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연지원
  • 조회 수 116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6년 12월 19일 12시 07분 등록


위대한 접속
: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책을 읽는 까닭은, 독서와 비독서의
시간으로 구분하면 두 가지다.
독서하는 동안에 누리는 책읽기의 기쁨,
책 읽지 않는 시간을 잘 살기 위한 준비.
유희로서의 독서, 수행으로서의 독서!


2.
독서는 삶에 유용한 태도, 열정, 지혜를 안겼다.
실천의 몫이 고스란히 남지만,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것만으로도
인생살이의 불안과 두려움은 많이 걷혔다.
즐거움, 유익과 더불어 평온마저 안기는 독서라니!
나는 책읽기에 ‘시간을 내었다’. 


3.
독서하는 이유는 또 있다.
독서는 일종의 여행이다. 혼자 여행을 다녀오면
나는 떠나기 전과는 조금 다른 사람이 된다.
책을 읽을 때에도 조금씩 달라지고 성장했다.
좋은 책을 골라 정성스레 읽고 싶어졌다.
나는 책읽기를 점점 더 ‘즐기게’ 되었다. 


4.
십 수 년의 독서 인생을 돌아보다가 깨달은 바가 있다. 
내 인생의 르네상스는 왕성한 배움의 시기와 일치했다.
책을 읽으면 내면에 빛이 생기고 일상이 개선되는데,
책을 읽지 않으니 내 삶이 점점 시시해졌다.
독서할 때에만 성장했다는 생각은 실망이 아니었다.
책읽기를 ‘계속’ 해야겠다는 동기부여였다.
정체와 퇴행에서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이었다.
나는 ‘끊임없이’ 책을 읽게 되었다.


5.
변화란, 나의 전(全) 존재가 변화되는 게 아니라
위대한 것들에 접속할 때마다 잠시 다르게 살아가는 게 아닐까.
그렇다면 변화의 관건은 무엇에 접속하느냐에 달렸다.
도약과 변화를 이루려면 위대한 접속을 시도해야 한다.
위대한 영혼, 위대한 지성으로의 접속! 이것이 독서다.
‘오늘도’ 나는 책을 읽는다. 위대한 접속을 위하여.


IP *.152.184.239

프로필 이미지
2016.12.21 13:20:45 *.8.191.103

최근 독서관련 서적들이 많이 시중에 나와 있고 그런 책들을 읽으면서 일년 50권, 100권 독서의 의지를 불태우지만 현실의 버거움(?) 앞에

쉽게 손에 들려 있던 책이 어느세 저 멀리 소파 밑으로 떨어져 있고 취침모드로 진입하는 제 모습을 보게 됩니다.

독서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게 오히려 더 독이 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올해도 계획 달성에는 당연히(?) 실패했지만 매년 새우는 신년계획이지만 작은 목표를 해서라도 이루고 싶어집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6 끝내 모면을 모색하는 당신들에게 김용규 2016.12.16 1104
1735 여든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지막 토크쇼 재키제동 2016.12.16 1367
»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연지원 2016.12.19 1160
1733 우리는 진짜 ‘노브랜드’를 원합니다 [2] 차칸양(양재우) 2016.12.20 1369
1732 과일을 먹다가 잘 살고 싶어지다 file 한 명석 2016.12.21 1210
1731 적막의 날을 그리며 김용규 2016.12.22 1069
1730 다시 넥타이를 맵니다 書元 2016.12.24 1018
1729 인생의 책을 만나는 법 연지원 2016.12.26 1127
1728 2016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차칸양(양재우) 2016.12.26 1159
1727 새해에 바라는 단 한 가지 file 한 명석 2016.12.28 1119
1726 그러니 기꺼이 외로워야 합니다. 김용규 2016.12.29 1142
1725 오십, 두 번째 스물 다섯의 시작 차칸양(양재우) 2017.01.03 1630
1724 내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하는지 스스로에게 납득시킬 수 있다면 file 한 명석 2017.01.04 1247
1723 잃어버린 바늘을 찾아서 김용규 2017.01.06 1118
1722 여든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에게 재키제동 2017.01.06 1156
1721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할까 書元 2017.01.07 1053
1720 삶을 맑게 사유한 날들 연지원 2017.01.09 1051
1719 미셸 몽테뉴와 유시민의 <어떻게 살 것인가> [2] 차칸양(양재우) 2017.01.10 1625
1718 어쩌면 산다는 것은 경험이 전부인지도 모른다 file 한 명석 2017.01.11 1071
1717 할 때의 기쁨 김용규 2017.01.13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