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6년 12월 26일 20시 44분 등록

마음편지를 쓰기 시작한 지도 벌써 2년하고도 3개월이 되었습니다. 참 시간 빠르네요. 세어보니 오늘자로 116번째 편지입니다. 오늘은 특별히 2016년을 마무리하며, 지난 1년 간 썼던 마음편지를 돌아보고자 합니다. 괜찮겠죠?^^

 

올해 첫 편지는 <새해 첫날, 생애 2번째 접촉사고의 추억을 만들다>였습니다. 둘째 아이의 겨울 잠바를 사기 위해 아울렛을 가던 도중 상대 차량의 후진 실수로 접촉사고가 났었는데요, 다행히 경미하여 액땜으로 생각하며 넘길 수 있었지요. 그래서일까요? 다행스럽게도 올 한해 저희 가족에게 큰 일이나 사고는 없었던 듯 싶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의도치 않게(?) 단편이 아닌 연재를 세 번이나 했었는데요, 다음과 같은 제목들이었죠.

 

- <치킨집 사장으로 산다는 것은>(https://brunch.co.kr/@bang1999/105), 2

-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https://brunch.co.kr/@bang1999/125), 5

-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https://brunch.co.kr/@bang1999/145), 10

 

마음편지를 쓰며 많은 것을 배우긴 하지만, 연재를 하면서는 더 많은 것들을 배우게 되는 것 같습니다. 뭐랄까요, A4지 한, 두 장 분량의 짧은 글이 아닌, 연재라고 하는 긴 호흡의 글을 쓰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공부,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기 때문인 듯 싶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연재를 통해 얻게 된 배움 혹은 성과물이 제게는 꽤나 큰 도움이 되었는데요, 5편에 걸친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을 쓰면서는 보다 더 아내를 사랑할 수 있게 되고, 앞으로 중년부부로써 어떻게 알콩달콩’, ‘오손도손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생각까지 정리할 수 있어 참 좋았습니다. 이런 변화 덕분에 아내로부터 상당히 충격적(?)인 말까지 들었죠. 신혼 때보다 더 좋다는... 죄송합니다. ~~^^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 제목의 10편짜리 편지는 사실 한권의 책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마틴 포드가 쓴 <로봇의 부상>이란 책이었죠. 그동안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은 있었지만, 사실 아주 단편적이며 얕은 지식만 있어 언젠가 제대로 공부해봐야 겠다는 생각만 가지고 있었는데, 마침 책을 읽으며 그리고 연재를 통해 본격적인 공부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10편이면 기간으로 10, 무려 2달 반이나 되는 시간이었으니 제대로 공부한 셈이죠. 덕분에 알고리즘, 머신러닝, 딥러닝 그리고 AI의 미래와 인간의 창의성, 메타포에 대한 전반적 탐구까지 다방면으로 배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연재를 하며 몇 분으로부터 이런 질문을 받기도 했습니다. 뜬금없이인공지능이냐고? 사실 마음편지와는 조금 안 맞는 컨셉이긴 했죠? 뭐 그래도 여러 가지를 접하고 배울 수 있다면 더 좋은 것 아닐까요?^^

 

 

, 그리고 재밌는 에피소드가 하나 있습니다. 지난 여름에 쓴 <자두는 유년시절의 추억이다>란 마음편지를 통해 대한민국 자두화가로 유명한 이창효 화백님의 작품을 소개해드렸는데, 세상에나! 이화백님으로부터 자신의 작품을 소개해줘서 고맙다는 메일을 받은 겁니다. 더불어 그의 홈페이지에 제 글까지 소개해주셨고요. 저는 주제와 잘 맞아 소개를 해드린 것 뿐인데, 이렇듯 편지까지 받고보니 뭐랄까요, 글이 이렇게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혹 아직 이 편지(https://brunch.co.kr/@bang1999/140)를 못 읽어 보신 분들은 꼭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더불어 이화백님의 작품도 감상해 보시고요~

 

 

그리고 올해 가장 기억에 남을 수 밖에 없는 편지는 <아버지 前 上書(전 상서)>입니다. 사실 이 마음편지를 쓰고 있는 곳은 현재 아버지가 입원해 있는 병실입니다. 오늘 오전, 의사 선생님께서 그러시더군요. 기력이 다 쇠하셔서 만약 지금이라도 산소 호흡기를 뗀다면 몇 시간을 견디기도 힘들 것이라고요. 잘하면 회복되어 나아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기대 자체를 버리라네요. 그나마 어제는 눈이라도 뜨셔서 저와 아내를 알아보는 듯 싶었는데, 오늘은 눈조차 뜨지 못하시네요. 주무시는 건지, 의식이 없으신 건지... 아무래도 멀지 않은 시기에 아버지를 보내 드려야 할 듯 싶습니다. 호흡기에 의지해 거친 호흡을 하고 있는 아버지를 그저 바라보고만 있는 것도 참 힘드네요. 물론 병상에 누워계신 아버지가 저보다 백배, 천배 아니 만배 더 힘드시겠지만요... 마음편지를 읽고 제 아버지의 회복을 빌어 주셨던 여러 분들에게 진심으로 다시 한번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이제는 좋은 곳으로 보내드려야 할 듯 싶습니다.

 

사실 누구나 다 죽음을 맞이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고요. 하지만 그렇더라도 그 순간까지 건강하게, 그리고 가족을 포함한 주변의 사람들과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정해진 이별을 피할 수는 없겠지만, 그 시간이 될 때까지 삶을 제대로 즐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스인 조르바가 그랬나요. 삶이란 바로 축제라고요. 그렇게 삶이 모두의 축제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며칠 남지 않은 연말 잘 보내시고, 2017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차칸양(bang_1999@naver.com) 올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출간소식] 위대한 멈춤박승오, 홍승완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박승오, 홍승완 연구원의 공저 위대한 멈춤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삶의 방향을 고민하는 보통 사람들을 위한 책으로,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는 9가지 도구(독서, 글쓰기, 여행, 취미, 공간, 상징, 종교, 스승, 공동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삶의 위기에 직면한 독자, 본질적 변화에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독자들에게 용기와 통찰을 준다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http://www.bhgoo.com/2011/814511

 

2. [출간소식] 치유의 인문학문요한(공저)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1기 연구원 문요한의 공저 치유의 인문학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대한민국의 대표 인문학자 10인이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강의한 내용을 담았는데, 그 중에서 문 연구원은 '여행자의 삶'을 주제로 생각 과잉의 현대인이 왜 여행자의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고 합니다. 평소 인문학에 많으신 분들의 일독을 권해 드립니다.

http://www.bhgoo.com/2011/814692

 

3. <내 인생의 첫 책 쓰기> 11기 모집안내

변화경영연구소 1기 오병곤 연구원이 2017년 상반기 <내 인생의 첫 책쓰기> 프로그램에 참여할 11기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오연구원은 책은 재능이 아닌 성실함이라 불리우는 엉덩이(!)의 힘으로 쓰는 것이라 강조합니다. 성실함을 무기로 자신 만의 진실한 책 한권을 쓰고자 하는 분들 그리고 책쓰기를 통해 삶의 변화와 더불어 평생을 함께 할 벗들을 만나고자 하는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4671

 

4. <원더우먼 프로젝트> 참여자 모집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7기 연구원이자 1인기업 나비앤파트너스 대표인 유재경(재키) 연구원이 경력 10년이상 20년 이하의 커리어 우먼(현직 여성팀장 우대)을 대상으로 <원더우먼 프로젝트>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원더우먼의 4가지 무기(남녀에 대한 이해, 체력, 코칭리더십, 커리어비전)를 장착, 진정한 원더우먼으로 변신할 수 있다고 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라며, 현재 신청자가 많다고 하니 지원을 원하시는 분은 서두르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4376

IP *.69.101.15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6 끝내 모면을 모색하는 당신들에게 김용규 2016.12.16 1104
1735 여든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지막 토크쇼 재키제동 2016.12.16 1367
1734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연지원 2016.12.19 1160
1733 우리는 진짜 ‘노브랜드’를 원합니다 [2] 차칸양(양재우) 2016.12.20 1369
1732 과일을 먹다가 잘 살고 싶어지다 file 한 명석 2016.12.21 1210
1731 적막의 날을 그리며 김용규 2016.12.22 1069
1730 다시 넥타이를 맵니다 書元 2016.12.24 1018
1729 인생의 책을 만나는 법 연지원 2016.12.26 1127
» 2016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차칸양(양재우) 2016.12.26 1158
1727 새해에 바라는 단 한 가지 file 한 명석 2016.12.28 1119
1726 그러니 기꺼이 외로워야 합니다. 김용규 2016.12.29 1142
1725 오십, 두 번째 스물 다섯의 시작 차칸양(양재우) 2017.01.03 1630
1724 내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하는지 스스로에게 납득시킬 수 있다면 file 한 명석 2017.01.04 1246
1723 잃어버린 바늘을 찾아서 김용규 2017.01.06 1118
1722 여든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에게 재키제동 2017.01.06 1155
1721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할까 書元 2017.01.07 1053
1720 삶을 맑게 사유한 날들 연지원 2017.01.09 1051
1719 미셸 몽테뉴와 유시민의 <어떻게 살 것인가> [2] 차칸양(양재우) 2017.01.10 1625
1718 어쩌면 산다는 것은 경험이 전부인지도 모른다 file 한 명석 2017.01.11 1071
1717 할 때의 기쁨 김용규 2017.01.13 1006