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연지원
  • 조회 수 107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11월 28일 16시 17분 등록


"이렇게 살 수도 없고 이렇게 죽을 수도 없을 때

서른 살은 온다."


최승자 시인의 시 <삼 십 세>의 도입부다. 나는 '서른 살' 대신 '마흔 살'을 넣으며 읽어야 하는 나이가 됐다. 서른이든, 마흔이든, 쉰이든 최승자 선생의 시 두 행에 공감하는 이가 있을 것이다. 누구나 서른 살을 맞지만, 아무나 서른 살이라는 평범한 소재로 울림을 주는 시를 짓지는 못한다. 시인의 존재 이유다. 그렇다면, 나는? 그리고 우리는? 우리에게도 존재 이유가 있다. 시인이 아니니까 시는 짓지 않아도 된다. 원했던 삶이 아니라면, 시작(詩作)을 하는 대신 스스로를 물음 앞에 정직하게 세울 필요는 있으리라. 어떻게 살 것인가?


"내 속에서 솟아 나오려는 것,

바로 그것을 나는 살아보려고 했다.

왜 그것이 그토록 어려웠을까?" - 헤르만 헤세


<데미안>의 첫 구절이다. 평생 자기실현을 탐구하고 도전했던 대문호도 어려워했던 '자기다움'이다. 나 답게 살지 못한 날들을 자책하지 말자는 말이다. 자기다움이나 인생의 비전은 포획이 아닌 추구의 대상이다. 이룰 때까지 구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마흔을 444일 앞둔 오늘, 나는 다시 꿈을 꾸었고, 실현 계획을 세웠다. 지난날의 이루지 못한 꿈을 그대로 옮겨 적으면서 자괴감이 들었지만(이같은 일에 Ctrl+V 키는 사용할 필요가 없어야 하는데), 뻔뻔해지기로 했다. 나는 마치 목표를 처음 세우는 것처럼 문서 파일을 만들었다. 이름하여, "꿈꾸는 마흔"이다.


"마흔 살이란 하나의 큰 전환점이어서,

무언가를 선택하고 무엇인가를 뒤에 남겨두고 가는 때가 아닐까,

하고 생각했다.” - 무라카미 하루키

 

사실 마흔을 생각하면 아쉬움부터 몰려온다. '쓴다'는 행위를 나의 근원적인 존재 이유라고 느끼면서도, 그 존재 이유를 충분히 실현하지 못했다. 삼십 대의 출발은 황홀했다. 서른 살에 첫 책을 출간했다. 이후 몇 년간 출판사에서의 러브콜이 잦았지만, 더 이상의 출간은 없었다(두 권의 공저가 있고, 원고 유실 후에도 세 편의 원고를 완성했지만, 결국 출간은 아니었다). 결과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나는 줄곧 썼지만, 출간은 뜸했다. 작가의 이력으로서는, 30대 전체가 ‘상실의 시대’였다. 달랑 한 권 출간이라니! 원고를 잃었던 일과 출간 기회를 스스로 박차버린 결과다.


"나이를 먹는 것은 그다지 두렵지 않았다. 그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어느 한 시기에 달성해야 할 무엇인가를 달성하지 않은 채로

세월을 헛되이 보내는 게 두려웠다. 그건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니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여행 에세이 <먼 북소리>의 프롤로그(본문은 시간 때우기용으로는 괜찮지만, 유익을 얻자면 프롤로그만 읽을 만한 책)에서 한 말이다. 나 또한 인생의 특정 시기에 하면 좋을 법한 일들을 해내지 못한 채로 그 시기를 보내긴 싫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할 때도 많지만, 많은 경우 나이는 숫자 이상이기도 하다. 중년의 사랑은 대학생들의 사랑과는 다르다. 좋아하는 순수한 감정만으로 사랑하기엔 아무래도 10~20대가 유리하다. 우리네 인생에는 분명 꿈과 이상 그리고 희망이 필요하지만, 넘쳐나는 '현실'도 직시해야 한다.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 체 게바라


20대에는 "나는 꿈꾸는 청년입니다" 류의 패기 넘치고 엉덩이가 들썩거리는 글을 썼다. 지금은 노력해도 20대의 나처럼 글을 쓰기는 힘들다. 그 시절로 돌아가지 못해도 대안은 있다. 다음과 같이 쓸 수는 있으니까. "나는 다시 꿈을 꿉니다. 패기가 시들해 보인다고요? 그러게요, 저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저도 패기가 싫은 건 아닙니다. '현실'과 맞닿아 살다보니 잠시 움츠러들었을 뿐입니다. 여전히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가깝게는 황홀한 기쁨으로 마흔을 맞겠다는 꿈, 멀게는 '작가 연지원'이 되겠다는 꿈이." 


지난주에는 두 개의 도전을 감행했다. 탈고 직전의 원고를 투고했다. 다음의 메시지와 함께. "관심 있는 출판사와 마무리 작업을 함께 하고 싶어서 저자 기준에서 90% 완성된 원고를 보냅니다." 이러한 방식의 투고는 완벽주의가 심한 내게는 변화였고 용기였다. 존경하는 작가의 소설을 읽고 쓴 비평 에세이를 그 작가에게 보내기도 했다. 응답이 없고 실패를 겪더라도 계속 도전할 것이다. 오늘 종이에 적고 가슴에 품은 꿈을 모두 이룰 때까지! 스물 아홉의 나는, 서른이 불청객처럼 느껴졌었다. 서른 여덟의 나는 마흔을 꽤나 반갑게 맞이하고 싶다.


IP *.6.225.4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56 [월요편지 55] 3040 직장인, 월급 독립 앞당기는 3가지 기술 습관의 완성 2021.04.18 1062
3255 방문 동기를 높여라 이철민 2017.07.13 1063
3254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은하수가 담긴 와인 file 알로하 2019.09.22 1064
3253 백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완벽주의 재키제동 2017.06.02 1065
3252 [목요편지] 태풍이 온다 [1] 운제 2018.08.23 1066
3251 익어가는 수박을 위한 변증법 [2] 장재용 2020.09.08 1066
3250 보통사람이 맞이할수 있는 최고의마법 file 한 명석 2016.12.14 1067
3249 임원이 되면 얻는 것 그리고 놓치는 것들(전편) [2] 차칸양 2017.11.07 1067
324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시인과 와인의 나라 2 file 알로하 2020.01.12 1067
3247 [월요편지 17] 말 안 해도 내 맘 알지? 그럴 리가요? file 습관의 완성 2020.07.19 1067
3246 적막의 날을 그리며 김용규 2016.12.22 1068
3245 [수요편지 2- 첫 만남] [4] 수희향 2017.03.22 1068
3244 어쩌면 산다는 것은 경험이 전부인지도 모른다 file 한 명석 2017.01.11 1069
3243 [화요편지]<아이를 기다리는 시간>에게서 배운 것들 file [4] 아난다 2019.03.19 1069
3242 [화요편지] 돈, 당신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기까지 file 아난다 2020.05.26 1070
3241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2] 내가 26년 간 피우던 담배를 끊는데 성공한 결정적 방법 [1] 습관의 완성 2020.08.23 1070
3240 [월요편지 133] 40대 50대를 위한 가장 확실한 노후 준비 2가지 습관의 완성 2023.01.01 1071
3239 [라이프충전소] 기억의 궁전, 들어보셨나요? [1] 김글리 2023.03.17 1071
3238 [수요편지3- 책읽는 어른남자] [4] 수희향 2017.04.12 1072
» 서른은 불청객처럼 왔다 연지원 2016.11.28 1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