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6년 11월 29일 07시 39분 등록

부서 회식을 하던 중 갑자기 핸드폰 진동이 울렸습니다. 광주에 있는 회사 후배 찬종(가명)이었습니다. 순간 감이 왔습니다. 아니나다를까 그의 목소리는 자욱한 밤안개마냥 많이 가라앉아 있었습니다.


찬종이는 경제공부 프로그램 에코라이후 4기 멤버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열심히 공부했고, 그 공부를 바탕으로 삶을 더 치열하게 살아가는 중이었죠. 하지만 최근 그의 인생에 커다란 암초를 만났습니다. 지난주 회사로부터 권고사직 통보를 받은 겁니다. 그는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누구보다 열심히, 전심전력을 다해 일했기 때문이었죠. 또한 열심히 일하면 모든 일이 잘 풀릴 것이란 생각이 그의 평소 생활신조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대전 집을 떠나 아무 연고도 없는 서울로, 광주로 발령이 났어도 불평하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일을 처리했고, 성과까지 냈습니다. 하지만 그런 그에게 돌아온 것은 칭찬이나 격려가 아닌 해고통지였습니다.

그와 면담한 상사는 고작 주말 동안 생각해본 후 답을 달라 했습니다. 대체 무슨 생각을 하라는 것일까요? 안 나가고 버틸 것인지, 아니면 고분고분 나갈 것인지? 그는 1년이 못내 아쉽다고 했습니다. 경제 공부를 통해 빚도 갚기 시작하고, 현 자산도 안정적으로 늘릴 자신이 생겼는데, 상황이 이처럼 변하고 나니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헤어나기 어려운 깊은 늪에 빠진 것만 같다고 했습니다.

“그만 두려고요.”

전화기 너머 그의 목소리가 힘없이 들려왔습니다. 그 말을 들으며 오히려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그의 몸은 정상이 아닙니다. 외지생활을 하며 스트레스는 물론이고 더 잘 하기위해 무리에 무리를 거듭하다보니 여기저기 아픈 곳이 많았는데, 최근에는 설상가상으로 왼쪽 어깨 주위의 마비증상까지 생긴 겁니다. 몸 상태가 안 좋음에도 불구하고 처음 그만두라는 말을 들었을 때 그는 반발했고, 설사 대기발령을 받을지라도 최소 3년은 무조건 버티겠노라 다짐하고 또 다짐했습니다. 이제 한창인 쌍둥이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스스로 맥없이 물러날 수는 없다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몸이 문제였습니다. 분명 전국의 외지로 소위 뺑뺑이를 돌릴텐데, 정신력으로야 버티겠지만 과연 지금의 몸으로 엄청난 압박을 견뎌낼지 자신할 수 없었습니다. 이런 혼란의 와중에 아내는 결사적으로 반대했습니다. 그러다 죽을 수도 있다고. 만약 당신이 그렇게 허망하게 가버리면 쌍둥이는 어떻게 할거냐며 말이죠. 맞습니다. 일단 살아야만, 그리고 건강해야만 무엇을 하더라도 할 것 아니겠습니까. 그럼에도 그는 자신의 내부로부터 치솟는 분노, 억울함, 자책감 그리고 가족에 대한 책임감에 쉽게 결단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계속해서 남은 빚의 액수가 떠올랐고, 딱 1년만 더 벌 수 있다면 하는 미련이 머리 속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그의 회사 동기 중 1년전 퇴사를 한 친구(칼럼 <후배 양과장의 퇴사를 응원하며>, https://brunch.co.kr/@bang1999/76)가 있습니다. 그 친구는 40대 초반의 나이에 뚜렷한 이유도 없이 부정맥에 의한 심장 정지로 몇 번의 죽을 고비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옆에서 자던 아내가 그때마다 그를 극적으로 살려냈죠. 그 이후 그의 몸 안에는 심장이 멈출 때 충격을 가해주는 ‘자동 제세동기’가 삽입되었습니다. 찬종의 아내는 말하길, 그 친구야 아내가 옆에 있었으니 목숨을 구할 수 있었지만, 찬종은 어쩔 수 없이 혼자생활을 해야하는데 만약 그런 일이 벌어지게 되면 누가 당신을 구할 것이냐며 만류했습니다. 그 말이 백번을 생각해도, 천번을 고민해도 옳았습니다. 그는 결국 포기하기로 했습니다. 그것이 진짜 가족을 위하고 자신을 위하는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그에게 3가지 당부를 했습니다. 3개월은 무조건 건강 만을 위해 쓰라고. 일단 병원에서 제대로 된 치료를 받고 회복을 위해 힘쓰라고. 그래서 건강한 몸을 다시 되찾으라고 말이죠. 그 후의 3개월은 마음껏 놀라고 했습니다. 그동안 못해 본 것, 가고 싶었던 곳을 가족과 함께, 때로는 혼자 실컷 해보면서 가끔 시간이 날 때마다 당장의 일자리가 아닌 앞으로 내가 만들어 가고 싶은 미래에 대해 찬찬히 생각해 보라고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공부의 끈을 놓지 말라고 했습니다. 공부를 통해 생각을 넓히고 스스로를 돌아보며 계속 성장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라 주문했습니다.

저는 찬종이가 이 위기를 무난히 넘기리라 생각합니다. 그는 맡은 일에 진심으로 최선을 다하는 사람입니다. 사실 주위에서 그처럼 열심히 일하는 사람을 별로 보지 못했습니다. 상사와의 관계가 조금 좋지 못해 이런 기막힌 결과를 당한 것뿐이지, 조만간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 쉽게 적응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가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더라도 그는 이보다 더한 일들을 겪었고, 그럼에도 그 위기들을 슬기롭게 헤쳐왔기 때문입니다. 그는 보기보다 훨씬 더 강한 사람입니다.

또한 1년 간의 경제공부를 통해 얻은 경제관은 그가 조금 경제적으로 힘들어 질지라도 스스로를 지켜줄 버팀목이 되어 줄 것입니다. 수입이 줄어들면 그에 맞춰 살면 됩니다. 물론 지금보다 조금 더 삶이 팍팍해지고 불편해지겠죠. 하지만 적은 돈으로도 세상을 아무런 문제없이 잘 살아갈 수 있다는 경제관만 확고하다면, 더불어 행복은 돈의 액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 어디서든 찾아낼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 명심하고 살아간다면, 지금의 위기를 찬종은 큰 무리없이 잘 이겨낼 것이라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번 일을 통해 자신을 향한 아내의 사랑이 얼마나 대단한지 다시한번 알게되지 않았을까요? 그 사랑의 힘으로, 찬종이 다시 한번 힘차게 뛰었으면 좋겠습니다.



차칸양(bang_1999@naver.com) 올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토크쇼 안내 <재키가 만난 구본형의 사람들> 재키 & 차칸양 편(마지막)
토크쇼 <재키가 만난 구본형의 사람들>의 열 번째이자 마지막 시간이 오는 12월 9일(금) 저녁 7시 반에 마련됩니다. 이번 초대손님은... 없습니다. 대신 그동안 토크쇼를 운영해 온 주 진행자 재키(유재경)와 보조 진행자 차칸양(양재우)이 마지막 시간을 꾸미게 될 예정입니다. 재키는 <당신의 커리어 GPS를 켜라>라는 제목으로 경력확장 방법에 대해, 차칸양은 <직장인의 최소한의 경제적 자유(최경자) 만드는 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것입니다. 토크쇼 마지막 편, 많은 분들의 신청과 참여 바랍니다.

2. [출간소식] 『파산수업』 정재엽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2기 연구원 정재엽의 책 『파산수업』이 출간되었습니다. 저자는 소위 말하는 금수저를 가지고 태어나 무엇하나 부러운 것 없는 엘리트의 길을 걸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파산으로 인한 급격한 몰락을 겪으며 그에게 찾아온 것은 낮에는 은행과 채권자들의 독촉과 압박, 그리고 밤에는 공황장애와 대인기피증이었습니다. 그런 그를 일으켜 세워준 것은 문학과 음악이었다고 합니다. 이 책은 제목처럼 파산이라고 하는 큰 충격을 통해 비로소 알게 된 인생의 수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대로 된 인생수업을 원하시는 분들의 일독 바랍니다.
IP *.122.139.25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56 일흔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그림자 재키제동 2016.11.18 1019
1755 더 나은 하루를 위한 여행 연지원 2016.11.21 1035
1754 혼자 걷는 길이 힘들지라도(에코 4기를 마치며) 차칸양(양재우) 2016.11.22 1001
1753 내가 다시 기운을 차리는 법 file 한 명석 2016.11.23 1377
1752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2 김용규 2016.11.25 1174
1751 여든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아홉번째 토크쇼 재키제동 2016.11.25 954
1750 추억 구두 속 모래알처럼 書元 2016.11.26 1133
1749 서른은 불청객처럼 왔다 연지원 2016.11.28 1074
» 먼저 회사를 떠나는 후배에게 차칸양(양재우) 2016.11.29 1574
1747 아프리카로 떠나고픈 날 김용규 2016.12.01 1120
1746 여든한번째 편지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 프로젝트 file 재키제동 2016.12.02 1443
1745 서른여덟 살의 유언장 연지원 2016.12.05 1076
1744 아버지 前 上書(전 상서) [6] 차칸양(양재우) 2016.12.06 1407
1743 누구와 어떻게 무엇을 위해 일할 것인가 한 명석 2016.12.07 1115
1742 인간에게는 법, 사람에게는 염치 김용규 2016.12.08 1048
1741 여든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2016 10대 뉴스 재키제동 2016.12.09 1512
1740 미리 크리스마스 書元 2016.12.10 1033
1739 다가오는 것들의 아름다움 연지원 2016.12.12 1087
1738 여자의 젖가슴은 그 존재 자체로 아름답다 차칸양(양재우) 2016.12.13 1597
1737 보통사람이 맞이할수 있는 최고의마법 file 한 명석 2016.12.14 1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