
1760 비전과 목표가 중요한가 연지원 2016.11.14 1167
1759 트럼피즘(Trumpism),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키워드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1.15 990
1758 이별은 불시에 찾아온다 file 한 명석 2016.11.16 1214
1757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김용규 2016.11.17 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