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書元
  • 조회 수 101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12월 24일 00시 56분 등록

새날. 두툼한 옷과 함께 새 구두를 마련했습니다.


메인 얽매임이 싫어 넥타이를 풀었었죠. 외진 시골. 나만의 시간과 여유를 즐기며 글을 쓰고 명상도 하며 책을 읽을 수 있을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이는 바램이었습니다. 월급을 받는 을의 처지에서 우선 해야 할 과제와 업무가 엄연히 존재하였습니다. 급여를 주는 만큼 갑은 부림을 하고, 바라는 만큼 실적과 그렇지 않으면 매서운 눈초리와 암묵적 무거운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원하던 외부 환경이었으나 나는 이를 누릴 수 없었습니다.


결혼이란 명제. 같은 맥락입니다. 남녀가 만나 사랑만 있으면 살 수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서로가 다르게 살아온 배경과 역사, 문화들. 그렇기에 부부의 삶과 함께 대사,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오해와 갈등, 이해관계, 서열 등 복잡한 일들이 일어나고 이별을 고하기도 합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며 먹고산다는 것. 아직은 사치이고 요원한 미래였습니다. 하지만 멀리 혹은 바라봄이 아닌, 현재 환경에서 여유와 자유로움을 느껴야 한다는 귀중한 교훈을 얻었습니다. 이상과 현실. 동전의 앞과 뒷면. 그것은 별개가 아닌 한 몸입니다. 이상을 좇기 위해 내딛은 걸음을 다시 거두어 들여 다른 발을 내딛습니다.


소풍날 마음 설렌 아이처럼 이른 새벽 눈이 뜨입니다. 줄무늬 와이셔츠 파란색 넥타이. 얼마 만에 매어보는 건가요. 잊은 줄 알았던 손놀림은 몸에 밴 과거의 기억을 자연스레 재생해 냅니다. 거울 속 비친 당신. 그곳엔 다시 시작하는 나 자신이 있습니다. 씨익 웃음을 지어봅니다. 지켜보던 마늘님은 정장이 어울린다고 넌지시 말을 건넵니다. 그런가요. 그동안 내색을 하지 않았지만 마음고생이 적잖았겠죠. 역시 그녀는 나보다 고수입니다.


출장길 기차에 몸을 싣습니다. 고요의 시간. 간혹 낯선 이와 대화를 나누기도 하지만 대개 혼자만의 한가로움을 즐깁니다.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음악을 듣습니다. 창밖 지나가는 풍경과 친구가 됩니다. 일부러 이방인의 공간을 찾지 않아도, 혼자만의 내적 침묵을 누릴 수 있는 귀중한 여백의 장소에 한껏 취해봅니다.


축원을 빕니다.

만나는 이들에게 평화를

아름다운 미소로 강의를

육체적 힘듦의 업무에도 감사함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를.


기적 소리 울리며 기차는 달립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IP *.140.11.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6 끝내 모면을 모색하는 당신들에게 김용규 2016.12.16 1103
1735 여든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지막 토크쇼 재키제동 2016.12.16 1367
1734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연지원 2016.12.19 1160
1733 우리는 진짜 ‘노브랜드’를 원합니다 [2] 차칸양(양재우) 2016.12.20 1368
1732 과일을 먹다가 잘 살고 싶어지다 file 한 명석 2016.12.21 1210
1731 적막의 날을 그리며 김용규 2016.12.22 1068
» 다시 넥타이를 맵니다 書元 2016.12.24 1017
1729 인생의 책을 만나는 법 연지원 2016.12.26 1126
1728 2016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차칸양(양재우) 2016.12.26 1158
1727 새해에 바라는 단 한 가지 file 한 명석 2016.12.28 1119
1726 그러니 기꺼이 외로워야 합니다. 김용규 2016.12.29 1141
1725 오십, 두 번째 스물 다섯의 시작 차칸양(양재우) 2017.01.03 1630
1724 내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하는지 스스로에게 납득시킬 수 있다면 file 한 명석 2017.01.04 1245
1723 잃어버린 바늘을 찾아서 김용규 2017.01.06 1117
1722 여든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에게 재키제동 2017.01.06 1155
1721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할까 書元 2017.01.07 1052
1720 삶을 맑게 사유한 날들 연지원 2017.01.09 1051
1719 미셸 몽테뉴와 유시민의 <어떻게 살 것인가> [2] 차칸양(양재우) 2017.01.10 1625
1718 어쩌면 산다는 것은 경험이 전부인지도 모른다 file 한 명석 2017.01.11 1070
1717 할 때의 기쁨 김용규 2017.01.13 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